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haeyeop

  • 포켓몬 GO와 관련된 현황

    by Joseph Schwartz Pokémon GO: The Data Behind America’s Latest Obsession

    포켓몬 앱 인기를 설명해주는 데이터들을 제시하고 있다. 차트는 위 링크에서 확인 가능하다.

    • 출시된지 2일 지났을 시점에 미국 내 안드로이드 기기 중 5.16%에 설치되었다. 출시 다음날 이미 데이팅 앱인 Tinder를 앞질렀다.
    • 앱을 다운로드 받은 사람의 60% 이상이 매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내 안드로이드 이용자의 3%가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DAU로 보았을 때 트위터를 거의 따라잡았다.
    • 평균 사용 시간도 다른 소셜 서비스들에 앞서나가는데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은 43:23으로 왓츠앱(30:27), 인스타그램(25:16), 스냅챗(23:53)을 앞섰다.

    국내에서는 포켓몬 GO를 사용할 수 없다. 공식 계정에서 언급한 바에 따르면 서비스 되지 않는 국가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pokemongo

    게임 자체는 닌텐도가 기존 포터블 기기에서 지속적으로 시도해오던 콘텐트들인데 스마트폰 플랫폼에서 구동된다는게 확실히 큰 파급력을 가지는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 클라우드 데이터 클라우드 앱 모델

    techcrunch by Paul Stannard, Is HTML5 the new Windows?

    MS-DOS에서 Windows로 변화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클라우드앱 기반 환경으로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는 이야기. 기사를 보며 알았는데 윈도우 3.0이 90년도 나왔다니 나도 나이가 꽤 들었나보다.

    기사에서는 드롭박스와 같은 파일 공유 서비스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365같은 클라우드 앱 서비스를 비교한다.

    어느 기기에서나 접속할 수 있는 파일 (드롭박스와 같은 서비스)이 브라우저에서 작동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의 위치를 옹호하기에 충분한가, 혹은 없는 것 보다는 나은가? 개인적으로 나는 없는 것보다는 낫다고 생각한다. 현재 작업하고 있는 기기에 설치된 앱에 의존하는 것은 “어느 기기 어느 장소(any device anywhere)”모델에 심각한 제약이 된다. 특히 파일을 오픈하기 위해 필요한 앱을 가지고 있지 않은 누군가와 문서를 공유하려고 할때는 그렇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클라우드 데이터-네이티브 앱” 모델은 “클라우드 데이터-클라우드 앱” 모델에 패배하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expand title=Eng] Is file access from any device sufficient to defend the positions of applications that do not actually run in the browser, or is it only half a loaf? Personally, I think it’s half a loaf. Having to rely on your app being installed on the device on which you are currently working is a significant limitation to an “any device anywhere” model. It’s especially true when you want to share a document with someone who doesn’t own or have access to the app required to open the file. Over time I believe the hybrid “cloud data — native app” model will lose to the “cloud data — cloud app” model, as more and more people experience the differences.[/expand]

    어제 학교에서도 오피스365를 사용하라는 메일이 오던데 가격면에서 문제만 아니라면 확실히 흐름이 클라우드 기반 앱으로 변하게 될 것 같다.

  • 드롭박스 페이퍼 앱 출시

    techcrunch by Matthew Lynley, Dropbox launches an iPhone and Android version of its document-editing app Paper

    드롭박스에서 베타로 서비스하던 도큐먼트 서비스인 페이퍼를 앱으로 출시했다. 이전까지는 작성한 문서를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를 통해 접속했어야만 했다.

    최근 기관 라이센스로 사용하던 오피스 라이센스가 끝나서 개인용 라이센스를 사용하고 있다. 다른 사람들과 문서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네이티브 앱을 구매해야 한다는 건 상당히 부담스러운 일이다.

    이렇기 때문에 앞으로는 클라우드 데이터-클라우드 앱 모델이 자연스러워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표적인 온라인 협업문서 편집 서비스로는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그리고 큅(Quip)이 있다. 그리고 가장 널리 이용되는건 구글닥스이다. 드롭박스 페이퍼의 앱 기능은 그리 충실하지는 않지만 에버노트가 이용 플랜 변경되는 상황에서 개인 이용자로서는 고마운 일이다. 개인적으로 드롭박스 유료 플랜을 사용하고 있기에 에버노트에서 드롭박스로 완전히 옮기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 유투브 키즈에 유료구독 서비스 통합

    The Verge by Ben Popper, YouTube finally integrates its ad-free subscription offering with its Kids app

    국내에서는 서비스되고 있지 않지만 유투브 키즈에 유투브 레드가 통합되었다는 기사다.

    지난 해 출시된 구독 서비스인 유투브 레드가 마침내 유투브 키즈와 통합되었다. 키즈 앱은 이미 아이들이 불미스러운 콘텐트를 우연히 만날 우려 없이 스크린 앞에서 보낼 수 있도록 만들어주었다. 레드의 추가로 인해 운전하는동안 오프라인 비디오를 보여줄 수 있고, 아이들의 이를 썩게 만드는 정크 푸드에 대한 광고에 노출될 우려 없이 스마트폰을 건내줄 수 있다.
    [expand title=Eng]
    YouTube Red, the subscription service released last summer, is finally being integrated with YouTube Kids. The Kids app already lets parents plunk their kids in front of the screen without having to worry that their little ones will stumble onto some unsavory content. With the addition of Red, I can now offline some videos for a long car drive, and hand my boys a smartphone knowing they won’t be exposed to ads for junk food that would rot their little teeth.[/expand]

    조카들을 돌보고 있다 보면 영상을 보여주는 시간만이 부모들이 해방되는 순간이라는걸 절실히 느끼게 된다. 유투브를 통해 캐리의 장난감 친구들 같은 채널 틀어주는 부모들이 많은데 중간중간 나오는 광고들은 부모 입장에서 걱정이 된다. 광고 나오는 순간에는 애들 화면을 가려줬더니 우리 조카는 광고 나올때 스스로 손으로 화면을 가리기도 한다. 국내 쥬니버같은 서비스도 있지만 쥬니버도 광고가 나온다. 유투브를 아이들 보여주는 부모라면 레드 가입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든다.

    사족이지만 광고를 아이들 보여주기 싫다는 이유로 광고를 삭제하고 보여주지 않는 서드파티 앱을 사용하는 사람들도 있더라. 이건 좀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 디즈니 스트리밍 기업 지분 인수

    recode.net by Edmund Lee, Disney is investing $1 billion in streaming tech and will launch a streaming sports network — but it won’t include ESPN

    디즈니에서 스트리밍 비디오 기업 BAM Tech의 지분 1/3을 약 1조 원에 인수했다. 스포츠 관련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려고 하는데 ESPN은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이다.

    디즈니는 이미 ESPN을 포함한 채널의 일부를 Dish의 Sling과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에 판매했다. 그러나 새로운 투자로 디즈니는 자사 채널을 자력으로 스트리밍 할 수 있고 가까운 미래에 ESPN 유형의 채널묶음을 새로운 비디오 구독 서비스로 판매할 수 있을 것이다.

    결정적으로 ESPN은 포함되지 않을 것인데 이는 그 채널들이 디즈니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채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채널들을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것은 디즈니에 이미 돈을 지불하고 있는 케이블과 위성 사업자들의 수익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expand title=Eng] Disney already sells some of its channels, including ESPN, to online streaming services like Dish’s Sling. But with its new investment Disney can stream stuff on its own and plans to sell a bunch of ESPN-type channels in a new subscription video service at some point in the future.

    Crucially, it won’t include regular ESPN since that’s the channel that makes the most money for Disney, and selling it directly to consumers would hurt its standing with the cable and satellite distributors that already pay Disney a lot of money to carry the network.[/expand]

    얼마 전 Time Warner가 Hulu 지분 10%를 인수하며 라이브 스트리밍 TV 서비스에 합류한다는 기사도 있었다. 텔레비전 앞에서 모두 모여 방송을 보는게 이상한 시대가 될 것 같다. 각자 모바일로 보는게 지금도 그리 어색한 일은 아니다.

  • 페이스북과 웹 광고차단 서비스

    techcrunch.com by Josh Constine, Facebook will bypass web adblockers, but offer ad targeting opt-outs

    페이스북이 광고 차단 앱이 광고를 차단하지 못하도록 할 것이라는 발표를 했다. 대신에 이용자에게 광고에 대한 선택권을 주겠다고 밝혔다.

    페이스북은 웹 광고를 콘텐츠와 구분할 수 없도록 HTML로 만들고 있고, 그럼으로써 광고차단 앱을 피해갈 수 있다. 그러나 사람들에게서 광고를 제거하기 위한 선택권을 빼앗아가는 것에 대한 교환조건으로 사람들이 타깃 광고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expand title=Eng]
    Facebook is making the HTML of its web ads indistinguishable from organic content so it can slip by adblockers. But in exchange for taking away this option for controlling ads from people, its allowing them to opt-out of ad targeting categories and Custom Audience customer lists uploaded by advertisers.[/expand]

    페이스북 의뢰로 이루어진 시장 조사 결과에 따르면 광고차단을 이용하는 이유는 방해가 되는 광고를 피하기 위해(69%), 인터넷 이용 경험 속도를 저해하기 때문 (58%), 보안 위협 때문에 (56%) 순이라고 한다. 개인적으로는 페이스북 광고보다 페이스북 내 브라우저를 통해 언론사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글을 읽을 수 조차 없게 뜨는 광고들이 거슬린다.

    페이스북은 광고차단 예외 리스트에 포함하는 대가로 광고 차단 서비스 업체들에게 돈을 지불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가장 널리 알려진 Adblock Plus같은 경우 페이스북이 안티 끌어모을거라며 비난했으나 ABP 같은 경우도 개인적으로 정말 나쁜 종류의 서비스라 생각해서 사용하지 않고 있다.

    페이스북이 이용자들에게 선택권을 준다고 해서 사람들이 광고를 차단하지 않을까. 광고를 보지 않는게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일은 아니기에 아무래도 사람들은 여전히 광고를 차단하는 방식을 선택하지 않을까 싶다. 많은 언론사 사이트에서 광고차단 앱을 쓰는 경우 경고메시지부터 인정에 호소하는 메시지까지 다양하게 보여주지만 사람들이 그런 걱정까지 하며 이용하기에는 아직까지 갈 길이 멀다.

  • 트위터 괴롭힘의 역사

    by Charlie Warzel, buzzfeed.com, “A Honeypot For Assholes”: Inside Twitter’s 10-Year Failure To Stop Harassment

    트위터의 조리돌림에 대한 버즈피드의 기사. 꽤나 긴 기사였지만 대충 다 훑어보았다. 내가 처음 트위터 계정을 만들었던건 정확히 기억 안 나지만 2008년 혹은 2009년 정도였던 것 같다. 나도 이용하면서 트윗 한 번 잘못 날렸다가 욕 먹은 기억이 있다. 그리고 계정을 삭제했다.

    Waldman의 경험 이후 8년이 훨씬 지난 후 트위터의 괴롭힘은 만연했다. 따라서 트위터는 트롤(troll)과 혐오단체들의 일차적인 목적지가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CEO는 “우리는 플랫폼에서 욕설과 트롤을 다루는 일에 있어서 서투르고 몇 년동안 그래왔다” 라고 선언했다. 수많은 유명한 이용자들이 트위터는 안전한 공간이 아니라는 언급을 하며 서비스를 떠났다. 오늘날 트위터는 네오나치, 인종주의자, 미소지니스트, 트롤들의 대상이 되는 여성, 유색인종의 잘 알려진 사냥터이다.
    [expand title=Eng]
    More than eight years after Waldman’s ordeal, harassment on Twitter is rampant — so much so that it has become a primary destination for trolls and hate groups. So much so that its CEO declared, “We suck at dealing with abuse and trolls on the platform and we’ve sucked at it for years.” So much so that numerous high-profile users have quit the service, citing it as an unsafe space. Today, Twitter is a well-known hunting ground for women and people of color, who are targeted by neo-Nazis, racists, misogynists, and trolls, often just for showing up. [/expand]

    트위터에서 공격의 대상이 되는건 꼭 여성이나 유색인종인 것은 아니다. 누구나 그렇게 될 수 있고 정말 한 순간에 그렇게 될 수 있다.

    2011년은 혁명을 위한 플랫폼으로써 아랍의 봄과 국제적인 찬사를 트위터에게 가져다주었다. 동시에 트위터는 위키리크스에 대한 이용자 정보를 제공하라는 정부의 명령과 싸웠다. 정보원에 의하면, Macgillivray와 Stone은 위키리크스 논쟁이 있는 동안 “트윗은 반드시 흘러야 한다”는 제목의 블로그 포스트 작업을 하며 보냈다고 한다. 그것은 현재까지 트위터의 발언의 자유에 대한 선명한 약속이었다. “우리가 삭제해야만하는 불법 트윗이나 스팸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중요한 규칙을 증명할 수 있도록 우리는 이러한 예외를 최소한으로 하기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우리는 그들의 콘텐트에 기반해서 트윗을 삭제하려고 애쓰지 않을 것입니다.”
    [expand title=Eng]
    2011 brought the Arab Spring and more international acclaim for Twitter as a platform for revolutionaries. That same year, Twitter fought secret government order to provide user information for WikiLeaks. According to a source, Macgillivray and Stone spent months working on a blog post that would be published during the WikiLeaks controversy, titled “The Tweets Must Flow.” It was Twitter’s boldest commitment to free speech to date. “There are Tweets that we do remove, such as illegal Tweets and spam,” the post read. “However, we make efforts to keep these exceptions narrow so they may serve to prove a broader and more important rule — we strive not to remove Tweets on the basis of their content.” [/expand]

    트위터는 발언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는 정신을 가져왔는데 여러가지 국제적인 사건들에서 저항을 위한 미디어로서 기능해왔던 것들이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이런 접근이 트위터에서 집단적인 괴롭힘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이끌었다. 다른 소셜미디어와 다른 구조도 강력한 수준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만들었는데 이것은 괴롭힘에도 역시 특화될 수 있었다.

    최근에는 서브컬처와 관련해서 트위터 이용자들 이야기가 많이 언급된다. 조리돌림에 대한 이야기들도 여전하다. 얼마 전 새로 계정을 만들었다가 적응하지 못하고 그만두었다. 트위터는 얼마전 극단주의자들의 트윗을 삭제하고 이용자들이 필터를 통해 괴롭힘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한다고 발표했다. 유명인이 아니더라도 인증 계정을 사용할 수 있게도 만들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이 트위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얼마나 해결해줄 수 있을까.

  • WSJ 페이월 방식 변경

    by Shan Wang, niemanlab.org, The Wall Street Journal is changing up its paywall, offering guest passes and expanded link-sharing on social

    뉴스 코퍼레이션이 소유하고 있는 월 스트리트 저널같은 경우는 “온라인을 포함해서 우리 저널리즘에 대가를 지불하라”는 것이었는데 이러한 방침에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페이월을 더 엄격하게 혹은 구멍이 나게 만드려는 것이 아니라 유연하게 하려는 것이다. 현재 비구독자를 위한 24시간 게스트 패스를 시험하고 있으며, 독자가 구독자 혹은 언론사 직원이 공유한 기사에 접속할 때 팝업 창이 뜬다. 또한 구독자와 멤버들에게 전체길이의 기사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터놓았다.
    [expand title=Eng]
    Now the Journal is trying to make its paywall neither stricter nor leakier, but bendier. It’s now testing 24-hour guest passes for non-subscribers, an offer that pops up when readers access a story shared by a subscriber or a Journal staffer. (If you don’t enter your email address, you just get to read the one story.) Down the line, the Journal may also be testing other time increments for the guest passes. It’s also opening up opportunities for subscribers and members, as well as Journal staffers themselves, to share full articles for free through social media.[/expand]

    공유 링크가 초대장처럼 작용하고 그에 따라 개인화 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는 이야기이다. 하나의 모델보다는 유연한게 좋다.

  • 타블로의 자연어 처리 확장프로그램

    Narrative Science can now describe your Tableau charts for you
    by Lucia Maffei, techcrunch.com

    자연어 생성툴을 개발하는 내러티브 사이언스가 데이터 시각화에 초점을 맞춘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기업인 타블로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Tableau Software의 주식이 시카고 소재 자연어 생성도구 개발 기업인 Narrative Science와 파트너십 발표 이후 13퍼센트 상승했다. 파트너십의 결과로 Tableau 그래픽스를 글로 표현한 설명을 자동적으로 만들어주는 무료 크롬 확장을 제공한다.
    [expand title=Eng]
    Tableau Software‘s shares soared 13 percent on Tuesday following the announcement that the data analytics provider has partnered with Narrative Science, a Chicago-based company that develops natural language generation (NLG) tools. The result of the partnership is Narratives for Tableau, a free Chrome extension that automatically creates written explanations for Tableau graphics.[/expand]

  • 포켓몬 고 이용자 차트

    These Charts Show That Pokemon Go Is Already in Decline by Luke Kawa, Lily Katz, Bloomberg

    -1x-1

    “7월 출시 이후 포켓몬 고 앱의 빠른 성장을 고려할 때, 투자자들은 새로운 이용자 경험이 다른 모바일 중심 앱들의 이용량을 손상시키는 것에 대해 우려했다.” … “하락 추세는 포켓몬 고에 대한 투자자들의 걱정을 누그러뜨렸다. [expand title=Eng] ”Given the rapid rise in usage of the Pokémon Go app since the launch in July, investors have been concerned that this new user experience has been detracting from time spent on other mobile focused apps,“ he writes. … ”The declining trends should assuage investor concerns about the impact of Pokémon Go on time spent on the above named companies,” writes Anthony.[/expand]

    초기에 워낙 폭발적이기도 했으니 하락세인 것은 당연할 수도 있지만 개인적인 경험으로 닌텐도에서 만드는 이러한 방식의 게임들이 금방 질리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할 게 없다. 포터블 게임기인 NDS 계열에서도 근거리 통신부터 AR까지 여러가지 시도를 했지만 본질적이기보다는 부수적인 기능들에 그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