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Media

  • 생성인공지능과 저작권

    Authors file a lawsuit against OpenAI for unlawfully ‘ingesting’ their books
    Guardian

    언어모델 기반의 생성 인공지능 활용은 저작권 관련 다양한 논쟁을 불러오고 있다. 그리고 학습을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활용하는 관행에 대한 부분까지 논쟁이 되고 있다. 관련된 첫 소송이라는 이야기도 있길래(정확하지는 않지만) 기록용으로 남겨놓는다.

    … 아와드와 트렘블레이는 챗봇이 소설의 “매우 정확한 요약”을 생성했기 때문에 저작권이 있는 자신들의 책이 불법적으로 “수집”되어 ChatGPT를 “훈련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소장에서 주장하고 있습니다. 소송에는 샘플 요약본이 증거물로 첨부되어 있습니다.

    소송은 2020년 OpenAI 논문을 가리키며 ChatGPT를 교육하는 데 사용된 데이터의 15%가 2개의 인터넷 기반 책 말뭉치에서 나왔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논쟁에는 저작권에 공정사용이라는 부분이 어떻게 정의되어 있는지 각국의 법률에 따라 다를 것 같다. 기사에서는 “법원이 이러한 방식으로 저작권 자료를 사용하는 것을 ‘공정 사용’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단순한 무단 복제로 볼 것인지에 달려 있다고 말합니다.”라는 언급이 있다.

    이러한 논쟁으로 인해 인터넷 데이터 스크래이핑 관행에 대해서도 다시 이야기가 되고 있다. 구글은 인공지능 학습을 위해 데이터를 수집한다는 사실을 두 번이나 동의하게 했고, 개인보호 정책을 조용히 업데이트 했다고 한다. 트위터는 일시적으로 속도를 제한하여 데이터 수집을 막고자 시도했다.

    데이터 스크랩 관련 논의 역시 공정 사용과 관련되어 있는데, 최근 생성 인공지능 저작권 관련 논의는 대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게 될지 감도 잘 오지 않는다. 언젠가 정리가 되겠지만 그 이전까지는 혼란이 반복될 듯 하다.

  • 뉴스룸 인공지능 역할

    Writing guidelines for the role of AI in your newsroom? Here are some, er, guidelines for that
    Niemanlab

    저희가 분석한 가이드라인은 주로 유럽과 미국에 있는 다양한 대기업과 일부 소규모 조직을 대상으로 하며, 그 외 다른 지역의 조직도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1 현재 21개의 샘플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이드라인 목록은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이며, 가이드라인이 늘어남에 따라 여기에 분석 내용을 업데이트하겠습니다.

    김시, 투명성, 금기사항, 책무성, 개인정보보호, 교육, 편견 등 몇 가지 주제로 사례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자료.

  • 소더비, NFT 전문가 감원

    Sotheby’s Cuts Multiple Senior Staffers and NFT Specialists Amid Market Softening
    ARTnews

    NFT 관련 직종의 고용 감축이 전 산업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상황. 이를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가 소더비 관련 기사.

    자세한 내용은 아직 모호하지만, 전직 소더비 직원 2명은 아트뉴스에 지난 4월 이후 최소 10명의 고위 직원이 해고되었으며, 작년 한 해 동안 소더비 메타버스 및 기타 NFT 판매 관련 직원 최소 4명과 또 다른 NFT 전문가가 회사를 떠났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손실로 인해 소더비의 NFT 관련 인력은 절반으로 줄었고, 현재 3명의 직원만이 NFT 판매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현대미술 전문가이자 디지털 아트 및 NFT 담당 부사장인 마이클 부한나, 사전 판매 코디네이터인 데이비스 브라운, 그리고 다른 직원 한 명입니다. 한 소식통에 따르면 파리 사무소에서만 10명의 직원이 해고되었다고 합니다.

    완전한 철수라고는 보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인력 감축을 하고 있는 건 사실인 듯 하다. 사실 꼭 NFT가 아니더라도 자산가격이 급등하던 시기와는 미술 시장도 달라졌다는 이야기들을 많이 한다.

    베카피코는 소더비가 파리에서 NFT를 철수하기로 한 결정은 프랑스의 새로운 과세 규정과 암호화폐 자산에 대한 규제 강화와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해 파리 지사가 뉴욕이나 홍콩 지사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졌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소더비가 NFT를 완전히 배척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베카피코는 “뉴욕 지사는 쓰리 애로우즈 캐피털 매각과 새로운 젠 아트 프로그램을 통해 전속력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제가 아는 것은 그들이 모든 부서에서 인원을 줄이고 있다는 것입니다.”

  • 음악산업의 지역화

    WILL PAGE ON STREAMING PRICING, MUSIC’S REVENUE ‘PIE’ – AND WHY THE GLOBAL RECORD INDUSTRY IS MORE LOCAL THAN EVER
    Music Business

    지금은 관심을 좀 덜 가지게 된 분야이기는 하지만 흥미로운 기사. 스트리밍 음악 시장이 점차 지역화되고 있음을 이야기한다 (논문 / 그리고 기사는 일부 요약).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이 등장하면서 더 소수의 아티스트가 독식하는 시장이 발생할 것이라 예상했으나, 이와 다르게 지역별 아티스트가 강조되는 현상이 나타난다는 점.

    공급의 힘을 설명하기 위해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음반] 시장이 CD 시장이었을 때는 CD를 제조하고 배포하는 데 엄청난 비용이 들었기 때문에 현지 스타보다 글로벌 스타가 더 유리했을 수 있습니다. 이제는 이러한 비용이 사라져 누구나 음악을 만들 수 있고, 누구나 플랫폼에 올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현지에 더 많은 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팟캐스트를 녹음하는 이른 시간이지만, 잠시 술 얘기를 해보자면 비유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글로벌 양조장이 있었지만 지금은 제조 및 유통 비용이 낮아져 현지 수제 맥주가 있습니다.

    그래서 블록버스터 기반 글로벌 음악 비즈니스에서는 부정적인 현상일 수 있다고 본다.

    작년에 미국에서 나온 힙합 아티스트들을 보면, 그들은 [예상했던 글로벌] 숫자에 미치지 못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대규모 마케팅을 통해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장르는 유행하고 있지만 실력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글로벌 무대에서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 틱톡, 국가적 위협

    Majority of Americans say TikTok is a threat to national security
    PewResearch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퓨 리서치 센터의 새로운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인 10명 중 약 6명(59%)이 틱톡이 중국과의 관계와 사용자 데이터 보안에 대한 의원들의 조사에 직면한 상황에서 미국 국가 안보에 크고 작은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 언론사 운영 개선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How Publishers Are Using Gen AI to Streamline and Improve Revenue Operations
    Adweek

    퍼블리셔가 생성 AI를 사용하여 백엔드 상업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고 수익 운영, 계정 관리 및 RFP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높이기 시작했다는 내용. 미디어 분야에서 인공지능 활용이 콘텐츠 생성이라는 쪽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나 조직의 관리프로세스 전반을 효율화하는데 사용되는 사례 (페이스북 같은 곳도 이미 있지만).

    • 광고 관리 퍼블리셔인 Raptive는 고객 서비스 문의에 대한 답변 초안을 작성하고, 직무 설명을 작성하고, 성과 리뷰를 작성하는 데 제너레이티브 AI를 사용하여 효율성을 향상
    • 랩티브의 엔지니어들은 제너레이티브 AI 도구인 Copilot을 사용하여 단위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8시간이 걸리던 작업을 1시간으로 줄임
    • 데이터베이스 팀은 이 기술을 사용하여 코딩 언어 간 번역을 수행하여 일반적으로 복잡한 프로세스를 SQl에서 몽고DB 쿼리로 전환
    • Politico의 내부 팀은 CRM 소프트웨어를 스캔하여 과거 데이터 및 비즈니스 주기 등의 입력을 분석하여 영업 사원에게 구매 성향이 높은 고객을 제시
    • 랩티브는 AI Squared라는 사내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직원들에게 Pinecone, Copilot 및 새로운 Photoshop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

  • 사람들이 지역 뉴스에 원하는 것

    We asked 5,000 people across the country what they want from local news. Here’s what we learned.
    American Journalism Project

    지역 뉴스에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와 관련해 9가지 공통된 주제를 선정했다고 한다.

    1. 사람들은 더 많은 지역 뉴스를 원합니다.
    2. 사람들은 공유되고 신뢰할 수 있는 사실 출처를 원합니다.
    3.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커뮤니티의 모든 이야기가 전달되기를 원합니다.
    4. 사람들은 의사 결정이 내려지기 전에 미리 알고 싶어 하며, 의사 결정권자가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기를 원합니다.
    5. 사람들은 뉴스와 뉴스룸에서 자신을 보고 싶어 합니다.
    6. 사람들은 저널리스트가 질문하기를 원합니다.
    7. 사람들은 행동에 옮길 수 있는 정보를 원합니다.
    8. 사람들은 자신이 있는 곳에서 뉴스를 만나기를 원합니다.
    9. 사람들은 뉴스룸이 커뮤니티를 연결하고 소집하는 역할을 하기를 원합니다.

    가장 많이 이야기하는 첫 번째 주제. 그 중에서도 눈길이 가는 내용이 있어 남겨놓는다.

    … 우리가 조사를 실시한 모든 곳에서 압도적으로 ‘그렇다’는 대답이 나왔으며, 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났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웃에 무슨 일이 발생하면 어디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지 전혀 모른다고 말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뉴스 매체보다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조직과 개인을 더 신뢰한다고 말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단체가 필요할 때 도움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시장에서 지역 언론사가 다른 지역의 뉴스를 보도하거나 방영하는 경우가 많다는 불만을 듣게 되는데, 이는 미디어 소유권의 통합, 비용 절감, 더 많은 일반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콘텐츠가 필요한 광고 모델에서 비롯된 현상입니다. 또한 대도시에서는 사람들이 ‘지역’ 정보에 대해 이야기할 때 종종 지역 사회에서 일어나는 일과 연결되는 동네 수준의 정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인공지능과 뉴스비즈니스 시나리오

    How Will Artificial Intelligence Change the News Business? Here are three theories of the case.
    NYMAG

    글에서 제시하는 3가지 가능성에 관한 이야기와 사례

    이론 1. 인공지능의 저널리즘 대체

    • 기술 뉴스 사이트인 CNET은 초기에 이 전략을 채택했지만 거의 읽지 않은 콘텐츠가 심각한 오류 로 가득 차 있는 것으로 밝혀진 후 철회
    • 완전히 자동화된 G/O 블로그는 승리하지 못합니다. 아마도 디지털 플랫폼의 관점에서 스팸 상태로 강등될 가능성

    이론 2. 인공지능의 저널리즘 개선

    • 낙관적인 이론은 특정 저널리즘 작업의 생산성을 높이고, 마찰로 가득 찬 프로세스(입력, 필사, 심지어 구조에 대한 수수께끼까지)를 부분적으로 자동화하고 실제 보도를 추구하는 데 자원을 확보

    이론 3. 저널리즘을 삼키는 인공지능

    • 배포를 위해 실제로 전체 기사를 작성할 필요 없이 뉴스 조직을 축소된 통신 서비스로 만들 가능성
  • 필터버블 관련 연구

    Users choose to engage with more partisan news than they are exposed to on Google Search

    필터버블과 관련된 네이처 연구. 초록만을 번역한 내용이다. 기존에 필터버블 논쟁은 실제 데이터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개념적인 부분에 머물러 있었으나, 조금 더 믿을만한 연구가 하나 추가되었다. 예전 토론에서도 유사한 이야기를 한 번 한 적이 있는데 이러한 연구가 필터버블이라는 걱정이 생각보다 크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의 근거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인기 있는 온라인 플랫폼이 사용자들을 편파적이고 신뢰할 수 없는 뉴스에 체계적으로 노출시킨다면, 이는 정치적 양극화 심화와 같은 사회적 문제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1,2. 이러한 우려는 ‘에코 챔버’3,4,5 및 ‘필터 버블’6,7 논쟁의 핵심으로, 사용자 선택과 알고리즘 큐레이션이 사용자를 다양한 온라인 정보 소스로 안내하는 역할을 비판하는 것입니다8,9,10. 이러한 역할은 온라인 플랫폼이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URL로 정의되는 노출과 사용자가 선택한 URL로 정의되는 참여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생태학적으로 유효한 노출 데이터(실제 사용자가 일반적인 플랫폼 사용 중에 노출된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맥락의 연구는 일반적으로 참여 데이터4,8,11,12,13,14,15,16 또는 가상의 노출 추정치17,18,19,20,21,22,23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생태학적 노출과 관련된 연구는 드물고 대부분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국한되어 있어7,24 웹 검색 엔진에 대한 의문이 남아있습니다.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2018년과 2020년 미국 대선 기간 동안 Google 검색 노출과 참여에 대한 생태학적으로 유효한 측정치와 설문조사를 결합한 두 차례의 연구를 실시했습니다. 두 웨이브 모두에서, Google 검색 결과에서 노출된 것보다 Google 검색 내에서 그리고 전반적으로 참여자가 선택한 뉴스 소스에서 정체성과 일치하지 않거나 신뢰할 수 없는 뉴스 소스가 더 많이 발견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Google 검색에서 편파적이거나 신뢰할 수 없는 뉴스에 대한 노출과 참여가 주로 알고리즘 큐레이션이 아니라 사용자 자신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틱톡 알고리즘과 정치광고

    TikTok Is Letting People Shut Off Its Infamous Algorithm—and Think for Themselves
    Wired

    유럽연합의 디지털 서비스법(DSA)은 인공지능과 디지털 서비스 규제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틱톡의 알고리즘을 끌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힘

    옵트아웃 기능은 우리의 두뇌와 정신적 경험에 대한 자기 결정의 기본 권리인 인지적 자유를 보호하기 위한 훌륭한 조치입니다. 사용자는 알고리즘에 의해 선별된 For You 페이지와 실시간 피드에 국한되지 않고, 자신의 지역과 언어로 된 인기 동영상이나 자신이 팔로우하는 크리에이터를 시간순으로 나열하는 ‘팔로잉 및 친구’ 피드를 볼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하면 해당 지역에서 인기 있는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13세에서 17세 사이의 사용자에 대한 타겟팅 광고를 금지하고, 불법적이거나 유해한 콘텐츠를 신고할 수 있는 더 많은 정보와 신고 옵션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접근이 바람직한지는 잘 모르겠다. 알고리즘보다는 틱톡에 유통되는 광고 콘텐츠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었다. 물론 DSA에 따라 광고 데이터 베이스를 유지하도록 변화될 예정이라고는 한다. 아래는 포브스의 TikTok Has Pushed Chinese Propaganda Ads To Millions Across Europe 기사 내용

    중국 국영 미디어가 TikTok에 광고한 콘텐츠의 대부분은 중국의 경제, 기술 및 문화 유산을 선전하는 TV, 라디오 및 인쇄 매체의 빈번한 화제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미국 정부가 중국 정부의 대규모 탄압, 투옥, ‘재교육’ 캠페인을 대량 학살로 낙인찍은 신장에 대한 언급은  국영 언론 계정에서 홍보한 124개 광고 중 92개에 나타났습니다.

    지난 3월에 게재된 한 광고는 China News International이 비용을 지불하고 “신장은 좋은 곳입니다!”라는 캡션 아래 전통 무용을 추는 남자를 등장시켰습니다. 또 다른 영상에서는 CGTN 진행자가 신장 자치구의 초등학교를 방문하는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호스트가 방문한 학교는 신장 자치구 피산(Pishan) 현에 위치해 있었는데, 호주 전략 정책 연구소(Australian Strategic Policy Institute)가 구금 시설 6곳 의 건설을 추적한 바 있습니다 . 광고는 또한 지역 투어와 대부분 무슬림 위구르 인구의 문화를 홍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