통계학의 역사


통계는 고등학교 정석에도 당연히 포함되어 있으니 수능 공부를 경험한 사람 치고 모르는 사람은 없겠지만 수능에서 비중이 얼마 크지 않아 포기하는 부분이기도 하다(적어도 나때는 그랬다). 많은 친구들이 봐야 할 분량은 많은데 비해 나오는 문제는 한 문제 정도였던 통계를 포기했다. 나는 포기하지는 않았던 것 같은데 열심히 보지는 않아서 그런지 전혀 기억이 나지 않았다.

대학교 가서도 통계를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은 전혀 가지지 않았다. 기껏해야 필수 과목으로 포함되어 있는 조사방법론 수업을 하나 들었을 뿐이었다. 그것도 어렵다는 소문이 자자해서 많은 친구들이 계절학기로 짧게 수강하는걸 권했다. 덕분에 나도 계절학기로 수업을 듣기는 했다.

이상하게 수업을 들으면서도 거의 이해를 하지 못해서 그냥 적당히 공식을 외웠던 것 같은 기억이 난다. 그럼에도 A+를 받았다는 사실이 신기하기는 하지만 말이다. 대학원에 가서도 어쩐지 통계란 전혀 이해할 수 없는 것처럼 느껴졌는데 석사 때 통계를 잘 가르치지 않는 편이기도 했고 듣는 수업 대부분이 통계를 다룬 논문은 보지를 않았기 때문이기도 했다.

완전히 무지했던 걸 생각하면 지금은 기초적인 통계는 아는 편이라고 생각하지만 개념적으로 여전히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들이 있다. 그래서 통계학의 역사와 관련된 책들을 몇 권 읽어보기로 했다. 우선 통계학의 피카소는 누구일까?를 먼저 보려고 했으나 현재 절판된 상태이다. 익숙한 기본적인 개념들에 대한 내용들을 접할 수 있는 것 같다. 조금 두꺼워서 부담스럽지만 통계학의 역사라는 책도 괜찮은 것 같다. 부담스럽다면 역자가 쓴 서문만 읽어보다고 개략적인 흐름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통계사는 아니라 통계일반과 관련된 책으로 숫자에 속아 위험한 선택을 하는 사람들이라는 책도 있다. 상당히 재미있을 것 같은데 아직까지 구입하고 읽지 못했다.

통계에 관련된 책을 읽을 때마다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기본적으로 내가 공부했던 환경이 수학적인 측정과 표현에 대해 거부감을 드러내는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이기도 한 것 같다. John Arbuthnot1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것들 가운데 수학적 추론으로 환원될 수 없는 것은 거의 없다. 만약 그러한 것이 있다면 이는 그에 대해 우리가 지극히 적고 혼란스럽게 알고 있다는 표시일 뿐이다. – 통계학의 역사 역자 서문에서

인문학이 아닌 사회과학을 공부한다는 입장에서 조금 더 빨리 공부하지 못했다는 사실이 여전히 아쉽다.


  1. 스코틀랜드의 수학자, 의사, 문필가, 왕립협회 회원이었으며 앤 여왕의 주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