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haeyeop

  • NFT, 팬덤, 그리고 소유욕

    NFTs and a Thousand True Fans
    by Chris Dixon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은 고유한 어떤 것을 나타내는 특별한 유형의 암호화 토큰이다. 최근 NFT와 관련된 기사를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몇 가지 내용을 정리해놓으려 한다.
    제러미 리프킨은 소유의 종말이 올 것이라고 이야기했으나 기술의 발달에 따라 소유욕이 다른 형태로 변하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사람이 가지고 있는 소유욕이라는 것은 쉽게 사라지기 어렵다. 며칠 전에 보도된 기사를 보면 Beeple로 알려진 디지털 아티스트 마이크 윈켈만(Mike Winkelmann)의 NFT 디지털 작품이 크리스티 경매에서 6,900만 달러(약 780억 원)에 판매되었다.
    이해하기 힘들어보이는 일이 발생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테크크런치 기사 인터뷰에서 이러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TC: 데이비드, 간단하게 말해주세요. 왜 세계는 지금 NFT에 열광하는건가요?
    DP : 암호 화폐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매우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난해한 용어를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정말로 간단하게 하겠습니다. 약 40%의 사람들은 야구 카드, 신발, 예술품, 와인 등을 수집합니다. 여러 가지 심리적 이유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세트를 완성해야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투자 이유로 그렇게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물려줄만한 가보를 원합니다. 하지만 디지털 수집품은 복사하기가 너무 쉽기 때문에 현실 세계에서만 수집 할 수 있었습니다.
    블록 체인이 등장했고 실제로 복사 할 수 없는 것을 누가 소유했는지 기록함으로써 디지털 수집품을 불변으로 만들 수 있었습니다. 스크린 샷을 찍을 수는 있지만 실제로 디지털 수집품을 소유하고 있지 않으며 해당 스크린 샷으로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판매하거나 거래할 수 없습니다. 증거는 블록 체인에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암호화 기반 수집품이 정말 성장할 수 있고 실제로 암호 화폐의 주류를 차지하고 일반인이 암호 화폐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지금 일어나고있는 일입니다.[expand title=eng]
    TC: David, dumb things down for us. Why is the world so gung-ho about NFTs right now?
    DP: One of the biggest problems with crypto — the reason it scares so many people — is it uses all these really esoteric terms to explain very basic concepts, so let’s just keep it really simple. About 40% of humans collect things — baseball cards, shoes, artwork, wine. And there’s a whole bunch of psychological reasons why. Some people have a need to complete a set. Some people do it for investment reasons. Some people want an heirloom to pass down. But we could only collect things in the real world because digital collectibles were too easy to copy.
    Then the blockchain came around and [it allowed us to] make digital collectibles immutable, with a record of who owns what that you can’t really copy. You can screenshot it, but you don’t really own the digital collectible, and you won’t be able to do anything with that screenshot. You won’t be able to sell it or trade it. The proof is in the blockchain. So I was a believer that crypto-based collectibles could be really big and actually could be the thing that takes crypto mainstream and gets the normals into participating in crypto — and that’s exactly what’s happening now.[/expand]

    인간의 소유욕이란 재미있다. 인터뷰에서 알 수 있듯이 많은 사람들이 무언가를 수집하고 있다. Whatnot과 같은 수집품을 거래하는 사이트는 4백만 달러 펀딩을 받았고 라이브 스트리밍 쇼핑 플랫폼으로 확장하는 계획을 가지고 2천만 달러를 추가로 모았다.
    암호화폐와 결합된 NFT는 팬덤과 결합하여 온라인에서 새로운 경제활동을 만들어내게 될 것 같다. 팬덤과 온라인 후원에 관한 내용은 원래 작년에 논문을 썼어야 하는 부분이다. 유명한 케빈 캘리의 에세이 1,000명의 진정한 팬이라는 글은 사실 이러한 변화를 나타내는 글이었다. 인터넷은 소셜 플랫폼을 통해 창작자와 팬 사이를 연결했지만 NFT는 케빈 캘리가 보았던 비전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암호화폐, 특히 NFT (대체 불가능한 토큰)는 팬과 직접 수익을 창출하는 크리에이터의 추세를 가속화 할 수 있습니다. 소셜 플랫폼은 청중을 구축하는 데 계속 유용한 수단일 것이지만 (이것도 더 나은 탈 중앙화 대안으로 대체되어야 하지만) 제작자는 돈을 벌기 위해 NFT 및 암호화 지원 경제를 포함한 다른 방법에 점점 더 의존 할 수 있습니다.[expand]
    Crypto, and specifically NFTs (non-fungible tokens), can accelerate the trend of creators monetizing directly with their fans. Social platforms will continue to be useful for building audiences (although these too should probably be replaced with superior decentralized alternatives), but creators can increasingly rely on other methods including NFTs and crypto-enabled economies to make money.[/expand]

    이야기 자체는 이더리움이나 다른 암호화폐 나왔을 때와 다르지 않아보이지만 얼마전 뱅크시 원본을 불태우고 NFT 형태 디지털만 남긴 사례(저렴한 가격에 홍보일지 모르지만)를 보면 새로운 흐름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는것 아닌가 싶다.
     

  • 에르메스 콜렉션 비디오

    Men’s Spring-Summer 2021 collection
     
    새로운 디지털 경험 관련 에르메스의 비디오.
    일반적인 연구 결과는 오프라인에서 가지는 촉감이 소비자를 구매로 연결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라고 보고 있으며, 온라인과 관련된 마케팅의 많은 연구가 오프라인의 이러한 특성을 어떻게 온라인으로 전환할 것인지에 관해 연구했다. 에르메스 영상은 디지털 경험이라는 측면에서 e커머스가 홈페이지의 상품 목록과 사진에만 의존하는 것과 관련해 다른 가능성을 제시한다.
    코로나 이후 다양해지는 디지털 경험방식 중 하나로 볼 수도 있을까?

  • FTC 데이팅앱 Match 고소

    Dating app maker Match sued by FTC for fraud
    미연방 무역위원회 (FTA)는 사기 행위를 위해 Match, Tinder, OkCupid, Hinge, PlentyofFish 등을 포함한 거의 모든 데이트 앱의 소유자 인 Match Group을 고소했다고 발표했다. FTC에 따르면 Match는 수십만 명의 소비자를 구독 구매로 속이고 사기의 위험에 고객을 노출 시키며 다른 사기 및 불공정 행위에 관여했다.

    FTC에 따르면 대부분의 소비자는 일간 Match 등록의 25 ~ 30 %가 사기꾼으로부터 온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고 한다. 여기에는 로맨스 사기, 피싱 사기, 사기 광고 및 강탈 사기가 포함된다. 2013 년부터 2016 년까지 몇 달 동안 Match에서 발생한 커뮤니케이션 중 절반 이상이 회사가 사기로 식별 한 계정에서 비롯되었다.[expand title=eng]
    The FTC says that most consumers aren’t aware that 25 to 30% of Match registrations per day come from scammers. This includes romance scams, phishing scams, fraudulent advertising and extortion scams. During some months from 2013 to 2016, more than half the communications taking place on Match were from accounts the company identified as fraudulent.[/expand]

    예를 들면 연결이 되었다는 메시지를 받고 가입을 했는데 실제가 아닌 봇이나 사기계정이었다는 내용이다. 봇과 스캠은 웹 전반에 많은 논란을 불러오고 있지만 Match의 경우는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익을 얻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고 본 것이다.

  • 얼굴 기반의 범죄예측 알고리즘

    Over 1,000 AI Experts Condemn Racist Algorithms That Claim to Predict Crime
    By Janus Rose, Vice
    얼굴을 기반으로 범죄여부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는 연구에 대해 많은 인공지능 전문가가 비판했다는 내용.

    이 공개 서한은 하버드, MIT, 구글, 마이크로 소프트의 학계 및 인공 지능 전문가들에 의해 서명되었으며 출판사 스프링거에게 다가오는 논문의 출판을 중단 할 것을 요구했다. 이 논문은“80 %의 정확성”과“인종의 편견이없는”얼굴 사진만으로 범죄를 저지를 지 여부를 저자가 주장 할 수있는 시스템을 설명합니다.[expand title=eng]
    The public letter has been signed by academics and AI experts from Harvard, MIT, Google, and Microsoft, and calls on the publishing company Springer to halt the publication of an upcoming paper. The paper describes a system that the authors claim can predict whether someone will commit a crime based solely on a picture of their face, with “80 percent accuracy” and “no racial bias.”
    [/expand]

    업데이트 한 뉴스에 따르면 네이쳐에 투고한 논문은 게제불가를 받아서 확인할 수는 없지만 가짜 프로필을 만드는데 얼굴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생각해보다가 떠오른 기사. 하지만 동양에서는 얼굴을 가지고 판단하는 관상이라는 문화가 익숙하지 않은가? 연구와 관계없이 데이터가 있다면 유사한 아이디어로 한 번 시도해보고 싶은 내용이다.

  • 뉴스기사에서 딥페이크 이용 가짜 프로필

    Right-Wing Media Outlets Duped by a Middle East Propaganda Campaign
    By Adam Rawnsley, Daily Beast
    데일리 비스트에 따르면 실존하지 않는 가상의 언론인, 분석가, 정치컨설턴트 네트워크가 보수 언론에서 특정 프로파간다를 확산하는데 이용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가짜 네트워크 인물 프로필을 만드는 과정에서 딥페이크가 활용되었다는 이야기.

    가짜 기고자들도 인격의 일부를 위해 AI 생성 아바타를 사용했습니다. 포스트 밀레니얼 (Post Millennial)에 실린 기사에 게시 된 Joseph Labba 인격의 고해상도 프로필 사진은 AI 생성 얼굴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숨길 수 없는 결함을 보여줍니다. 왼쪽 귀는 주름없이 이상하게 매끄럽습니다. 미들버리 국제 연구 연구소 (Middlebury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의 연구원 인 Sam Meyer는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Labba의 사진을 검토 한 후 입에 4 개가있는 곳에 맞지 않는 치아가 3 개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expand title=eng]
    The fake contributors also appear to have used AI-generated avatars for a handful of their personas. A high-resolution profile photo of the Joseph Labba persona, posted for an article at The Post Millennial, shows some of the telltale glitches commonly found in AI-generated faces. The left ear is oddly smooth without any ear lobe creases. Middlebury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research associate Sam Meyer reviewed the photo of Labba using imagery analysis software and also noticed he appears to have three misfit teeth in his mouth where there should be four.[/expand]

    소셜미디어에 다른 사람 프로필을 도용해서 가짜 프로필을 만드는 것은 흔한 일(예. 캣피쉬)이었으나 프로필에 ThisPersonDoesNotExist.com에서 얻을 수 있는 것과 같은 AI생성 이미지를 사용했다는 점이다. 저널리즘에서 알 수 없는 출처의 발언을 가지고 기사를 작성하던 오랜 관행은 완전히 사라져야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여기서 개인적으로 관심이 가는 내용은 왜 신뢰를 위해 얼굴을 필요로 할까라는 점이다.

  • 워드 임베딩의 성적 편향 완화

    Double Hard-Debias: Tailoring Word Embeddings for Gender Bias Mitigation
     
    세일즈포스(salesforce)와 버지니아 대학 연구자들이 제시한 워드 임베딩의 성적 편향을 완화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워드 임베딩은 단어전체에서 단어를 나타내는 실제 숫자로 이루어진 벡터로 단어와 다른 단어의 관계에 대한 의미론적 구문론적인 뜻을 포착할 수 있게 해준다. 자연어 처리 작업에 널리 활용됨에도 코퍼스에 대한 학습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성적인 편견을 물려받는 것으로 인한 비판을 받았다.
    예를 들면, 다음의 두 가지 기준(남성과 여성 / 젠더중립과 특정젠더)으로 단어를 분류한다면 우수한(brilliant), 똑똑한(genius)과 같은 단어는 젠더 중립적이고 숙녀(ladies), 여왕(queen) 같은 단어는 특정젠더에 속하는 단어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알고리즘에 대한 비판으로 접근하는 것과 관련해 사람들이 그러한 방식으로 언어를 사용하기 때문이고, 알고리즘은 이러한 내용을 순수하게 반영하는 것이라는 단순한 실재론에 가까운 입장이었다. 오히려 알고리즘을 의인화하는 방식의 비판에 대해서 부정적이었으나 실제로 이런 학습과 관련된 문제를 적극적으로 교정하는 것이 점차 중요해진다. 예를 들어, 젠더 편견을 가진 시스템으로 이력서 필터링을 하는 경우 어떤 일이 생길 것인가? 이미 비슷한 사례가 많이 제시되었다.
    기존 방식은 사후 처리 과정에서 성별 관련 구성 요소를 주성분 요소를 빼서 편견을 줄이는 방식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이 가지는 한계는 단어의 빈도로 인해 제거된 젠더편향이 되살아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식은 워드 임베딩을 빈도가 없는 하위 공간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거친다는 것이다. 대충 느낌은 오지만 실제로 데이터를 돌려봐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 같다.

    일부 전문가들은 단어 삽입에서 편견을 완전히 제거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가치가 있습니다. 뮌헨 기술 대학 (Technical University of Munich)의 최근 메타 분석에서, 기고자들은 단어의 의미 론적 내용이 항상 사회의 사회 정치적 맥락에 묶여 있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중립적 텍스트와 같은 것은 없다고 주장합니다. [expand title=eng]
    It’s worth noting that some experts believe bias can’t be fully eliminated from word embeddings. In a recent meta-analysis from the Technical University of Munich, contributors claim there’s “no such thing” as naturally occurring neutral text because the semantic content of words is always bound up with the sociopolitical context of a society.[/expand]

    알고리즘도 현실을 반영하는 하나의 미디어로 결국은 언어와 세상에 관해 어떤 관점을 가져가는지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 완전 중립적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지만 이러한 편향을 줄이는 것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 사이언스지 가짜뉴스 연구

    Fake news on Twitter during the 2016 U.S. presidential election
    By Nir Grinberg, Network Science Institute, Northeastern University, Boston, Ma, Usa., science.sciencemag.org

    2016년 선거 기간 동안 가짜 뉴스가 확산되었다. 그린버그(Grinberg et al.) 외 연구자는 트위터(Twitter) 계정을 특정 유권자에게 매칭하여 누가 가짜 뉴스에 노출되었는지, 가짜 뉴스를 퍼뜨린지, 가짜 뉴스가 사실 뉴스와 어떻게 상호 작용했는지 트위터 데이터를 분석했다. 가짜 뉴스는 모든 뉴스 소비의 약 6%를 차지했지만 매우 집중되었다. 1%의 이용자가 80%의 가짜 뉴스에 노출되었으며, 0.1%의 이용자가 공유되는 80%의 가짜 뉴스에 책임이 있었다. 흥미롭게도 가짜 뉴스는 보수적인 유권자들에게 가장 집중되었다.[expand title=eng]
    There was a proliferation of fake news during the 2016 election cycle. Grinberg et al. analyzed Twitter data by matching Twitter accounts to specific voters to determine who was exposed to fake news, who spread fake news, and how fake news interacted with factual news (see the Perspective by Ruths). Fake news accounted for nearly 6% of all news consumption, but it was heavily concentrated—only 1% of users were exposed to 80% of fake news, and 0.1% of users were responsible for sharing 80% of fake news. Interestingly, fake news was most concentrated among conservative voters.

    [/expand]

  • Edge 브라우저 NewsGuard 플러그인

    Don’t trust Daily Mail website, Microsoft browser warns users
    Jim Waterson, Guardian

    MS Edge 브라우저 모바일에 NewsGuard 플러그인이 들어간다. 데일리 메일(Daily Mail) 웹 사이트 방문자는 “일반적으로 본 사이트는 정확성과 책무성의 기본 표준을 유지하지 못함”, “많은 유명 인사의 사례에 대해 손해 배상을 강요 당했다”, “평판을 손상 시키거나 광범위한 경고를 유발하거나 개인 정보 침해를 구성하는 콘텐츠를 정기적으로 게시함”과 같은 경고 메시지를 보게 된다.

    NewsGuard는 뉴스 업계 베테랑들에 의해 운영되며 신뢰하라 수 있는 뉴스 웹 사이트를 위한 업계 표준 벤치 마크를 수립하려는 시도라고 말한다. 사이트가 일련의 저널리즘 표준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직접 확인하는 애널리스트를 고용한다. 모든 판결을 공개하며 비평에 응답하고 더 높은 평점을 얻기 위해 표준을 개선 할 수 있도록 언론사를 초대한다.[expand title=eng]
    NewsGuard is run by news industry veterans and says it is trying to establish industry-standard benchmarks for which news websites should be trusted. It employs analysts to manually check whether sites meet a series of journalistic standards, making all its judgments public and inviting outlets to respond to criticism and improve their standards to gain a higher rating.[/expand]

    비즈니스 모델은 기술 기반 기업에 라이센스를 판매하는 형태. 부정확한 정보와 싸워야 하지만 책임은 지고 싶지 않은 기술기반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밝히고 있다.

  • 지루함과 창의성

    어떻게 지루함이 당신을 더 창의적으로 만들까요?
    By Jisukim, newspeppermint.com

    뉴스 페퍼민트에서 번역한 Wired 기사. 지루한 사람들이 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많이 떠올렸다는 내용.

    이는 최근 이루어진 흥미로운 두 연구에서 나온 결과입니다. 그중 한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실험 집단의 참가자들에게 전화번호부에서 번호를 베끼는 지루한 일을 한 뒤 컵 두 개를 어떻게 사용할지 등에 대한 창의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시험을 치르게끔 했습니다. 결과는 어땠을까요? 지루한 작업을 했던 실험 참가자들은 지루해하지 않던 통제 집단의 참가자보다 더 많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렸습니다. 다른 연구의 참가자 역시 따분한 컴퓨터 화면 보호 프로그램을 쳐다본 뒤에 “연관 사고” 단어 시험에서 더 많은 대답을 했습니다.

  • 2018 비디오 게임 수익 증가

    NPD: US video games sales reached $43.4 billion last year
    Rebekah Valentine, gameindustry.biz

    2018년 비디오게임 수익은 $43.4B으로 전년대비 18% 상승
    세부적으로 소프트웨어 수익은 $35.8B으로 전년대비 18% 상승했고, 하드웨어 수익은 $7.5B으로 전년대비 15% 상승했다.

    Top 10 selling games (physical and select digital partners) for the full year of 2018
    1. Red Dead Redemption II
    2. Call of Duty: Black Ops 4^
    3. NBA2K19
    4. Madden NFL 19^
    5. Super Smash Bros. Ultimate*
    6. Marvel’s Spider-Man
    7. Far Cry 5
    8. God of War
    9. Monster Hunter: World
    10. Assassin’s Creed: Odyssey

    마리오는 12월에만 판매했음에도 5위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