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haeyeop

  • 인공지능 혁명

    waitbutwhy.com에 올라온 Tim Urban의 The AI Revolution: The Road to SuperintelligenceThe AI Revolution: Our Immortality or Extinction이라는 두 편의 글을 coolspeed님이 전문 번역했다. 상당히 긴 글이여서 갈무리해놓았다가 조금 여유가 생겨 오늘에서야 읽었다. 인공지능과 관련된 논의가 낯선 사람에게는 장문의 글임에도 불구하고 좋은 길잡이가 될만한 글이다.

    왜 최근에 빌 게이츠, 엘론 머스크, 스티븐 호킹 등 많은 유명인들이 인공지능을 경계하라고 호소하는가?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이 많은 주목을 받으면서 이와 관련해서 전문가들이 짦은 의견이나 논평을 내는데 우리나라 인문사회 전공자들의 이해 수준에 참담함을 느낄 뿐이다. 알파고 수준의 인공지능만으로도 우리가 사용하던 많은 개념이 다시 새롭게 정의될 필요성이 생겼다. 하지만 이런 문제에 대한 고민의 깊이는 깊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애플 법원 명령 거부

    A Message to Our Customers

    애플이 산 버나디노에서 발생했던 총격사건 범인의 아이폰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라는 법원의 명령을 거부했고, 팀 쿡이 이와 관련해서 고객들에게 편지를 썼다. 스마트폰이 삶의 중요한 일부가 된 오늘날 암호화가 왜 필요한지, 산 버나디노 케이스가 어떤 의미인지, 정부의 요청이 데이터 보안에 어떤 위협이 될 수 있으며 나쁜 선례를 남길 수 있다는 언급을 한다.

    지금 이 순간 공개된 토론이 필요하고, 우리는 고객들과 국민들이 무엇이 위태로운지 이해하기를 바란다.
    [expand title=English]
    This moment calls for public discussion, and we want our customers and people around the country to understand what is at stake.[/expand]

    당연한 일이지만 어떤 문제에 대해서 공개된 토론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는게 왜 멋있어보이는지 모르겠다.

  • 혁신적인 기업 1위 버즈피드

    미국 비즈니스 매거진인 fastcompany에서 2016 가장 혁신적인 기업 50개를 선정했는데 1위로 뽑힌 기업이 버즈피드이다.

    fastcompany에 버즈피드에 대한 장문의 기사 (How BuzzFeed’s Jonah Peretti Is Building A 100-Year Media Company)가 실렸는데 길지만 읽어볼만하다. 버즈피드는 비디오로만 월 50억 뷰를 달성했고, 웹 사이트에는 매달 8천만명이 방문한다.

    버즈피드는 100년 전 파라마운트처럼 글로벌 뉴스팀, 자체 비디오 제작 스튜디오, 정교한 데이터 작업, 기업 내 창의적인 광고 대행사와 같은 현대적인 미디어 비즈니스의 모든 요소들을 소유함으로써 성공을 만들어냈다.
    [expand title=English]
    BuzzFeed has built its success, like Paramount a century ago, by owning all the elements of a modern media business: a global news team, its own video pro­duction studio, a sophisticated data operation, and an in-house creative ad agency.[/expand]

  • 광고제거 프로그램 구글 스토어에 복귀

    Techcrunch, by Sarah Perez, Google Reverses Its Decision To Ban Ad Blocking Apps From The Google Play Store

    일주일 전 쯤에 삼성에서 자사의 폰 브라우저에 광고 차단 API를 추가했고, 이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으로 Adblock Fast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출시되었다. 하지만 구글은 이 앱이 불법이라며 플레이스토어에서 내려버렸었다. 구글은 다시 이 결정을 뒤집었다. 구글에서 정확한 코멘트를 하지 않았기에 무슨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이해하기는 어렵다.

    테크크런치는 상황을 잘 아는 구글 사람으로부터 회사가 API와 같은 인증된 채널을 통해서 다른 앱과 연결되는 것을 허용할 것이지만, 인증되지 않은 채널을 통해 다른 앱의 기능에 간섭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고 파악했다.
    [expand title=English]
    TechCrunch understands from a person familiar with the situation at Google that the company will now allow those apps that integrate with one another app through authorized channels, like APIs, but will continue to prohibit apps on Google Play that interfere with the functionality of other apps in an unauthorized manner.[/expand]

    왜 구글이 공개적으로 광고 제거프로그램을 지지하는지에 대해 궁금하다는 댓글이 달렸는데 몇 사람들이 실제 수익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중립적이어보이기를 원한다,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얻는 이용자 데이터가 훨씬 더 소중하다는 답변 등을 보였다.

  • 여러 곳에서 플래시 지원 중단

    앞으로 점점 많은 사이트들이 플래시를 지원하지 않게 된다.

    뉴욕타임즈는 향후 HTML5를 통해 동영상을 제공할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우리는 데스크톱과 모바일 웹 브라우저의 모든 비디오 재생에서 HTML5 기술을 사용한다. 플래시는 매우 강력하고 인기인는 기술이지만 브라우저들이 개방된 표준인 HTML5를 포용함으로써 시간이 갈수록 무의미해져왔다. 2015년의 후반기동안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는 이용자의 동의 없이 자동적으로 콘텐츠를 불러오는 플래시 플러그인을 차단하기 시작했었다. [expand title=English] We now use HTML5 video technology for all video playback on desktop and mobile web browsers. Flash was a very powerful and popular technology in its day but it has waned over the years as browsers have embraced the open standard of HTML5. Throughout the second half of 2015, Chrome, Firefox and Safari also began blocking the Flash plugin from automatically loading content unless users gave their permission.[/expand]

    구글도 2017년 1월 이후로 광고에서 플래시 사용을 금지한다.

    구글은 오늘 구글 디스플레이 네트워크와 더블클릭 디지털 마케팅이 내년까지 완전하게 플래시를 HTML5로 교체한다고 밝혔다. 자세하게는 광고주들은 2016년 6월 30일 이후로 애즈워드와 더블클릭 디지털 마케팅에 더 이상 플래시로 만들어진 디스플레이 광고를 업로드 할 수 없고, 2017년 1월 2일 이후로 플래시 포맷의 디스플레이 광고를 실행할 수 없다. [expand title=English]Google today announced that the Google Display Network and DoubleClick Digital Marketing are completely ditching Flash for HTML5 next year. More specifically, advertisers will no longer be able to upload display ads built in Flash into AdWords and DoubleClick Digital Marketing, starting on June 30, 2016, and won’t be able to run display ads in the Flash format on the Google Display Network or through DoubleClick, starting on January 2, 2017. [/expand]

    어도비가 완전히 플래시를 포기한 것은 아닌걸로 보인다. 블로터 기사에 따르면 며칠전 플래시 새 버전인 애니메이트CC를 발표했다.

    어도비가 플래시 기술을 완전히 버린 것은 아니다. 여전히 애니매이트 CC로 SWF 파일과 AIR 기술을 관리할 수 있다. 다만 애니매이트 CC는 기존 어도비 제품들과 통합을 강조하고, 웹표준 기술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갈 것으로 보인다.

    국내는 아직도 플래시를 사용하는 사이트들이나 비디오들이 많다. 국내 지상파 방송 콘텐츠를 볼 수 있는 pooq 같은 서비스도 플래시가 없으면 쓸 수 없고 스트리밍 음악 사이트들도 여전히 플래시를 많이 사용한다.

  • 위키피디아의 검색엔진

    Knowledge Engine: Wikimedia Foundation takes aim at Google with $3.5m search project

    위키피디아를 가지고 있는 위키미디어 파운데이션(Wikimedia Foundation)이 검색엔진과 관련해서 Knight Foundation으로부터 $250,000를 받았었다는 사실을 공표했다.

    “상업적인 검색엔진이 인터넷의 검색엔진을 지배하고 있고, 그들은 인터넷의 지식과 정보에 접속하는 채널을 통합하는 적절한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comScore에 따르면 구글의 시장 점유율은 약 67%이며 마이크로소프트의 빙이 20%정도로 두 번째를 차지한다. 야후가 10%로 세번째를 차지하고 있다.
    [expand title=English]
    Wikimedia’s grant application says that “commercial search engines dominate search-engine use of the internet, and they’re employing proprietary technologies to consolidate channels of access to the internet’s knowledge and information.”

    Reports from digital analytics company comScore put Google’s market share at about 67 per cent, with Microsoft’s Bing in second place at about 20 per cent and Yahoo third with about 10 per cent.[/expand]

    위키피디아의 Knowledge Engine은 품질을 위한 큐레이션 메커니즘, 투명성, 메타데이터에 대한 개방된 데이터 접근, 이용자 프라이버시 보호, 광고와 분리, 내면화의 여섯 가지 영역을 강조했다.

    1. Publication curation mechanisms for quality
    2. Transparency, telling users exactly how the information originated
    3. Open data access to metadata, giving users the exact data source of the information
    4. Protected user privacy, with their searching protected by strict privacy controls
    5. No advertising, which assures the free flow of information and a complete separation from commercial interests
    6. Internalisation, which emphasises community building and the sharing of information
  • 크롬 확장 프로그램 Adblock 매각

    engadget, Adblock Chrome extension has been sold to an unknown buyer

    광고를 차단해주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이 알 수 없는 곳에 매각되었다. Adblock에 광고 허용과 관련된 팝업이 며칠전부터 떴는데 매각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Adblock은 앞으로 유용한 광고를 보여주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공격적이고 성가신 광고들을 차단할 것이다. 모든 광고를 차단하는 옵션이 여전히 있지만, 기본 상태는 특정 광고를 보여주는 것이다.

    [expand title=English]
    Adblock will now show “useful ads” by default, with more aggressive and annoying ads getting blocked. There’s still an option to turn off all ads, but the default state will start letting some ads in.[/expand]

    사파리에서는 설치해놓았던 Adblock이 제대로 작성하지 않아서 μBlock을 설치했다. 사파리에서 Adblock이나 Adblock Plus에 비해서 안정적이고 빠른 속도를 제공한다고 한다(ONE님 블로그). 광고 차단이 이슈가 되면서 오히려 광고를 보여주는 시장이 새롭게 생겨나고 있는 것 같다. 크롬에서도 Adblock을 계속 사용할지 다른 차단 플러그인을 사용할지는 아직 모르겠다. 사파리에서 μBlock은 속도 면에서 매우 마음에 든다.

  • 언론사 사이트 모바일 광고의 대가

    NYT, The Cost of Mobile Ads on 50 News Websites

    NYT에서 50개 언론사 사이트의 모바일 페이지 로딩 속도를 광고와 콘텐트 부분으로 나누어서 측정한 재미있는 기사.

    국내 언론사에서 콘텐트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만 이용자 경험에 대한 배려는 전무한 것을 생각해보면 이러한 내용도 참고할만한 자료라고 생각한다. 4G LTE를 기반으로 로딩 시간, 데이터 사용량, 페이지 당 비용을 계산.

    뉴스 기사가 광고 인벤토리 없이 적절한 수익모델을 구현하는게 어렵다. 하지만 페이지 로딩 시간이 5초가 넘어가는 사이트들은 왠만큼 콘텐트가 차별화되어 있지 않다면 사람들이 클릭하게 만드는 것에서 가망성이 없다고 본다. 페이스북에서 유통되는 기사 댓글에 기사 본문 내용이 요약되어 달리는 것도 이러한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 Oculus 컨퍼런스에서 소개된 입력장치 Touch

    [youtube id=”s6BuN1uyq48″]

    Oculus 컨퍼런스에서 다양한 것들이 소개되었는데 그 중 입력장치인 Touch.
    단순히 콘텐트를 보기만 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 ebook 판매량이 감소하고 있는가

    Mathew Ingram, No, e-book sales are not falling, despite what publishers say

    뉴욕타임즈에 올라왔던 ebook 매출 감소에 대한 기사.

    아마존 매출 데이터에 기반한 Author Earnings의 차트에 따르면,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은 출판업자들의 시장 점유율이 감소하고 있는 반면, 독립적인 ebook 출판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산업 표준인 ISBN을 가지지 않은 책의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expand title=English]
    According to the figures from Author Earnings — which are based in part on regular samples of Amazon sales data — what’s really been happening is that the market share of established publishers has been declining, while sales of independently published e-books have been growing. In particular, sales of books that don’t even have industry standard ISBN numbers have increased.[/expand]

    aap-unit-sales

    관련하여 Ben Thompson이 쓴 Disconfirming Ebooks도 함께 읽어보기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