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haeyeop

  • State of Crypto 2023

    State of Crypto 2023
    By a16zcrypto

    생성 인공지능에 관한 이야기만 주목받는 시기이지만, 오히려 최근의 몇 가지 사건이 블록체인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거 아닌지 생각하게 만들었다. State of Crypto 2023 자료 초반에 Web3에 관한 아이디어를 다시 한 번 정리하고 시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 (구글 슬라이드)

    • 웹3.0은 단순한 금융 운동이 아니라 인터넷의 진화입니다.
    • 블록체인은 장부 그 이상의 컴퓨터입니다.
    • 암호화폐는 새로운 금융 시스템일 뿐만 아니라 새로운 컴퓨팅 플랫폼입니다.

  • 클락스월드 신규 투고 중단

    공상과학 출판사 중 하나인 클락스월드(Clarkesworld)는 새로운 원고 투고를 금지했다. 인공지능으로 작성한 원고가 기하급수적으로 투고되었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 잡지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수익모델도 기여한 측면이 있지 않을까 싶은데, 잡지는 단어당 10~12센트 가량의 원고료를 지불한다고 한다. 아래는 편집자가 직접 만들어서 올린 투고건수 그래프 (출처)

    이 잡지에만 해당하는 일은 아니다.

    클라크스월드의 상황은 독특하지 않습니다. 사이언스, 네이처를 비롯한 여러 학술지에서는 이 기술이 논문의 저자로 등재된 후 ChatGPT 사용을 제한하는 정책을 도입했습니다. Nature의 편집자들은 정책을 설명하는 게시물에서 “모든 저작자 표시에는 저작물에 대한 책임이 수반되며, AI 도구는 그러한 책임을 질 수 없습니다.”라고 썼습니다.

    Clarkesworld’s situation is not unique. Several academic journals, including Science and Nature, have instituted policies restricting the use of ChatGPT after the technology was listed as an author on papers. “Any attribution of authorship carries with it accountability for the work, and AI tools cannot take such responsibility,” Nature’s editors wrote in a post outlining their policy.

    Flooded with AI-created content, a sci-fi magazine suspends submissions

    기존 창작 영역이 가지고 있던 해자가 모두 사라지면서 어떤 방식으로 수익화를 하고 비즈니스를 만들어나가야하는지에 대한 부분이 완전히 새롭게 바뀌는 시대가 될 것이다.

  • 마이크로소프트의 미래

    How AI is making Microsoft cool
    Axios, by Ina Fried

    크게 중요한 이야기는 아닐 수도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가 최근에 주목을 받는 것 같아서 남기는 글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OpenAI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자사 제품 전반에 걸쳐 Dall-E 2 및 ChatGPT와 같은 도구를 통해 Bing과 같은 주력 제품을 강화하고 Office 및 Windows와 같은 프랜차이즈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고 기대받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멋진 요소 없이도 Microsoft의 시장 입지가 강화되었습니다. 이 회사는 대규모 소프트웨어 및 서버 비즈니스를 클라우드 컴퓨팅과 구독을 통해 더 크고 예측 가능한 현금 흐름으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Microsoft는 최근 몇 년 동안 소비자 기술 분야에서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지만, 여전히 Xbox와 Surface PC 사업의 일부를 포함하여 중요한 소비자 대상 프랜차이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That has bolstered Microsoft’s market position in recent years, even without the cool factor. The company has managed to turn its large software and server businesses into even bigger, more predictable cash flows from cloud computing and subscriptions. Although Microsoft has been less of a factor in consumer tech in recent years, it still has some important consumer-facing franchises, including Xbox as well as parts of its Surface PC business.

    내가 환율 상승했을 때 해외 주식 일부를 매도하면서 여전히 보유하고 있는 기업 중 하나다(물론 주가가 많이 떨어지기는 했지만). 개인적으로 AI 활용 제품이 검색엔진 시장에서 구글 독점을 얼마나 위협할지 사실 확신은 가지 않지만, 새로운 UI로 인해 이용자가 다양한 서비스를 경험해보게 만드는 정도까지는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그래서 내가 마이크로소프트를 팔지 않고 가지고 있는 이유는 사실 인공지능 때문이라기보다는 회사 주요 제품이 좋아지는게 눈에 보이기 때문이다. 아는 개발자분도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해서 굉장히 긍정적으로 언급한 바 있다. 물론 이런 것이 모두 주가에 반영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 그리고 미국에서 마이크로소프트는 배당주 같은 느낌이라는 점은 고려해야겠지만 말이다.

  • 금융을 위한 BloombergGPT

    Introducing BloombergGPT, Bloomberg’s 50-billion parameter large language model, purpose-built from scratch for finance

    Bloomberg의 ML 제품 및 연구 그룹은 회사의 AI 엔지니어링 팀과 협력하여 회사의 기존 데이터 생성, 수집 및 큐레이션 리소스를 활용하여 지금까지 가장 큰 도메인별 데이터 세트 중 하나를 구성했습니다. 금융 데이터 회사로서 Bloomberg의 데이터 분석가들은 40년 동안 금융 언어 문서를 수집하고 유지해 왔습니다. 팀은 이 광범위한 재무 데이터 아카이브에서 영어 재무 문서로 구성된 포괄적인 3,630억 개의 토큰 데이터 세트를 생성했습니다. 이 데이터는 3,450억 개의 토큰 공개 데이터 세트로 보강되어 7,000억 개가 넘는 토큰이 있는 대규모 교육 코퍼스를 생성했습니다. 이 훈련 코퍼스의 일부를 사용하여 팀은 500억 개의 매개변수 디코더 전용 인과 언어 모델을 훈련했습니다. 결과 모델은 기존 금융 관련 NLP 벤치마크, Bloomberg 내부 벤치마크 모음 및 널리 사용되는 벤치마크(예: BIG-bench Hard, Knowledge Assessments, Reading Comprehension 및 Linguistic Tasks)의 광범위한 범용 NLP 작업 범주에서 검증되었습니다. . 특히, BloombergGPT 모델은 일반 NLP 벤치마크에서 동등 이상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재무 작업에 대해 비슷한 크기의 기존 개방형 모델보다 큰 차이로 성능이 뛰어납니다.

    LLM 배포로 인해 여러 분야에서 발생하고 있는 일. 얼마전에는 LLaMA를 가지고 자기가 가진 데이터를 활용해 세무상담 챗봇을 만들었다는 세무사도 보았다. 뉴스를 가지고 비슷한 작업을 했을때도 가치있는 무언가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 구글 광고투명성센터

    메타(메타 광고 라이브러리)에 이어 구글도 자사 플랫폼에 게재된 모든 광고를 볼 수 있는 도구를 공개했다.

    광고 투명성 센터는 인증된 광고주가 제공하는 모든 광고의 검색 가능한 허브입니다.

    이 원스톱 상점은 Google에서 표시되는 광고에 대한 정보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습니다. 광고 투명성 센터를 통해 다음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광고주가 실행한 광고
    • 특정 지역에 게재된 광고
    • 광고가 실행된 마지막 날짜 및 광고 형식.
    https://blog.google/technology/ads/announcing-the-launch-of-the-new-ads-transparency-center/

  • GenAI의 인터페이스 문제

    Unpredictable Black Boxes are Terrible Interfaces

    프롬프트에 텍스트를 입력하여 결과물을 출력하는 생성인공지능이 왜 끔찍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지에 관한 글. 실제로 결과물을 얻기위해서는 수십차례의 시행착오를 겪어야하며, 이로 인해 프롬프트를 거래하는 프롬프트베이스와 같은 서비스도 생긴 상황. 해당 글에서는 몇 가지 논문을 바탕으로 다른 방식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도 함.

    제너레이티브 AI 모델은 놀랍지만 끔찍한 인터페이스입니다. 사용자가 입력 제어가 출력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없으면 시행 착오에 의존해야 하는데 이는 실망스러운 일입니다. 이것은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생성 AI를 사용할 때 중요한 문제이며 입력 컨트롤과 출력 간의 매핑이 명확하지 않은 한 문제로 남을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사용자가 AI와 공통 기반/공유 의미론을 설정할 수 있고 그러한 공유 의미론이 누락되었을 때 복구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는 대화형 상호 작용을 활성화하여 AI 인터페이스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결론 부분만 짧게 옮겨놓았지만 읽어볼만한 글이다.

  • 외로운 메타버스

    It’s Lonely in the Metaverse: DappRadar Data Suggests Decentraland Has 38 ‘Daily Active’ Users in $1.3B Ecosystem
    By Cameron Thompson, CoinDesk

    지난 달 나온 기사이지만 참고용으로 남긴다. 메타버스에 대한 책에서 밝은 미래까지는 아니지만… 긍정적인 측면을 위주로 이야기했다. 메타버스로 이야기할 때 언급되는 디센트럴랜드와 샌드박스에 대한 데이터에 따르면 각각 10억 달러의 가치를 지니지만 일일활성이용자(MAU)가 1,000명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조사업체 DappRadar에 따르면 디센트럴랜드는 24시간동안 38명, 샌드박스는 같은 시간동안 522명의 활성ㅎ사용자를 기록했다. 가장 많은 일일 활성 이용자는 각각 675명, 4,503명이었다.

    측정 방식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확실한 사실은 이용자가 굉장히 적다는 것이다.

    디지털 자산 투자 회사인 Arca의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Sasha Fleyshman은 메타버스 플랫폼이 실제로 의도한 대로 작동할 때 사용자에게 훨씬 더 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CoinDesk에 말했습니다. Fleyshman은 “오늘날 성공한 메타버스가 있다고 말하는 사람은 거짓말을 하는 것입니다. [expand title=eng]
    Sasha Fleyshman, portfolio manager at digital asset investment firm Arca, told CoinDesk that metaverse platforms will be much more valuable to users when they actually operate as intended. “Anyone telling you that there’s a metaverse today that has worked is lying through their teeth,” said Fleyshman. [/expand]

  • 노인과 스마트폰

    Smartphones and older users remain an uneasy match
    Peter Allen Clark, AXIOS

    (엄청나게 비싸진 프리미엄 스마트폰 가격을 보면 과연 필수품인지 의구심은 들지만…) 스마트폰은 사치품을 넘어서 삶의 필수품이 되어가고 있음. 하지만 고연령대에서 접근성은 여전히 제한적이라는 기사 내용.

    기사에서 소개한 몇 가지 관련된 통계들.

    AARP가 2021년 12월 에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50세 이상의 4명 중 3명은 연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기술에 의존한다고 말하지만 그 중 42%는 기술이 모든 연령대를 위해 설계되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고령 사용자들은 여전히 ​​스마트폰의 대세에 뛰어드는 것을 주저하고 있습니다. 올해 초 Pew Research Center의 연구에 따르면 18-29세의 미국 성인 중 96%가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는 반면 65세 이상에서는 61%가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2월 미시간 대학의 조사에 따르면 50~80세 성인의 28%가 모바일 건강 앱을 한 개 이상 사용한다고 답한 반면 56%는 한 번도 사용해 본 적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expand title = eng]

    A December 2021 survey conducted by AARP found that three in four people over the age of 50 say they rely on technology to stay connected, but 42% of them say that technology is not designed for all ages.

    But older users still show hesitancy to jump on the smartphone bandwagon. A Pew Research Center study earlier this year found that 96% of U.S. adults aged 18-29 own a smartphone, compared with 61% of those 65 and older.

    A University of Michigan survey from February found that 28% of adults aged 50 to 80 said they use at least one mobile health app, while 56% said they’ve never used one.[/expand]

    기사에서도 이야기하고 있지만 새롭게 추가되는 기능은 이용자가 사용하기에 쉽지 않다. 예를 들면, 접근하기 위한 메뉴의 깊이가 너무 깊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이름으로 되어 있어 이용자 경험이 그다지 좋지 못하다. 과연 고연령에 대한 문제인가 아니면 나도 고연령이 된 것일까?

  • 트위터의 포르노 문제

    How Twitter’s child porn problem ruined its plans for an OnlyFans competitor
    By Zoe Schiffer and Casey Newton, The Verge

    트위터가 성인용 서비스를 기획하다가 내부적인 문제로 철회한 것과 관련된 기사이다. 트위터는 지속적인 경영상 어려움을 겪어왔고,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생각했던 것이 성인 콘텐츠 수익화이다. 트위터는 ACM(Adult Content Monetization)이라는 프로젝트를 운영하며 내부 레드팀에서 다양한 검토를 거쳤으나, 콘텐츠 조정과 관련된 문제로 프로젝트를 무기한 연기했다.

    트위터는 아동 성 착취(Child Sexual Exploit, CSE) 콘텐츠를 탐지할 자원이 부족하고, 직원들은 이를 위한 충분한 리소스가 투입되어야 한다고 이야기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내용이다.

    오랜 기간 부실경영의 역사를 가지고 있기에 트위터는 구글과 페이스북 같은 테크 기업 대비 상대적으로 콘텐츠 조정 및 사용자 안전에 훨씬 적은 금액을 투자했다. PhotoDNA 방식의 필터링에서 적발되지 않는 콘텐츠 탐지를 위해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많은 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Twitter에서 CSE를 식별하고 제거하는 데 사용하는 프로세스는 매우 부적절합니다. 대규모 회사가 PhotoDNA에 의해 표시되지 않은 자료를 잡을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으로 점점 더 많이 전환하는 시기에 대부분 수동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Twitter의 주요 시행 소프트웨어는 RedPanda라는 “지원되지 않는 레거시 도구”입니다. 보고서에서 인용한 한 엔지니어는 “RedPanda는 지금까지 우리가 제공하는 도구 중 가장 취약하고 비효율적이며 지원이 부족한 도구 중 하나입니다.[expand title=eng]
    The 2021 report found that the processes Twitter uses to identify and remove CSE are woefully inadequate — largely manual at a time when larger companies have increasingly turned to automated systems that can catch material that isn’t flagged by PhotoDNA. Twitter’s primary enforcement software is “a legacy, unsupported tool” called RedPanda, according to the report. “RedPanda is by far one of the most fragile, inefficient, and under-supported tools we have on offer,” one engineer quoted in the report said.[/expand]

    인공지능 기술을 가진 회사와 그렇지 않은 회사 간 격차가 점차 심해질 것이라는 이야기를 확인할 수 있는 사례가 아닌가 싶다.

  • 인공지능 생성 메타이미지 판매시장

    https://promptbase.com/

    얼마 전 콜로라도주에서 개최한 미술경연대회 디지털아트 부문에서 인공지능 생성 이미지가 1등을 수상하고 논란이 있었다. 지난 몇 년 사이 Midjourney, DALL-E와 같은 프로그램이 보여주는 결과물은 놀라울 정도로 발전했다. 이 프로그램들은 텍스트 프롬프트를 이미지로 전환하는데, 올해 초 만들어진 PromptBase는 사용자가 특정 시스템에서 예측 가능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프롬프트를 판매하는 마켓플레이스이다.

    프롬프트는 $1.99~$5 사이 가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플랫폼은 각 프롬프트에 대한 20%의 수수료를 받는 형식이다. 미디어 영역에서 인공지능이 유통과 소비단계에 적용되어 왔다면 이제는 생산영역에서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