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Media

  • 퓨리서치: 뉴스 이용자의 감소추세

    Americans are following the news less closely than they used to

    사람들이 점점 뉴스를 보지 않는다는 사실은 그다지 새로운 결과는 아닐수 있다. 국내에서 조사한 한국언론진흥재단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2>에도 나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퓨 리서치에서 조사한 결과도 유사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뉴스를 집중해서 보는 사람이 줄어들고 있으며, 이는 전 연령, 교육, 성별, 인종, 민족, 정치성향 포함한 인구통계 특성 전반에 나타나는 결과라고 한다.

  • 소셜 미디어 구출 사고연습

    MUBI 제품 부사장 Narain Jashanmal이라는 사람이 미디엄에 쓴 글이다. 아티팩트가 문을 닫는다는 소식을 듣고 소셜 미디어 운영에 관해 생각한 사고 연습에 관해 적었다. 아티팩트에 관해 처음 봤던 내용은 여기, 종료 공지는 여기.

    텀블러와 관련해 도전과 기회에 관해 생각한 내용을 정리한다.

    • 도전
      • 성인용 콘텐츠: 성인용 콘텐츠 소비를 중심으로 한 MAU가 규제 이후 크게 감소
      • 네트워크효과: 웹 중심의 제품으로 트래픽이 자연검색에서 발생하며 비고정적, 텀블러 익명성과 결합하여 낮은 네트워크 효과
      • 수익: 텀블러 사용자들은 광고에 관심이 없었음
    • 기회
      • 모바일 앱 우선: 모바일 이용이 더 높기에 다른 소셜 미디어(아티팩트, 스레드 등) 모바일 앱으로 출시. 텀블러는? 모바일 웹 사이트 구축 관리가 가능한 몇 안 되는 서비스이지만 제한적으로, 앱은 알람 허브 역할
      • 배포: 소수의 크리에이터 그룹이라도 매력적인 콘텐츠를 정기적으로 게시하면 플라이휠이 작동
      • 일상적 습관: 소비자들이 매일 여러 번 다시 방문하도록 만드는 것이 가장 어려운 부분. 고려해야 할 수단은 소비와 관련된 것으로 댓글과 댓글에 연결된 알림이 대표적인 예
    • 위험
      • 기존 MAU 중 극히 일부만이 새로 구축한 기능에 관심을 보인다는 것
      • 인수 기업은 기존 (그리고 종종 오래된) 기술 스택으로 인해 부담을 느끼면서 성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무언가를 구축하는 대신(기존 사용자가 소외될까 봐) 현재 MAU를 극대화하는 데 집중

    그러면서 아티팩트는 기존 제품에 대한 부담없이 구축, 출시, 반복, 최적화를 빠르게 해냈다고 평가한다. 사고 연습 부분이 참고할만하여 기록해놓는다.

  • 스크린타임과 아동 인지발달

    No evidence screen time is negative for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and well-being: Oxford Study

    옥스포드 인터넷 연구소, 옥스포드 대학교, 오레곤 대학교, 틸버그 대학교, 캠브리지 대학교의 연구진은 미국에서 뇌 발달과 아동 건강에 관한 최대 규모의 장기 연구인 청소년 뇌 인지 발달 (ABCD) 연구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9~12세 아동의 인지 기능과 자가 보고한 스크린 시간 사용 현황을 분석했습니다 .

    Cortex저널에 게재된 이 연구는 2년에 걸쳐 참여 어린이들이 매일 디지털 활동에 소비하는 시간을 추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아이들의 응답은 전혀 시간이 없다는 답변부터 하루에 4시간 이상이라는 답변까지 다양했습니다.

    스크린 타임 활동에는 TV 프로그램이나 영화 시청 , YouTube와 같은 디지털 플랫폼을 이용한 동영상 시청과같은 ‘전통적인’ 스크린 활동뿐만 아니라 비디오 게임과 같은 인터랙티브 활동도포함되었습니다. 또한 앱, 전화, 화상 통화, 소셜 미디어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에 대해서도 질문했습니다.

    디지털 참여율이 높은 참가자의 경우에도 아동의 뇌 발달에 장애가 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여전히 잘못된 원인에 기대서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 유니버셜 뮤직, Deezer와 스트리밍 계약

    Universal Music Group lands new royalty model that boosts popular artists
    Verge

    별다른 생각이 없어서인지 이전까지는 인지하지 못했던 내용. 스트리밍 수익 배분은 재생 횟수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는데, 전체 재생에서 해당 아티스트 곡이 재생된 비율만큼 정산금을 받는다. 그런데 화이트 노이즈 같은 것도 아티스트 곡과 같은 비중으로 정산에 포함된다는 사실. 예를 들면, 테일러 스위프트 곡 1회 재생과 비오는 소리 1회가 같은 금액을 받는다는 것.

    Deezer의 CEO 제로니모 폴게이라(Jeronimo Folgueira)는 이번 계약이 음악 스트리밍이 처음 시작된 이래로 “가장 야심찬 변화”라고 말합니다. “모든 콘텐츠의 가치가 동일하게 평가되는 산업은 없으며, 빗소리나 세탁기 소리가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노래만큼 가치가 없다는 것은 모두에게 분명한 사실입니다.”라고 Folgueira는 보도 자료에서 말합니다.

    Deezer는 아티스트가 아닌 주변 소음으로 감지된 트랙을 수익화할 예정이며, 이를 새로운 사내 사운드 라이브러리로 대체할 계획입니다. Deezer는 향후 출시될 노이즈 트랙에 대해서는 로열티를 받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애플, 디즈니 인수 루머

    Too much to bite: Why an Apple purchase of Disney is (probably) too much
    Linkedin by Ian Whittaker

    애플의 디즈니 인수설이 돌았는데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하고 넘겼지만, 진지하게 고민하는 사람이 많았나보다. 진지하게 안 되는 이유에 대해서 적은 글. 요약본.

    • 애플의 디즈니 인수를 지지하는 주장:
      • 방대한 영화 및 프로그램 카탈로그, 대규모 스트리밍 서비스, 테마파크, ESPN 소유권 등 Disney의 귀중한 자산
      • 수익 증대 잠재력 및 수익원 다각화
    • 애플과 디즈니의 거래에 반대하는 이유와 장애물:
      • 디즈니의 시가총액이 1,490억 달러에 달하는 거래 규모
      • 규제 리스크와 미국 및 해외 규제 당국의 조사
      • 정치적 고려 사항과 Apple이 정치적 논란에 휘말릴 가능성
      • Apple의 보수적인 성격과 대규모 인수를 꺼려하는 역사
      • 스트리밍 전략, Hulu의 소유권 및 기타 전략적 결정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여 Disney가 직면한 과제
      • 서비스 성장, 가상 현실, AI 역량을 포함한 Apple의 전략적 우선순위
    • 더 나은 옵션에 대한 제안: Apple이 Disney의 지분을 상당 부분 인수하고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는 것
    • 결론: Apple이 Disney를 완전히 인수할 가능성은 낮지만 두 회사 간의 어떤 형태의 거래는 가능하며 더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

  • 딜로이트, 소비자트렌드 2023

    보고서[PDF]

    딜로이트의 소비자 트렌드 2023 보고서. 우선 주 요약 4가지.

    • 제너레이티브 AI는 영국 시민의 절반 이상이 이 도구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을 정도로 대중의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 2021년 이후 구독 동영상 액세스가 소폭 감소함에 따라 스트리밍 플랫폼은 새로운 성장의 길을 모색할 것입니다.
    • 소셜 미디어는 사회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합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소셜 미디어는 뉴스, 교육 및 토론의 원천입니다. 하지만 그 내용이 항상 진실인 것은 아닙니다.
    • 생활비 문제로 인해 대부분의 소비자는 실용적인 소비를 하고 있지만, 디지털 격차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여러 자료가 있는데 그 중에서 눈에 띈 설문조사 결과. 조금 특이하다.

    Q1. 제너레이티브 AI는 항상 사실에 입각한 결과를 도출합니다.

    동의모름비동의
    생성인공지능 인지하는 응답자28%35%37%
    생성인공지능 이용자43%25%32%

    Q2. 생성형 AI 응답은 편견 없는 ‘정확한 응답’을 한다.

    동의모름비동의
    생성인공지능 인지하는 응답자26%51%23%
    생성인공지능 이용자38%35%27%
  • 뉴스를 학습한 챗봇

    Building a chatbot trained on your newsroom’s content
    Reynolds Journalism Institute

    혹시 나중에 사례로 언급할만한 일이 있을까 싶어서 남기는 글.

    언론에서 뉴스를 학습한 챗봇을 어떤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지는 여전히 불명확하다. 하지만 RJI는 챗봇을 활용하기 위해 미주리 인디펜던트가 거친 과정을 공유한다. 개인적으로는 알게 된 몇 가지는 유료 서비스 플랫폼이 생각보다 꽤 된다는 점이다. 물론 시간, 비용, 학습 범위, 서비스 목표를 고려하여 의사결정 해야하겠지만, 이 정도로 만든 봇이 얼마나 잘 작동하고 어떤 용도로 활용가능한지는 여전히 잘 모르겠다.

    • 챗봇이 항상 답변에 맥락을 추가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챗봇은 이 커뮤니티가 고려 중인 특정 정책에 대한 질문에 답변했지만 직접 질문하기 전까지는 커뮤니티가 이 정책을 거부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 이러한 독자는 특정 주제를 다루는 기자만큼 해당 주제에 대해 잘 알지 못할 수도 있지만, 충성도 높은 회원이며 커뮤니티에서 활발히 활동하기 때문에 원본 콘텐츠에 답변이 없는 질문을 하기도 합니다.
    • 뉴스룸에서 공유한 콘텐츠에 없는 질문을 받으면 봇은 적절하게 “모르겠습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 뉴욕타임스 생성 인공지능 채용 공고

    Newsroom Generative AI Lead
    NYT

    생성 인공지능 관련 채용 공고. 저널리즘 경력을 갖추고 있어야하며,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이해도 높은 사람을 찾는다. 그래서인지 코딩 능력은 선호되지만 필수는 아니라고.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이해해서 업무를 관리하고 생성 인공지능 관련 업무를 기존 업무에 통합시킬 수 있는 사람을 찾는 듯. 아래는 전문.

    뉴욕타임즈의 사명은 진실을 추구하고 사람들이 세상을 이해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 이는 독립적인 저널리즘이 회사에서 하는 모든 일의 핵심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이 바로 160여 개국에서 기자를 파견하여 현지에서 취재하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뉴스룸이 있는 이유입니다. 또한 인쇄물부터 오디오, 세계적 수준의 디지털 및 앱에 이르기까지 독자가 저널리즘을 경험하는 방식에 깊이 집중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또한 비즈니스 전략의 중심이 돈을 지불할 가치가 있을 만큼 좋은 저널리즘을 만드는 데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직무 설명

    뉴욕타임스는 야심차고 책임감 있게 제너레이티브 인공지능을 활용하려는 뉴스룸의 노력을 이끌 선임 편집자를 찾고 있습니다.

    이 편집자는 더 타임스가 GenAI 혁신과 저널리즘에 대한 응용 분야의 리더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책임을 맡게 됩니다. 이들은 뉴스룸 내부뿐만 아니라 독자를 대면하는 방식으로 GenAI 도구를 사용하기 위한 우리의 노력을 이끌 것입니다. 이를 위해 이 기술에 접근하는 방식에 대한 비전을 구체화하고, 기회와 한계 및 위험에 대해 뉴스룸의 선도적인 목소리를 낼 것입니다.

    이 리더는 뉴스룸 전체에서 새로운 기능을 프로토타이핑하고 실험을 진행하는 소규모 저널리스트 및 기술자 팀을 관리합니다. 가장 설득력 있는 접근 방식을 위해서는 뉴스 데스크 및 여러 부서의 제품 팀과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프로덕션 단계로 끌어올려야 합니다. 편집자의 주요 초점은 GenAI 도구를 타임즈 저널리즘과 워크플로우에 통합할 수 있는 높은 잠재력과 책임감 있는 방법을 보여주는 프로젝트를 꾸준히 제작하는 것입니다.

    이들은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더 타임즈가 업계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새로운 기회와 취약점을 지속적으로 경계해야 합니다. 또한 그에 따라 우선순위와 계획의 조정을 권고해야 합니다.

    이 리더는 또한 진화하는 기술의 특성과 위험성을 고려하여 표준 부서와 협력하여 뉴스룸 전체에서 기자들이 GenAI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추가 지침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구체적인 책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마스트헤드와 함께 더 타임즈가 뉴스 보도와 관련된 제너레이티브 인공 지능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비전을 설정합니다.
    • 뉴스룸 및 회사 리더들과 협력하여 모든 제품에 GenAI를 적용하기 위한 광범위한 전략을 수립합니다.
    • 연구, 프로토타입 개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저널리스트, 기술자, 디자이너로 구성된 팀을 관리합니다.
    • 더 타임즈 뉴스 보도에 가장 유망한 GenAI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어떤 아이디어를 먼저 탐색해야 하는지 우선순위를 정하고, 어떤 아이디어가 편집상의 장점이나 기타 이점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지 판단하여 각 단계에서 제품 팀과 효과적으로 파트너십을 맺습니다.
    • 회사 내 다른 부서와의 협업에서 GenAI에 대한 뉴스룸의 관점을 대변하고, 제품, 디자인, 기술 분야의 리더들과 협력하여 아이디어를 프로토타입 상태에서 생산 단계로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합니다.
    • 새로운 기능을 프로토타이핑하는 팀의 실행 관리
    • 뉴스룸 전반에서 기자들이 GenAI를 폭넓게 실험하고 사용하는 것을 감독합니다.
    • GenAI 분야의 최신 연구 및 개발에 대한 최신 정보 파악엔지니어링 및 다른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알고리즘 편향성 평가를 포함한 GenA.I 도구 검증

    기본 자격

    • 저널리즘의 품질과 프로세스, 표준과 윤리에 대해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풍부한 저널리즘 경험
    • 언어 모델의 작동 방식과 저널리즘 맥락에서 언어 모델을 평가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등 기술적 호기심과 유창성. 코딩 능력은 선호되지만 필수는 아니지만 기술에 대해 토론하고 참여하는 데 유창한 능력이 필요합니다.
    • 다양한 기능의 제품 개발 팀을 이끌거나 함께 일한 경험
    • 동시에 여러 작업을 진행하는 민첩한 팀을 관리하고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부서 간 이해관계자의 긍정적인 파트너 역할을 수행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업무에 대해 리더십과 효과적으로 소통한 경험

    선호 자격

    • 더 타임즈 또는 기타 유사한 뉴스 조직에서 복잡하고 리스크가 큰 프로젝트를 진행한 경험이 있으면 적극 권장됩니다.
    • 창의적인 사고방식과 폭넓은 비전과 큰 아이디어를 더 타임즈의 저널리즘에 적용하고, 업무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해당 전략을 지원하기 위해 절충안을 도출할 수 있는 능력

    이 역할의 연간 기본 급여는 $180,000.00에서 $220,000.00 사이입니다.

    뉴욕타임즈는 다양한 글로벌 커뮤니티를 반영하는 다양하고 포용적인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저널리즘과 저널리즘을 위해 구축하는 제품은 모든 직급, 모든 수준의 조직에서 모든 유형의 다양성에서만 나올 수 있는 다양한 관점의 이점을 크게 누릴 수 있습니다. 진정한 다양성과 포용성을 달성하는 것은 옳은 일입니다. 또한 비즈니스에도 현명한 일입니다. 따라서 여성, 재향군인, 장애인, 유색인종, 성별 부적합 후보자의 지원을 적극 권장합니다.

    뉴욕타임즈는 기회 균등 고용주로서 개인의 성별, 나이, 인종, 피부색, 신념, 출신 국가, 외국인, 종교, 결혼 여부, 임신, 성적 지향 또는 애정 취향, 성 정체성 및 표현, 장애, 유전적 특성 또는 성향, 보인자 신분, 시민권, 퇴역 또는 군 복무 여부 및 기타 법으로 보호되는 개인적 특성에 근거하여 차별하지 않습니다. 모든 지원자는 법적으로 보호되는 특성에 관계없이 채용 시 고려 대상이 됩니다. 뉴욕타임즈 회사는 해당 연방법, 주법 및/또는 지방법에서 요구하는 바에 따라 합리적인 편의를 제공할 것입니다. 지원 또는 면접 과정에서 편의가 필요한 개인은 이메일( reasonable.accommodations@nytimes.com)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지원서 후속 조치 등 지원과 무관한 문제로 보낸 이메일은 응답을 받지 못합니다 .

    당사는 관련 “공정한 기회” 법률의 요건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범죄 경력이 있는 지원자를 포함하여 자격을 갖춘 지원자를추가로 고려할것입니다.

    뉴욕타임즈 컴퍼니는 미국 연방 계약 준수 프로그램 사무소에서 정한 급여 투명성 및 차별 금지 조항을 준수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 인공지능 활용이 나쁜 아이디어라는 인공지능의 사설

    Editorial: AI wrote this editorial. It offers persuasive arguments for why that’s a bad idea.
    St. Louis Post-Dispatch

    인공지능을 저널리즘에 활용하는 것에 대해 인공지능에게 사설을 쓰게 한 세인트루이스 포스트 디스패치. 전문을 읽어보고 개별 주장에 비판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편집자 주: 최근 인공지능이 저널리즘에서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포스트 디스패치 편집위원회는 “인공지능을 저널리즘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신문 사설을 작성하라”는 명령을마이크로소프트의 빙 채팅 인공지능 프로그램이어떻게 처리할지궁금해했습니다.

    아래는 스타일을 위해 살짝 편집했지만 프로그램에서 그대로 가져온 결과입니다.

    Bing Chat은 저널리즘에서 인공지능을 배제해야 한다는 명쾌하고 설득력 있는 주장을 펼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이러니하고 충격적인 실험의 성공이지만, 이 실험이 동료 인간들 사이에서 토론을 불러일으키기를 바랍니다.

  • 언론사의 인공지능 활용 실패사례들

    몇 가지 널리 알려진 사례를 정리한 글. 우선 디스패치의 스포츠 기사.

    8월 18일자 디스패치의 기사 중 하나는 로봇 같은 스타일, 선수 이름 부재, “운동선수들의 긴박한 만남”과 같은 어색한 문구 사용으로 소셜 미디어에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습니다.

    Dispatch pauses AI sports writing program

    포털 MSN이 인공지능 생성 기사를 적절하게 신디케이션하지 못한다는 기사.

    MSN이 기사를 삭제했음에도 불구하고 Race Track은 여전히 거의 알아들을 수 없는 횡설수설한 기사를 계속 게시하고 있으며, MSN은 이를 계속 신디케이트하고 있습니다. 보도 시간 한 시간 전에 이 수상한 매체는 “학자로서 골프에 매진해야 하는 7가지 이유”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시했는데, 이 기사는 2022년 골프 월간지에서 작성한 기사를 베낀 것으로 보입니다.

    포뮬러 1 드라이버 세르히오 페레즈가 레드불이 아닌 ‘퍼플불’ 팀에 속해 있다고 주장하는 의도치 않게 웃긴 기사도 있습니다.

    Microsoft가 뉴스 포털을 통해 AI가 생성한 엉터리 콘텐츠를 게시한 것이 적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MSN은 지난달 캐나다 오타와에 대한 여행 가이드를 게시했다가 삭제했는데, 이 가이드는 관광객들에게 지역 푸드 뱅크를 방문하도록 추천하는 등 유사하게 일관성 없는 AI 생성 콘텐츠였습니다.

    MSN Deletes Plagiarized, Incoherent AI Articles, Then Continues Cranking Out More

    금융 웹사이트 뱅크레이트 기사 사례

    AI는 기본적인 복리 이자의 원리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고, 개인 뱅킹에 대한 기초적인 사실도 왜곡했습니다. 무엇보다도 이 설명은 금융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을 겨냥한 것이 분명했기 때문에 Google에서 순위를 매길 경우 가장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 상상할 수 있는 가장 낮은 품질의 정보에 노출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적인 부정확성은 인공지능이 문법적으로 정확한 – 다소 산문적이기는 하지만 – 문장을 구성할 수는 있지만, 권위적인 어투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사실조차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SEO Spammers Are Absolutely Thrilled Google Isn’t Cracking Down on CNET’s AI-Generated Articles

    G/O의 A.V. Club, IMDb 기반 기사생성 사례

    때때로 AI의 출력은 IMDb에 표시되는 것과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8월 영화 목록에 있는 ‘제시카 프로스트’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한 젊은 여성이 시간 여행 사이코패스가 자신을 쫓는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사막, 시간, 공간, 가족의 과거를 여행하게 됩니다.

    다음은 몇 단어 더 길지만 실질적으로 동일한 IMDb의 설명입니다:

    시간 여행 사이코패스가 자신을 쫓는 이유에 대한 진실을 찾는 한 젊은 여성이 사막, 시간, 공간, 가족의 과거를 가로지르는 격동의 여정에 뛰어들게 됩니다.

    8월 영화 목록과 17세 관람가 영화 목록 모두에 등급이 상향된 영화 설명 외에는 아무런 텍스트가 없다는 점이 이 모든 것의 무미건조함을 더욱 두드러지게 합니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소개도 없고, NC-17 등급의 흥미로운 역사에 대한 설명이나 여름 개봉작에 대한 흥미진진한 맥락도 없습니다. 다시 말해, 수십 년 동안 엔터테인먼트 저널리즘 분야에서 A.V. 클럽의 탁월한 업적과 구별되는 훌륭한 글쓰기가 전혀 없습니다.

    The A.V. Club’s AI-Generated Articles Are Copying Directly From IM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