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haeyeop

  • 미국 여섯 개 미디어들의 뉴스 요약 전략

    Nieman Lab, What you need to know: How six publishers digest the news for readers

    미국의 여러 미디어들이 뉴스를 요약해서 제공해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Nieman Lab에서 Buzzfeed, Economist, NYT, Quartz, Vox, Yahoo News 가 어떻게 뉴스를 요약해서 제공하려고 노력하는지에 대한 소개글을 실었다.

    몇몇 미디어들은 앱과 뉴스레터를 효율적으로 조직한다. 뉴욕타임즈의 인기인는 아침 저녁 브리핑들은 NYT Now 앱에서 비롯했지만, 이메일 뉴스레터와 같은 다른 포맷으로도 이용이 가능했다. 버즈피드의 뉴스 앱은 뉴스레터에서 기사를 가져오지만 뉴스레터와 앱 모두 트위터 해시태그 #teamnewsapp 뿐만 아니라 버즈피드 블로그를 통해 공개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다른 미디어들은 뉴스레터 전략을 창조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Vox Sentences는 혼잡한 아침 시간을 피해 저녁 8시에 메일함에 도착한다. Quartz의 Daily Brief는 몇 가지 단순한 카테고리를 가지고 깔끔하고 텍스트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요약을 보여준다.
    어떤 미디어들은 완결성 있는 경험에 초점을 맞춘다. Yahoo News Digest는 하루에 두 번 요약된 뉴스를 제공하기 위해 알고리즘과 인간 큐레이터를 사용하는 복잡하게 디자인 된 앱이다. Economist의 Espresso 앱은 몇 분 내로 읽을 수 있는 짧은 읽기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치밀하게 짜여진 콘텐트 묶음을 제공한다.
    [expand title=English]
    Some publishers are juggling apps and newsletters. The New York Times’s popular morning and evening briefings originated on the NYT Now app, but have since been made available in other formats like the email newsletter. BuzzFeed’s news app, which launched this past June, imports features from its newsletter, and both the newsletter and app are evolving publicly on Twitter through the hashtag #teamnewsapp as well as on BuzzFeed’s blog.

    Other publishers have gotten creative with newsletter strategy. Vox’s Sentences avoids the morning flood and arrives in inboxes at 8 p.m. ET. Quartz’s Daily Brief is a clean, text-driven summary of news with a few simple categories.
    Some publishers focus on a “finishable” experience. Yahoo News Digest is an intricately designed app that uses an algorithm and human curation to create two digests a day, one in the morning and one in the evening. The Economist’s Espresso app, the first daily product in the publication’s 172-year history, provides a “very tightly curated bundle of content” built around an even shorter reading experience of just a few minutes.[/expand]

    Circa가 실패한 이유를 보더라도 사람들은 짧은 뉴스도 원하지만 실제로 관심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도 알기 어렵다. 단문의 뉴스와 장문의 뉴스가 유기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 광고 차단 논쟁

    Vox, Matthew Yglesias The ad blocking controversy, explained

    한참 전에 올라온 기사지만 기록을 위해 남겨놓는다. 최근까지도 광고 차단과 관련해서 여러가지 논의들이 지속되고 있지만 초반에 여러가지 이슈들을 잘 정리해놓은 기사. 크게 세 가지 변화를 설명한다.

    • 프로그램에 의한 디스플레이에서 네이티브 광고로 변화
    • 중간 규모의 출판물에서 복잡한 판매 전략을 지원해 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거나 낮은 수익을 감당할 수 있는 소규모 출판물 선호로 변화
    • 통제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웹에서 모바일로 변화

    [expand title=English]
    – A shift away from programmatic display ads in favor of “native” ads.
    – A shift away from mid-sized publications, in favor of publications that are either big enough to support a sophisticated sales operation or small enough to have low revenue needs.
    – A shift away from the web into mobile app platforms that can provide a more controlled experience.[/expand]

    한창 이슈가 되었던 광고 차단 관련 윤리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최근 PC에 설치한 Adblock Plus 경우도 콘텐트 이용 경험을 저해하지 않는 광고를 볼 것인지에 대한 옵션이 따로 생긴 것을 보면 여전히 이런 문제들에 대해서 논란이 진행중인 것 같다.

  • 크롬 확장 프로그램 Adblock 매각

    engadget, Adblock Chrome extension has been sold to an unknown buyer

    광고를 차단해주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이 알 수 없는 곳에 매각되었다. Adblock에 광고 허용과 관련된 팝업이 며칠전부터 떴는데 매각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Adblock은 앞으로 유용한 광고를 보여주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공격적이고 성가신 광고들을 차단할 것이다. 모든 광고를 차단하는 옵션이 여전히 있지만, 기본 상태는 특정 광고를 보여주는 것이다.

    [expand title=English]
    Adblock will now show “useful ads” by default, with more aggressive and annoying ads getting blocked. There’s still an option to turn off all ads, but the default state will start letting some ads in.[/expand]

    사파리에서는 설치해놓았던 Adblock이 제대로 작성하지 않아서 μBlock을 설치했다. 사파리에서 Adblock이나 Adblock Plus에 비해서 안정적이고 빠른 속도를 제공한다고 한다(ONE님 블로그). 광고 차단이 이슈가 되면서 오히려 광고를 보여주는 시장이 새롭게 생겨나고 있는 것 같다. 크롬에서도 Adblock을 계속 사용할지 다른 차단 플러그인을 사용할지는 아직 모르겠다. 사파리에서 μBlock은 속도 면에서 매우 마음에 든다.

  • 미국 3분기 유료TV 가입자 현황

    Mathew Ingram, Pay TV Industry: Yes, Cord-Cutting Is Accelerating, But It Could Be Worse!

    bn-le256_cordoh_g_20151109175900

    유료TV 공급자들은 지난 3달 사이 약 350,000명의 구독자를 잃었다. 이는 작년 동기 가입자 감소에 비해 두 배 높은 수치이다. 많은 이탈자는 코드커팅 승리주의자들을 위한 것이었다. 다른 말로 하자면, 넷플릭스, 훌루,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는 여전히 이기고 있고 전통적인 케이블 서비스는 여전히 잃고 있다.
    [expand title=English]
    Pay-TV providers lost a little more than 350,000 subscribers in the last three months. That’s more than twice what they lost in the same quarter of last year. So, plenty of ammunition for the cord-cutting triumphalists. In other words, streaming services like Netflix and Hulu and Amazon Prime Video are still winning viewers, and traditional cable services are still losing.[/expand]

  • 가상현실과 현실

    Mahew Ingram, We Need to Keep the ‘Reality’ in Virtual Reality

    VR은 리포터, 사진작가, 영상작가들이 특별한 사건의 가상화 된 버전을 만들도록 허락하기 때문에, 발생한 사건을 쉽게 왜곡할 수 있고 잘못된 인상을 주기 쉽다. 차례로 그 인상은 몰입감 있는 기술의 본질 때문에 더 강력하게 될 수 있다. …… 어떤 종류의 VR은 이용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점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종류의 VR은 이용자에게 특정한 버전의 사건만 보여줌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강화시킬 수 있다.

    [expand title=English] In other words, because VR lets reporters, photographers, and videographers create a simulated version of a specific event, it could easy let them distort what happened and give a false impression of that event. That impression, in turn, would become more powerful due of the nature of the immersive technology. …… Some kinds of VR can lessen this problem, by providing multiple viewpoints from which a user can choose to view an event — something that Fusion’s version of the story tried to do. But other kinds of VR can reinforce the problem by giving a viewer only a specific version of the events.[/expand]

    뉴스 아티클이 뉴스 보도보다 깊이가 있다는 것은 다양한 관점을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일 것이다. 뉴스는 단순히 텍스트가 아닌 콘텍스트이기 때문이다. VR은 강력해보이지만 우리가 다양한 관점을 동시에 바라보기는 쉽지 않다. 이는 문제에 대해 지적하는 글이다. AP의 Tom Kent는 VR 저널리즘을 위한 윤리적 가이드를 제시했다. VR 저널리즘은 새로운 시도이지만 저널리스트라면 생각해 볼 만한 이슈인 것 같다.

  • 중국 테러방지 법안 통과

    Chris Buckley, China Passes Antiterrorism Law That Critics Fear May Overreach

    중국이 일요일 논쟁이 되어 왔던 테러방지 법안을 통과시켰다고 한다. 새로운 법안과 관련해서 테러리즘에 대해 너무 폭넓게 정의하고 정부에 지나친 감시 권한을 부여한다는 비판이 있었다.

    최종적으로 승인된 법안은 초안에 있던 인터넷 기업과 기술 사업자들이 공식적인 검열을 위해 암호화 코드와 다른 민감한 데이터들을 넘겨야 한다는 내용을 삭제했다. 그러나 법은 여전히 경찰이나 기업들이 정부 보안 요원의 테러리즘 조사나 이를 방지하기 위한 요청이 있을 때 기술적인 정보를 건내주고 암호해독을 도와야 할 것을 요청한다.

    [expand title=English]
    In the end, the approved law published by state media dropped demands in the draft version that would have required Internet companies and other technology suppliers to hand over encryption codes and other sensitive data for official vetting before they went into use.

    But the law still requires that companies hand over technical information and help with decryption when the police or state security agents demand it for investigating or preventing terrorist cases.[/expand]

    먼 나라 이야기는 아니다.

  • 루이비통의 새로운 모델

    Louis Vuitton’s new top model is a video-game star

    루이비통에서 새로운 캠페인 모델을 공개했는데 파이널 판타지의 캐릭터로 유명한 라이트닝(애클레르 패런). 전반적인 캠페인에서 캐릭터를 어떤 식으로 사용할지는 아직 모르지만 이번 시즌 유행이 사이버와 공상과학이라고 한다.

    게스키에르는 근래 디지털과 판타지를 염두에 두고 있어왔다. 그의 루이비통 봄 콜랙션부터 메이크업까지 공상과학 소설, 만화, 애니메이션, 비디오게임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세일러 문이나 신세기 에반게리온과 같은 인기 있는 작품이나 비디오 게임과 관련된 세트에 대한 암시가 포함되었으며, 심지어 게임 마인크레프트에 대한 참조도 있었다.

    [expand]
    Ghesquière has had all things digital and fantasy in mind lately. His spring collection for Louis Vuitton pulled heavily from sci-fi, manga, anime, and video games, even down to the makeup. It included allusions to popular works such as Sailor Moon and Neon Genesis Evangelion, and the set, which was lined with video screens, even threw in a reference to the game Minecraft. [/expand]

    Reality and fantasy become one : lightning a genuine heroine in the new @louisvuitton series 4 ad campaign

    (@nicolasghesquiere)님이 게시한 동영상님,

  • 가상현실을 통한 경험

    SingularityHUB, by Jason Ganz, The Internet Allowed Us to Learn Anything—VR Will Let Us Experience Everything

    독서를 한다는 것은 혜택받은 소수 엘리트들의 전유물이었고, 멀리 있는 사람과 서로 소통한다는 것은 제한적이거나 비싼 일이었다. 하지만 인터넷은 모든 사람이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만들었고 누구든지 인터넷으로붙터 무언가를 배우고 자신의 지식을 공유할 수 있게 만들었다. 하지만 앞으로 단순히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시대를 넘어서 VR을 통해 무엇이든지 경험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다.

    인터넷의 등장은 지난 세기의 가장 중대한 발전 중 하나였다.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은 “아프리카의 한 아이가 15년 전 미국 대통령에 비해 더 많은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곧 아이들은 경험할 기회 역시 더욱 가지게 될 것이다.

    곧 우리는 가상현실 교실에서 수업을 배우고 가상현실 상점에서 쇼핑을 하고 가상현실 사무실에서 일을 할 것이다.

    우리는 이것의 장기적 결과를 추측할 수밖에 없다. 가상현실 사무실이 일반적인 것이 되었을 때 도시는 어떤 영향을 받을 것인가?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가상현실 스포츠와 콘서트에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우리는 마침내 오래되고 거대한 교육 기관의 품질을 넘어서는 디지털 대학을 만들 수 있을 것인가?

    때론 이 모든 것들은 짐작하기 어려운 것처럼 보인다. 우리는 다가오는 몇 년 이내에 이러한 거대한 변화를 볼 수 있을것인가?

    [expand title=English]
    The rise of the Internet was one of the most profound developments of the past century. The Internet famously allowed the futurist Ray Kurzweil to conclude that “A kid in Africa has access to more information than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did 15 years ago.” Well, pretty soon, that kid is going to have more opportunity for experiences too.

    Pretty soon, we’ll be learning in virtual-reality classrooms, shopping at virtual-reality stores, and even working in virtual-reality offices.

    We can only begin to speculate on the long-term consequences of this. How are cities affected when the VR office becomes the standard? How will the entertainment industry respond to live-streamed VR sports and concerts? Can we finally create a digital university that surpasses the quality of our oldest and grandest learning institutions?

    Sometimes this all seems hard to fathom. Could we really see these massive changes coming in just a few short years?[/expand]

  • 2015년이 인류에게 대단한 한 해인 11가지 이유

    Angus Hervey, 11 Reasons Why 2015 Was a Great Year For Humanity

    프랭클린 루즈벨트는 “우리의 진보를 검증하는 시험은 이미 많은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풍요에 더 많이 보태주느냐 아니냐 하는 것이 아니라, 지나치게 적게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충분히 주느냐 아니냐 하는 것입니다.” 라는 말을 남긴다 (The test of our progress is not whether we add more to the abundance of those who have much; it is whether we provide enough for those who have too little). 이러한 관점에서 2015년은 인류에게 대단한 한 해였다고 한다. 11가지 이유를 정리해놓았는데 관련된 자료들도 꼼꼼하게 붙어있다.

    • 우리는 포괄적, 보편적 교육에 가까워지고 있다
    • 극심한 가난이 10% 아래로 떨어졌고 역대 가장 낮은 비율이다
    • 점점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에 연결되고 있다
    • 수백만의 사람들이 최초로 금융 서비스에 접근하게 되었다
    • AIDS로 인한 죽음이 15년 연속 떨어지고 있다
    • 말라리아 사망율이 역대 최저치였다.
    • 소아마비가 곧 사라질 것이다
    • 어느 해보다도 적은 사람들이 굶주렸다
    • 더 많은 사람들이 깨끗한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유아 사망률이 43년 연속 하락했다
    • 기후 변화에 맞서 싸울 수 있는 전환점에 도달했다
  • 저커버그 집에 자비스 같은 시스템 갖출 것

    The Verge, By Jacob Kastrenakes. Mark Zuckerberg: I’m building an AI for my home that’s ‘kind of like Jarvis in Iron Man’

    저커버그가 아이언맨에 나오는 자비스와 같은 인공지능 시스템을 집에 구축할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저커버그의 비전은 기본적인 것에서 시작하지만 많은 포부를 가진다. “어떤 기술이 이미 가능한지 탐색할 것이다”라고 그는 말했다. 음악, 빛, 온도 등을 조절하는 것과 같은 목적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친구들이 문 앞에 왔을 때 파악하고 안으로 들여다줄 수 있기를 원하고 주의가 필요할 때 새로 태어난 딸에게 경고를 전해줄 수 있기를 원한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것들을 말하는 사람을 인식할 때 수행하기를 원한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모든 것들이 백만장자가 아닌 사람들도 할 수 있을것이다. 저커버그는 이미 그가 원하는 제품을 발견했다. “음악의 경우에는, 아마존 에코가 훌륭하다. 양 손이 맥스를 돌보느라 여유가 없는사이 목소리를 가지고 음악을 조절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expand title=Englsih]
    Zuckerberg’s vision starts basic but gets a lot more ambitious. “I’m going to start by exploring what technology is already out there,” he writes. That should be able to handle his initial goals, like controlling “music, lights, temperature, and so on.” He also wants this system to recognize when friends are at the front door and let them in, alert him if his newborn daughter needs attention, and to do all of this only when it recognizes the person speaking. For the most part, that’s all doable even for the non-billionaire home builder. Zuckerberg has already found one product that he likes: “For just music, the Amazon Echo is pretty great. It’s been very useful for controlling music with my voice while both hands are occupied taking care of Max.”[/expand]

    기술적으로는 다 가능해보이기는 하는데 돈 많은 양덕이라 시도해볼 수 있는건가.
    어쨌든 최근 많이 이야기하는 가정용 IoT 시스템이 연결만 되어 있고 두뇌가 빠져있는 걸 생각한다면 데이터와 이를 분석해서 솔루션을 제시해주는 플랫폼이 필요하다고는 생각하지만 그게 페이스북이 될 거라고 생각하면 좀 끔찍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