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IT

  • 딥페이크 논쟁과 포토샵 역사

    Deep Fakes: Let’s Not Go Off The Deep End

    완전히 새로운 기술로서 딥페이크가 많은 것을 바꾸어놓을 것이라는 두려움이 있으나 실제 지금 발생하고 있는 논쟁은 포토샵이 처음 등장했을 때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는 글이다. 속임수의 역사는 오래되었고 대중의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진실을 파악하기 위한 다른 방식을 도입했다는 이야기.

    나쁜 가짜는 사진 조작에 대한 대중의 인식 증가의 일부일뿐이다. 수 년 동안 패션 잡지는 표지 모델의 외모를 바꾸기 위해 기만적인 기술을 사용했다. 표지에 더 매력적인 모델을 사용하는 잡지는 일반적으로 매력이 떨어지는 잡지보다 많은 부수를 판매하기에 편집자는 사진을 수정하여 대중에게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게 만든다. 불행히도, 이러한 관행은 사회에 비현실적인 아름다움의 이미지를 만들어 냈다. 일단 이러한 수정이 발견되면 건강 단체는 이러한 현상이 야기한 위험 – 특히 식이 장애에 대해 공개적으로 경고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계속되는 대중의 항의로 인해 사람들은 사진 편집 기술과 그것이 할 수 있었던 것에 대해 알게되었다.
    사회적 적응은 더 이상 사진 조작에 아무도 속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가? 당연히 아니다. 사진에서 진실의 죽음을 이야기하는 대신에 신기술에 대한 인식은 사람들이 제시된 이미지의 진위 여부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되는 다른 지표 (예: 출처의 신뢰성)를 사용하도록 권장했다. 결과적으로 뉴스 매체 및 기타 사진 게시자는 정책을 수립하고 사용하는 이미지에 대한 이용자의 신뢰를 육성하는 것을 염두에 둔 의사결정을 내렸다. 예를 들어, 2003 년 로스 앤젤레스 타임스는 이라크 전쟁 사진을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 한 기자를 신속히 해고했다. 왜냐하면 편집자들은 조작 된 이미지를 출판하면 독자의 신문 진실성에 대한 인식이 약화될 것이기 때문이다.
    [expand title=eng]
    Bad fakes were only part of the growing public awareness of photographic manipulation. For years, fashion magazines have employed deceptive techniques to alter the appearance of cover models. Magazines with more attractive models on the cover generally sell more copies than those featuring less attractive ones, so editors retouch photos to make them more appealing to the public. Unfortunately, this practice created an unrealistic image of beauty in society and, once this was discovered, health organizations began publically warning about the dangers this phenomenon caused — most notably eating disorders. And due to the ensuing public outcry, families across the country became aware of photo-editing technology and what it was capable of.
    Does societal adaptation mean that no one falls for photo manipulation anymore? Of course not. But instead of prompting the death of truth in photography, awareness of the new technology has encouraged people to use other indicators — such as trustworthiness of the source — to make informed decisions about whether an image presented is authentic. And as a result, news outlets and other publishers of photographs have gone on to establish policies and make decisions regarding the images they use with an eye toward fostering their audience’s trust. For example, in 2003, the Los Angeles Times quickly fired a reporter who had digitally altered Iraq War photographs because the editors realized that publishing a manipulated image would diminish their reader’s perception of the paper’s veracity.[/expand]

  •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웹

    Our Web Champions
    팀 버너스리와 로즈마리 리스는 32번째 웹 탄생일에 올린 공개서한에서 COVID-19의 어려움에도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세계의 젊은 사람들을 연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Hera Hussain: 성폭력 생존자를위한 자원 봉사자 커뮤니티 Chayn의 창립자
    • Avi Schiffmann: COVID-19 통계를 추적하기 위해 널리 사용하는 웹 리소스를 만든 고등학생
    • Arda Awais / Savena Surana: 디지털 정체성을 탐구하는 예술 프로젝트 인 Identity 2.0의 제작자
    • Peter Okwoko : 웹을 협업 및 정보 공유 도구로 사용하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자원으로 전환하고 거리에 연결된 청소년을위한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회적 기업
  • 기술과 노동자의 분화

    Tech Is Splitting the U.S. Work Force in Two
    By Eduardo Porter, www.nytimes.com

    로봇으로 인한 노동시장의 양극화를 설명하는 글. 기술이 모든 것을 해결해 줄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도 있으나 이러한 견해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보인다. 실질적으로 생산성 증가는 고학력 전문가에게서 발생하고 나머지 영역의 생산성이 증가하지 않아서 노동시장이 두 가지로 분화되는 것을 언급하고 있다.

    자동화는 미국 노동력을 두 세계로 분열시키고 있다. 직원당 수십만 달러의 수익을 거두는 인텔 또는 보잉과 같은 회사에서 좋은 임금을 받는 고학력 전문가들이 모인 작은 섬이 있다. 그 섬은 저학력 노동자의 바다 한 가운데 있으며 직원당 적은 수익을 만들어내고 낮은 임금을 통해 생존하는 호텔, 레스토랑, 양로원과 같은 비즈니스에 갇혀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로봇은 노동자 수요를 줄이고 노동자 생산성보다 임금을 낮추고 있는다고 결론지었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지난 30년간 로봇 사용으로 인해 노동자의 지갑으로 가야할 국민 소득 비율이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생산성이 낮은 부분으로 근로자를 끌어 들이기 때문에 자동화는 경제의 골치아픈 패러독스를 설명하는 것을 도와준다. 정보 기술, 로봇, 인공지능의 획기적 확산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생산성 증가가 부진한 상태로 남아있는 경제의 가장 역설적 모순 중 하나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expand title=eng]
    Automation is splitting the American labor force into two worlds. There is a small island of highly educated professionals making good wages at corporations like Intel or Boeing, which reap hundreds of thousands of dollars in profit per employee. That island sits in the middle of a sea of less educated workers who are stuck at businesses like hotels, restaurants and nursing homes that generate much smaller profits per employee and stay viable primarily by keeping wages low.
    Recent research has concluded that robots are reducing the demand for workers and weighing down wages, which have been rising more slowly than the productivity of workers. Some economists have concluded that the use of robots explains the decline in the share of national income going into workers’ paychecks over the last three decades.
    Because it pushes workers to the less productive parts of the economy, automation also helps explain one of the economy’s thorniest paradoxes: Despite the spread of information technology, robo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reakthroughs, overall productivity growth remains sluggish.[/expand]

  • 중국의 감시기술 투자

    Inside China’s Dystopian Dreams A.I., Shame and Lots of Cameras
    The New York Times · by Paul Mozur

    중국의 개인 감시 기술에 대한 기사는 국내에도 많이 나왔는데 특별히 업데이트 된 이야기는 없는 것 같다. 그럼에도 향후 언급한 부분이 있어서 올려놓는다.

    시진핑은 중국 감시국을 대대적으로 업그레이드했다. 중국은 보안 및 감시 기술 분야에서 세계 최대의 시장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으며, 분석가들은 2020년까지 약 3억 대의 카메라를 설치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구매자는 얼굴이 나온 비디오 영상을 스캔하도록 설계된 모든 서버의 4 분의 3 이상을 사갈 것이라고 리서치 회사인 IUS Markit은 예측했다. 중국 경찰은 지난 수개월 동안 테크노 기반 스누핑에 300억 달러를 추가로 지출 할 것이라고 한 전문가는 말했다.[expand title=eng]
    Mr. Xi has launched a major upgrade of the Chinese surveillance state. China has become the world’s biggest market for security and surveillance technology, with analysts estimating the country will have almost 300 million cameras installed by 2020. Chinese buyers will snap up more than three-quarters of all servers designed to scan video footage for faces, predicts IHS Markit, a research firm. China’s police will spend an additional $30 billion in the coming years on techno-enabled snooping, according to one expert quoted in state media.[/expand]

    국가적으로 감시에 투자하기에 기술을 보유한 여러 보안관련 기업들이 성장하고 있다. 발전하고자 하는 기술과 국가의 욕망이 맞아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 비트코인 티모시 메이 인터뷰

    ‘사이퍼펑크의 전설’은 요즘 블록체인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
    코인데스크코리아

    다시 말하지만 가장 중요한 문제는 프라이버시 혹은 익명성을 지키느냐 아니면 고객파악제도(KYC)에 따라 거래 당사자의 신원을 중앙 권력이 일일이 확인하고 관장하느냐의 싸움입니다. “권력을 분산하는(decentralized), 무정부주의(anarchic), 개인 간 직접 거래(peer-to-peer)”냐, 아니면 “권력을 집중하는(centralized), 중앙의 승인을 받아야만 거래할 수 있는(permissioned), 권력이 뒤에서 모든 것을 감시하고 장악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느냐(back door)”의 싸움이기도 합니다. 프라이버시를 무엇보다 중시하는 사이퍼펑크나 사토시, 다른 선구자들은 중앙의 승인이 없이도 누구나 접근할 수 있으며 거래 수단으로 돈을 주고받는 과정은 중개인 없이 개인 간에 직접 하는 방식을 고집해왔습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아예 법정화폐를 대체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죠.

    비트코인에 대해 복잡한 이야기를 하지만 결국 중요한 컨셉은 이 부분 아닌가 싶다. 일본에서는 세금도 걷는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과연 비트코인이 가지는 의미가 있을까.

  • 프랑스 구글에 5천만 유로 벌금


    French data protection watchdog fines Google $57 million under the GDPR

    Romain Dillet by TechCrunch

    프랑스 데이터 보호 감시기관 CNIL이 구글에 GDPR 위반혐위로 5천만 유로 벌금을 부과했다는 기사. 새로운 안드로이드폰 설정과정에서 GDPR 규정을 준수하지 못했다는 것. 투명성과 이용자동의 부문에서 세 가지 사례를 이야기 함.

    첫째, 만약 이용자들이 개인화 광고에 자신의 데이터가 이용되는 절차를 확인하기 위해서 5-6번의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용어가 애매모호하여 이해하기 어렵다는 점). 둘째, 이용자를 구글 계정에 로그인하도록 강제한다는 점(계정을 만들지 않으면 이용자 경험이 악화될 것이라고 말함). 셋째, GDPR에서 금지하는 광범위한 동의를 요청한다는 점이다.

  • Edge 브라우저 NewsGuard 플러그인

    Don’t trust Daily Mail website, Microsoft browser warns users
    Jim Waterson, Guardian

    MS Edge 브라우저 모바일에 NewsGuard 플러그인이 들어간다. 데일리 메일(Daily Mail) 웹 사이트 방문자는 “일반적으로 본 사이트는 정확성과 책무성의 기본 표준을 유지하지 못함”, “많은 유명 인사의 사례에 대해 손해 배상을 강요 당했다”, “평판을 손상 시키거나 광범위한 경고를 유발하거나 개인 정보 침해를 구성하는 콘텐츠를 정기적으로 게시함”과 같은 경고 메시지를 보게 된다.

    NewsGuard는 뉴스 업계 베테랑들에 의해 운영되며 신뢰하라 수 있는 뉴스 웹 사이트를 위한 업계 표준 벤치 마크를 수립하려는 시도라고 말한다. 사이트가 일련의 저널리즘 표준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직접 확인하는 애널리스트를 고용한다. 모든 판결을 공개하며 비평에 응답하고 더 높은 평점을 얻기 위해 표준을 개선 할 수 있도록 언론사를 초대한다.[expand title=eng]
    NewsGuard is run by news industry veterans and says it is trying to establish industry-standard benchmarks for which news websites should be trusted. It employs analysts to manually check whether sites meet a series of journalistic standards, making all its judgments public and inviting outlets to respond to criticism and improve their standards to gain a higher rating.[/expand]

    비즈니스 모델은 기술 기반 기업에 라이센스를 판매하는 형태. 부정확한 정보와 싸워야 하지만 책임은 지고 싶지 않은 기술기반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밝히고 있다.

  • 의미를 잃어가는 블록체인

    ‘Blockchain’ is meaningless
    The Verge · by Adrianne Jeffries

    비트코인이 주류 담론에 들어오면서 많은 담론이 이어지고 있지만 이해가 부족한 개념이라는 이야기. 비트코인과 암호화폐를 뒷받침하는 디지털 장부에 대한 아이디어는 너무 광범위해져서 은행거래부터 물류유통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설명하는데 사용되고 있다고 함.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고 봄.

    Google의 블록체인에 대한 정의는 비트 코인 (bitcoin) 또는 다른 암호화폐에서 거래가 시간순서로 공개적으로 기록되는 디지털 장부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블록체인이 디지털 장부라는 점에 동의하지만, 많은 블록체인은 암호화폐와 관련이 없으며 공개적으로 기록되지 않는다. 심지어 블록 체인이 디지털일 필요는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Investopedia는 “블록체인은 모든 암호화폐 거래에서 디지털화되고 분산된 공개 원장입니다.”라고 말한다. 다시 말하지만, 많은 블록체인은 공개되지 않으며 많은 블록체인은 분산되어 있지 않는다.
    [expand title=eng]
    Google’s definition of “blockchain” is “a digital ledger in which transactions made in bitcoin or another cryptocurrency are recorded chronologically and publicly.” While most people would agree that a blockchain is a digital ledger, many blockchains do not have an associated cryptocurrency and are not recorded publicly. Some would even argue that a blockchain needn’t be digital.

    Investopedia says, “A blockchain is a digitized, decentralized, public ledger of all cryptocurrency transactions.” Again, many blockchains are not public, and many others are not decentralized.[/expand]

    블록체인이라는 말을 마케팅에 사용하는 기업들도 있는데, 무엇이 블록체인 기술인지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표준안이 마련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이야기.

  • 위키피디아 이용에 대한 설문조사

    Why the world reads Wikipedia What we learned about reader motivation from a recent research study
    blog.wikimedia.org · by Florian Lemmerich

    위키피디아에서 250M+ 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그래프를 보면, 특정 언어를 사용하는 위키피디아 사용자 중 약 35%가 위키피디아에서 특정 사실을 찾았으며 33%는 주제에 대한 개요나 요약, 32 %는 위키피디아에서 주제를 심층적으로 읽는다.[expand title=eng]
    From these graphs, we see that on average around 35 percent of Wikipedia users across these languages come to Wikipedia for looking up a specific fact, 33 percent come for an overview or summary of a topic, and 32 percent come to Wikipedia to read about a topic in-depth. [/expand]

    동기와 관련된 설문 문항들도 있는데 책, 라디오, 영화, TV 프로그램과 같은 미디어는 독자를 위키피디아로 유입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한다.

  • 로레알 AR 뷰티앱 모디페이스 인수

    L’Oreal acquires Modiface, a major AR beauty company
    The Verge·by Ashley Carman

    로레알이 AR 뷰티 앱 모디페이스를 인수했다. AR에 대한 내용 이외에도 소비자 브랜드이지만 실질적으로 소비자와 접점이 없던 로레알 같은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직접 이야기할 수 있는 방식을 생각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어보인다.

    로레알(L’Oreal)은 오늘 Sephora와 Estée Lauder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 다양한 맞춤형 증강현실 뷰티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회사 Modiface를 인수했다. 로레알은 지출 한 금액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사용자가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을 시각화하는 데 도움이되는 Modiface의 수많은 특허를 소유하게 된다고 로이터 통신에 밝혔다. Modiface가 이미 로레알과 여러 번 협업을 맺었다는 점에서 파트너십은 의미가 있다. 스타일 마이 헤어(Style My Hair) 앱 출시와 함께 사용자들은 다양한 헤어 스타일을 시도 할 수있다. 이 앱의 경우 Modiface는 22,000 개의 얼굴 이미지에 수동으로 주석을 추가하여 경험을 쌓았다.[expand title=eng] L’Oreal announced today that it has acquired Modiface, a company that’s had a hand in the creation of many custom augmented reality beauty apps, including those from Sephora and Estée Lauder. L’Oreal didn’t disclose the amount spent, but it did tell Reuters that it now owns Modiface’s numerous patents that help users visualize makeup and hairstyles on themselves. The partnership makes sense in that Modiface has already worked with L’Oreal multiple times, including on the launch of its Style My Hair mobile app, which lets users try on different hairstyles. For that app, Modiface manually annotated 22,000 facial images to create the experience.[/exp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