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haeyeop

  • 로봇은 인류를 죽이지 않을 것이다

    에버노트의 창업자 Phil Libin이 인터뷰에서 인공지능과 로봇에 대한 재미있는 의견을 밝혔다. 인공지능이 너무 발달하여 똑똑해지면 모든 인류를 몰살시키는 일이 발생할 것이라는 주장에 대한 반론이다. Vox에 실린 인터뷰의 일부 발췌 내용이다.

    나는 인공지능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나는 인공지능에 대한 논쟁은 지나치게 과장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약간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이점을 포함해서 여러가지 면에서 이상하다. 가설은 우리가 수퍼 인공지능 머신을 만들 것이고, 그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똑똑해지며, 우리보다 똑똑해져서 사람들을 죽이는 것이 최선이라는 논리적인 결정을 내릴 것이라 말한다.

    사건의 연속에서 몇 가지 빠진 단계가 있는 것 같다. 똑똑한 것이 왜 모든 인간을 죽일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 똑똑해질수록 사람들을 죽이고 싶지 않아진다! 왜 정말로 똑똑한 기계들이 도움이 되고 싶지 않아하겠는가? 똑똑한 것이 모든 인간을 죽일 것이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종으로서 우리의 죄책감은 무엇인가? 그것은 실제로 무엇이 일어날지에 대한 것보다 우리가 느끼는 죄책감에 대해서 더 많은 것을 이야기한다고 생각한다.

    만약 우리가 정말로 현명한 결정이 인류를 없애버리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인공지능을 제한하려고 시도하는 대신에, 우리가 무엇에 그렇게 죄책감을 느끼는지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고칠지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훨씬 더 유용할지도 모른다.

    [expand title=English]
    I’m not afraid of AI. I really think the AI debate is kind of overdramatized. To be honest with you, I kind of find it weird. And I find it weird for several reasons, including this one: there’s this hypothesis that we are going to build super-intelligent machines, and then they are going to get exponentially smarter and smarter, and so they will be much smarter than us, and these super-smart machines are going to make the logical decision that the best thing to do is to kill us.

    I feel like there’s a couple of steps missing in that chain of events. I don’t understand why the obviously smart thing to do would be to kill all the humans. The smarter I get the less I want to kill all the humans! Why wouldn’t these really smart machines not want to be helpful? What is it about our guilt as a species that makes us think the smart thing to do would be to kill all the humans? I think that actually says more about what we feel guilty about than what’s actually going to happen.

    If we really think a smart decision would be to wipe out humanity then maybe, instead of trying to prevent AI, it would be more useful to think about what are we so guilty about, and let’s fix that? [/expand]

    로봇이라는 단어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징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인간 vs. 로봇의 대결구조로 이끈다는 점이다. 로봇 저널리즘이라는 용법에 대해서도 어떤분이 지적했던 것처럼 알고리즘 저널리즘이 아닌 로봇 저널리즘이라는 단어로 인해 논의가 불필요하게 로봇 vs. 기자의 구조로 간다는 이야기에 공감한다. 로봇이 기자의 일을 대체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느낀다면 그것 역시 기자들의 죄의식에서 온 것일까?

  • 왜 NBCUniversal은 Vox에 투자하는가

    Comcast의 NBCUniversal이 Vox media에 2억 달러 (약 2,400억)를 투자했다. Vox media는 The Verge, Vox, SB Nation같은 사이트들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다. NBCUniversal의 투자에 대해 뉴미디어와 올드 미디어가 서로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기사. Vox 같은 경우 트래픽이 월 7500만 정도 나오지만 허핑톤포스트의 월 1억 2500만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수준이고, 네이티브 애드의 경우 아직 충분한 수익이 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기에 성장을 위해서는 투자가 필요하고 현금이 필요하다는 건 이해할 수 있는 상황이다. 그렇다면 전통 미디어가 투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래서 Comcast/NBCUniversal이 이러한 거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미래에 대한 대비책(hedge)을 의미한다. Vox와 Buzzfeed같은 섹시한 신흥 뉴미디어들과 의기투합하는 것은 쿨한 요소가 있고, 케이블 공급자가 뉴미디어의 콘텐츠를 다양한 방송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뉴 미디어 선두주자들을 가지는 것이 올드 미디어 기업들에게 (밀레니얼들에게 선호되는) 미래의 콘텐츠를 향한 길을 열어주었다는 점이 더 큰 이유이다.

    [expand title=English]
    So what does Comcast/NBCUniversal get out of these kinds of deals? For the most part, it means they get a hedge against the future. Rubbing shoulders with sexy new-media upstarts like Vox and BuzzFeed has a certain cool factor to it, and there’s the possibility of the cable provider using new media content for its various broadcast properties. The larger rationale is that having a chunk of a couple of new-media pioneers gives old media companies a window into the future of content, especially that favored by millennials.[/expand]

    전통미디어들은 더 적극적으로 새로운 미디어에 투자할 필요하 있다고 생각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Mathew Ingram의 The attention economy and the implosion of traditional media을 읽어보는 것도 좋다.

  • 주목 경제와 전통 미디어의 붕괴

    삼성의 갤럭시 공개 행사에서 발표된 재미있는 기능 중 하나는 실시간 방송이었다[1]. 이용자들은 스마트폰에서 유투브로 직접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은 최근 대세로 느껴진다. 이러한 개인 방송들이 전통적 미디어를 붕괴시키는 여러 원인들 중 하나이다. Mathew Ingram은 주목 경제와 전통 미디어의 붕괴(The attention economy and the implosion of traditional media)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만약 자세히 살표본다면 그러한 신호는 도처에 있다. 많은 나이든 인터넷 이용자들은 들어본 적도 없는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트위치)가 1조원에 (아마존에) 인수되었다. 페이스북은 믿기 어려운 20조원에 왓츠앱을 샀다. 특이한 이름을 가진 유투브 비디오 크리에이터(PewDiePie)는 연간 90억 정도 수익을 올리고 4천만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간단히 말하면 미디어 세계는 이전에 볼 수 없던 유동적인 상태이다. 반면 많은 주류 미디어 기업들은 여전히 코드커팅과 같은 개념을 이해하려고 하고 있다. 이것은 12차선 고속도로 한가운데에서 자전거 바퀴 바람이 빠진걸 걱정하는 것과 약간 비슷하다.
    [expand title=English]
    There are signs of it everywhere, if you look closely. A streaming-video service that many older Internet users have probably never heard of sells for $1 billion. Facebook buys WhatsApp for a mind-boggling $19 billion. And a YouTube video creator with a ridiculous name makes an estimated $7.5 million per year and has close to 40 million subscribers.

    In a nutshell, the media world as we know it (or used to know it) is in a state of flux unlike anything we’ve seen before—and that includes the invention of television itself. Many mainstream media companies, meanwhile, are still trying to come to grips with the concept of “cord cutting,” which is a little like worrying about a flat tire on your bicycle when you are stuck in the middle of a 12-lane highway.[/expand]

    나도 최근 들어 유투브나 아프리카를 보는 시간이 전통 미디어를 보는 시간보다 많아졌다. 주목이 쏠리는 곳으로 돈이 흐르는 것은 명확한 일이다. 그리고 현재 많은 사람들의 시선은 전통미디어를 떠나 다양하게 분화되고 있다.

  • 로렌스 레식 대선 출마 선언

    공유경제 및 오픈소스 운동으로 널리 알려진 로렌스 레식 교수가 미 대선후보 경선에 참여하겠다는 선언을 했다 (블로터 기사).

    로렌스 레식 교수는 “조작되고 있는 민주주의 시스템을 바로 잡기 위해 경선에 참여하고 싶다”라고 출마를 결심한 이유를 밝혔다. 그는 대선 출마 과정의 첫 단계로 크라우드펀딩을 시작하고 9월 첫째 주 월요일까지 시민들에게 후원금을 받을 예정이다. 목표 모금액은 100만달러, 우리돈 약 11억원이다. 목표 금액을 다 모은 경우에만 경선에 참여할 예정이다. 만약 그렇지 않은 경우, 후원자에게 모금액을 다시 돌려줄 계획이다. 현재까지 1200명이 넘는 인원이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했으며 목표 금액의 10%를 모은 상태다.

    쟁쟁한 후보들 사이에서 당연히 될 수는 없겠지만 자신이 주장하는 평등법과 관련 내용을 알리기 위함인 듯 보인다.

    로렌스 레식 교수가 내건 핵심 공약 가운데 하나는 ‘평등’이다. 부의 평등이나, 표현의 평등의 말하는 게 아니다. 시민들의 의견이 민주주의에 잘 반영될 수 있는 평등이다. 이를 위해 그는 ‘시민평등법(The Citizen Equality Act of 2017)’을 제안했다. 시민평등법은 투표권을 더 공평하게 제공하기 위해 투표일을 공휴일로 바꾸고, 게리멘더링같이 선거구를 유리하게 조작하는 방식을 없애고, 선거자금을 더 투명하게 모금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선거구나 선거방식과 관련된 이슈들은 국내에서도 중요한데 우리에게도 이런 논의가 필요하지 않나 싶다.

  • 왜 구글은 알파벳이 되었는가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은 구글의 본래 검색 비즈니스 외 새로운 사업에 투자하기 위해 모회사 알파벳을 만들었다는 소식이 어제 테크 관련 뉴스 대부분을 채웠다. 구글을 포함하여 2014년 인수한 Nest, 홈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는 Google Fiber, 생명연장과 관련된 연구를 하는 Calico가 자회사로 들어갔다. 두 창업자가 상당히 멋진 일들을 한다는 생각을 했는데 이와 관련된 짧은 이야기를 Vox에서 봤다.

    알파벳이라는 페이지와 브린의 야심찬 계획은 공동 창립자에게 의결권 대부분이 주어지는 색다른 기업 구조로 인해 가능했다. 그 결과 그들은 주주들이 원하는 것에 대해 신경쓰지 않고 원하는 대로 할 수 있는 폭넓은 재량권을 가지고 있다.

    수익을 내는 기업들은 종종 배당금이나 자사주매입을 통해 주주들에게 현금을 돌려주라는 압력에 직면한다. 그러나 페이지는 그럴 의사가 없다는 것을 명확히 했다. 대신 그는 알파벳을 만들었다. 구글의 수십억달라의 수익을 월스트리트가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효율적으로 투자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expand title=English]
    Page and Brin’s ambitious plans for Alphabet are made possible by Google’s unusual corporate structure, which gives the co-founders a majority of the voting power. As a result, they have wide discretion to do as they please with Google, without worrying about what shareholders want.

    Profitable companies often face pressures to return cash to shareholders through dividends and buybacks, but Page is making clear he has no intention of doing that. Instead, he is creating Alphabet because he believes he can invest Google’s billions of dollars in annual profits more effectively than Wall Street can.[/expand]

    이번 알파벳을 만들면서 구글이 모든 사업을 다 포함하고 있을때보다는 각 사업이 얼마나 성과를 내고 있는지 평가하기 더 명확해진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 런타스틱 아디다스에 인수

    테크크런치 기사에 따르면 런타스틱이 아디다스에 $240 million (약 2800억 원)에 인수되었다. 런타스틱은 같은 이름을 가진 20여개의 시리즈 앱을 가지고 있다. 1억4천 이상 다운로드를 받았고 인수 시점에 7천명 이상의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 페이스북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페이스북이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블로터 기사.

    라이브를 놓쳤다고 해서 아쉬워할 필요는 없다. 생방송이 끝나면 자동으로 페이스북 페이지에 저장된다. ‘미어캣’이 생방송 이후 바로 삭제되고, ‘페리스코프’가 방송 이후 24시간 동안만 녹화본을 볼 수 있는 것과는 대비된다. 바딤 라브루직 프로덕트 매니저는 <테크크런치>와의 인터뷰에서 “페이스북 비디오 시청수의 53%는 공유에서 나온다”라며 “생방송이 종료된 뒤에도 녹화된 영상을 볼 수 있다”라고 자동으로 저장되는 페이스북 라이브의 장점을 강조했다.

    미어캣이나 페리스코프와 달리 동영상이 저장되고 페이스북에서 바로 공유된다는 점이 굉장한 장점이다. 모든게 페이스북 안에서 이루어지는 시대이다.

  • 타깃이 비콘 사용 서비스 출시

    미국 마켓 체인 타깃(target)이 50개 매장에서 비콘을 사용한 고객 추적 프로그램을 출시했다는 버즈피드 기사.

    비콘은 GPS나 Wi-Fi보다 훨씬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GPS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은 당신이 거리 어디에 있는지를 말해줄 수 있다.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은 당신이 방 안에 어디에 있는지 말해줄 수 있다.

    [expand title=English]
    Beacons can provide much more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than GPS or Wi-Fi. Using GPS, a phone can tell where you are on a street. Using Bluetooth, a phone can tell where you are in a room — close to a stereo that’s on sale, for example.[/expand]

    타깃은 고객들 동선을 추적하고 적절한 상품이나 쿠폰을 추천해주는 것 뿐만 아니라 직원들에게도 비콘을 이용한 서비스를 적용시킬 계획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고객들이 질문이 있거나 필요한 물건이 있을 때 가장 적절한 직원을 호출해 주는 식이다.

  • 트위터 뉴스 서비스

    트위터의 새로운 뉴스 서비스에 대한 Mathew Ingram 기사.

    이 기능은 프로젝트 라이트닝이라고 불리는 프로젝트를 포함하여 서비스를 더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해 필터링과 추천 서비스를 포함하는 시도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뉴스 탭에 대한 일본과 미국 일부 이용자들의 초기 반응은 유용하지 않고 더 어수선하기에 전혀 감동스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expand title=English] The feature appears to be another step in the company’s attempt to add more filtering and recommendations to the service to make it more appealing, including a venture called Project Lightning. The initial response to the News tab from some users both in Japan and the U.S. seems to be underwhelming at best, however, with a number saying it isn’t useful and just adds more clutter.[/expand]

    기능 자체가 별로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일부 미디어 기업들에게는 페이스북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일 수도 있겠지만 실제 이용자 숫자에서도 이미 너무 많은 차이가 난다.

  • IBM Watson 작가들의 글을 읽고 성격 예측

    IBM Watson이 글을 보고 글을 쓴 사람의 성격에 대해서 예측했다는 기사. 모비딕, 해리포터, 노인과 바다, 21세기 자본론 등을 읽고 작가의 성향을 말했는데 잘 맞았다고 한다. 물론 정확할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현재 왓슷이 이 정도 수준이 가능하다고 생각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