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Media

  • 유튜브의 수익 구성

    콘텐츠 수익모델과 관련하여 얼마 전 읽었던 벤 톰슨의 글에서 유튜브 프리미엄에 대한 공개를 언급하는 부분이 있었는데 닐 모한이 언급한 내용을 통해 연간 $ 10 billion 정도 된다고 예측할 수 있다.

  • 인공지능과 계산기

    AI Learning Summit

    USV(Union Square Ventures)에 올라온 인공지능 학습 세미나와 관련된 글 중 인상적인 부분이 있어서 인용. 얼마 전 인공지능 리터러시와 관련된 특강에서도 계산기의 비유와 함께 Instructional Scaffolding에 관련된 언급을 했는데 여기에서도 유사하게 이야기를 하고 있다.

    Danny Stedman과 Kieran Sobel은 휴대용 계산기가 1970년대에 주류 시장에 출시되었을 때 처음으로 정밀 조사에 직면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교육자들은 계산기가 수학 교육에 해를 끼칠까 봐 두려워했습니다. 오늘날 역사는 계산기가 학생들이 고급 수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적 변화였음을 보여줍니다. 사용 방법에 대한 모호한 시간이 지난 후 교육 후 계산기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작업 표시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워크시트에 더 많은 공백이 나타났고 학생들이 답을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거기에 도달하기 위한 단계를 보여주는 것에 대한 기대가 커졌습니다.

    계산기가 AI에 대한 공정한 비유인지 여부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그렇다면 학생들이 수학 시험의 공백에서 자신의 작업을 보여줘야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과제를 생성하기 위해 AI와의 상호 작용 기록을 보여줘야 할 수도 있음을 시사합니다. 우리는 이런 기록이 어떤 모습일지, 그리고 교육자들에게 어떻게 신뢰를 불러일으킬지 궁금합니다.

  • 뉴스 이용과 충성도

    How Loyalty Works: Why Do People Continue Their Relationship with Journalism?

    뉴스 출처에 관한 충성도가 해당 미디어의 정기적 이용과 연결되지 않는다는 연구.

    “종교적으로 아버지의 말씀을 듣지는 않지만, 그럴 때는 아버지의 말씀을 듣습니다. 저는 40살인데 매일 아버지와 대화할 필요는 없죠.”

    뉴스 이용에서 충성도를 어떤 방식으로 개념화하는지의 문제와 관련 있을 수 있다는 생각. 이와 관련해서 저자들은 “행동보다는 관계 내 감정에 대한 것”이라고 주장함. 기사 수정과 관련한 다른 연구도 연결해서 생각할 부분이 있을 것 같다.

  • 아티팩트의 뉴스요약

    News app Artifact can now summarize stories using AI, including in fun styles

    아티팩트(Artifact)는 인스타그램 만든 사람들이 개발한 뉴스 서비스라는 이야기만 듣고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는데, 관련 기사를 읽다가 좀 신기하다 싶은 점이 있어서 남겨놓는다.

    인공지능을 서비스에 활용하는게 일반화되고 있는데, 특정한 톤으로 뉴스를 요약해주는 서비스를 도입했다고 말하고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Z세대 말하기 스타일인 ‘5살처럼 설명하기’와 같이 특정 스타일로 뉴스를 요약하거나 이모티콘만 사용하는 등 재미를 더할 수도 있습니다.”

    내가 나이가 든 건지 서비스의 주요 포인트가 어디에 있는지 이해하기가 어렵다.

  • 생성 인공지능과 아티스트 커뮤니티

    Grimes invites fans to make songs with an AI-generated version of her voice

    드레이크와 더위켄드 음원 관련으로 이슈가 있고 난 이후 아티스트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 그 중에서 그라임스의 발언이 주목해볼만 하다.

    뮤지션 그라임스는 크리에이터들에게 AI가 생성한 자신의 목소리로 새로운 음악을 만들도록 초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원시 오디오 파일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일요일 트위터에 “내 목소리를 잘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지만, 스템과 샘플을 업로드하여 PPL이 직접 훈련할 수도 있습니다.”라고 썼습니다.

    생성 인공지능은 음악 산업에서 아마 과거 냅스터와 비슷한 정도의 파급력을 가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지 않을까. 당시도 아티스트들의 대응은 달랐다. 어떤 선택을 하는지에 따라 많은 차이가 발생할 것 같다.

  • OTT서비스 이탈률

    Price Point 031: TV Questions Asked of TV Companies
    Roy Price

    OTT시장 경쟁상황 전반에 대한 요약이 잘 되어 있는 글. 2022년 6월 기준으로 미국 스트리밍 서비스 시청은 34.8%로 케이블 이용(34.4%)을 넘어섰으나 이러한 시장을 8~9개 사업자가 나누어가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스트리밍 서비스 중 1위는 유튜브, 구독 기반 서비스 중에서는 넷플릭스가 선두.

    문제는 서비스 해지율(churn rate)에 대한 것으로, 이탈률이 높아질수록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서 개별 업체가 투자해야하는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를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 언급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a) 축구 시즌이나 텐트폴 타이틀과 같이 고객에게 항상 기대할 만한 요소를 제공하여 해지율 자체를 낮추는 것, (b) 계절성이 덜한 다른 구독 서비스(예: Prime 또는 Netflix와 Spotify를 하나로 묶으면 어떨까요?)와 서비스를 번들링하는 것, (c) 다른 가치 있는 구독 서비스와 번들링하는 것, (d) 다른 구독 서비스와 번들링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c) 소셜 네트워크나 채팅과 같은 가치 있는 서비스와 구독 서비스를 번들로 제공(BiliBili), (d) 아이덴티티를 통해 브랜드 충성도를 창출(뉴요커 토트백, A24 범퍼 스티커), (e) 구독을 연간으로 설정, (f) 좋은 소문(“입소문”)을 들었거나 홍보를 본 고객(“획득된 미디어”)을 “무료로” 유치하여 신규 고객당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신규 고객당 비용을 80달러에서 50달러로 낮출 수 있다면 이는 큰 도움이 됩니다.[expand title=eng]
    Levers you might pull to make this a little better include (a) reducing the churn rate itself by always giving customers something to look forward to such as football season or a tent pole title, (b) bundling your service with other less seasonal subscriptions (like Prime, or — what if Netflix and Spotify were one?), (c) bundle your subscription service with a valued service such as a social network and chat (BiliBili), (d) create brand loyalty through identity (New Yorker totes, A24 bumper stickers), (e) making the subscription annual, and (f) reducing the cost per new customer by attracting customers “for free” because they’ve been hearing good things (“word of mouth”) or saw some publicity (“earned media”). If you can cut your cost per new customer down from $80 to $50, it’s a lifesaver. [/expand]

    이를 바탕으로 각 서비스 업체에 대하나 간략한 현황과 방향에 대한 정리가 되어 있고, 다음과 같이 시장 상황을 유형화했다.

    • Leader: Netflix
    • Tier 2: Prime, Hulu, Disney+
    • Tier3: Max, Peacock, Paramount 
    • Tier4: Apple
  • 아마존의 ChatGPT 활용 도서

    He wrote a book on a rare subject. Then a ChatGPT replica appeared on Amazon.
    WP, by Will Oremus

    생성 인공지능으로 인해 쓰레기가 넘쳐나는 웹이 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생각보다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모습 아닌가 싶다. 사례는 ChatGPT를 활용하여 만든 도서의 복제본이 아마존에서 판매되고 있다는 사실을 언급하고 있다.

    콘텐츠 생산에는 커다란 진입 장벽이 있었다. 인터넷은 유통 측면에서 문제를 해결하며 무한한 수요를 만들었으나 공급은 그렇지 않았기 때문에 콘텐츠가 왕이라는 말까지도 있었다. 하지만 생성 인공지능은 이러한 공급의 문제를 해결해 줄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마치 폭등하는 주가차트처럼 올라갔다가 다시 꺼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지. 네이버 웹툰의 영업 실적을 보면 어두운 전망을 나타내는데, 마치 아타리 쇼크를 떠올리게 하는 상황의 전조는 아닌지. 콘텐츠 생산의 기술적 어려움은 낮아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정말 볼만한 콘텐츠란 언제나 희소하다.

  • 팟캐스트 성장세 둔화

    Podcasts lose their edge
    Axios, by Peter Allen Clark

    팬데믹 이후 더 성장세를 보이던 팟캐스트에 대한 통계. 팟캐스트는 수업에서 라디오와 묶어서 설명하고 있기는 하지만 과연 팟캐스트가 그렇게 분류되는게 맞는지, 어디까지를 팟캐스트라고 정의할 수 있는지도 지금은 사실 잘 모르겠는 상황이다. 매년 변화하는 내용을 이야기해야해서 기록용으로 남기는 글

    팟캐스트는 지난 10년 동안 수백만 명의 청취 습관을 변화시켰지만, 한때 획기적이었던 이 포맷은 중년기에 접어들면서 더욱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 있습니다.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사람은 점점 줄어들고, 네트워크는 투자금 회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오랜 팟캐스터들은 프로그램을 지속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팟캐스트 광고 시장은 많은 사람들이 기대했던 것만큼 빠르게 성장하지 못했습니다. 2022년 팟캐스트 광고 시장 규모는 15억 달러로, 지난해 TV 광고에 지출된 약 700억 달러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입니다.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요? 팟캐스트 검색 엔진인 Listen Notes의 2022년 업데이트 통계에 따르면 작년에 생성된 신규 팟캐스트가 80% 감소했습니다.

    Podcasts changed the listening habits of millions of people over the last decade, but the once-groundbreaking format has settled into a more precarious middle age. Fewer people are creating new shows, networks are having difficulties recouping investments, and longtime podcasters are on the hunt for ways to keep their shows sustainable. The podcast ad market has not grown as quickly as many hoped. Its $1.5 billion size in 2022 was minuscule compared to the nearly $70 billion spent on TV ads last year. What’s happening: Podcast search engine Listen Notes’ updated 2022 stats showed an 80% drop in new podcasts created last year.

  • 틱톡 출판 관련 인력채용

    틱톡이 출판 관련된 인원을 채용한다는 공고를 냈다. 출판 관련 마케팅 직무로 보이지만 좀 더 폭넓은 업무를 하는 것 같다. 관련 내용을 보다가 틱톡에 #booktok 이라고 부르는 커뮤니티가 있다는 사실을 이제야 알게 되어 남기는 글

    팀 소개

    온라인 퍼블리싱 팀은 저자의 역량을 강화하고 전 세계 독자들에게 훌륭한 책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데이터의 강점뿐만 아니라 홍보의 이점을 활용하여 작가가 목표 독자를 찾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책이 입소문을 타도록 돕습니다.

    편집팀은 잠재력이 있는 스토리를 파악하고 비주얼 팀, 디지털 전문가, 비즈니스 개발팀과 협력하여 작업합니다.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다양한 채널을 통해 잠재력 있는 작가를 발굴하고 계약하여 작가와 좋은 관계를 유지합니다;
    작가에게 원고를 전달하고 소설의 완성도를 보장합니다;
    도서 데이터에 대한 후속 조치를 취하고 데이터 성과를 기반으로 작가에게 글쓰기 지침을 제공합니다;
    다른 팀과 협력하여 작가의 책을 포지셔닝하고 홍보합니다. [expand title = eng]
    About The Team

    The Online Publishing team aims to empower authors and bring great books to a worldwide audience. We use not only our data strength but also our promotional advantages to help writers find their target readers and make their books viral both online and offline.

    The editorial team identifies the stories with potential and works in partnership with our visual team, digital specialists, and Business Development team.

    Job Responsibiliti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Discover and sign authors with potential through multiple channels, maintaining a good relationship with writers;
    Ensure writer delivery and novel completion;
    Follow up on book data and provide writing guidance for writers based on data performance;
    Cooperate with other teams in positioning and promoting writers’ books.[/expand]

    위키피디아 설명에서 “BookTok은 책과 문학에 초점을 맞춘 TikTok 앱의 하위 커뮤니티입니다. 크리에이터는 자신이 읽은 책에 대해 리뷰하고 토론하며 농담을 하는 동영상을 만듭니다. 다양한 장르의 책을 다루지만, 많은 크리에이터가 청소년 소설, 청소년 판타지, 로맨스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커뮤니티는 출판 업계와 도서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커뮤니티의 크리에이터는 북토커라고도 불립니다.” 라고 적혀있다.

    도서 정가제에 대한 논의도 다시 이루어지고 있고 얼마전 국내 장르문학 갤러리에서도 국내 출판업계에 대한 비판이 이루어진적도 있었다. 여러가지로 변한 출판 시장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내용 아닌가 싶다.

  • 엑티베이트 컨설팅 테크놀로지 미디어 아웃록 2023

    ACTIVATE TECHNOLOGY & MEDIA OUTLOOK 2023

    엑티베이트에서 매년 나오는 테크놀로지 미디어 아웃룩. 주요 키워드로 제시된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했다. 스포츠 베팅, 디지털 피트니스, 수퍼 유저라는 키워드가 눈에 띈다.

    팬데믹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기술과 미디어에 소비하는 시간이 늘어났으며,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성장과 기회를 위한 주요 영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이커머스 및 마켓플레이스: 2026년까지 미국 소매 판매의 20%가 이커머스를 통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주요 업체, 카테고리 중심 비즈니스, 리커머스, 라이브 스트리밍 쇼핑, BNPL 및 쇼핑 멤버십과 같은 트렌드에 의해 주도될 것입니다.
    2. 비디오: TikTok은 비디오, 메시징, 검색, 이커머스 등 다양한 분야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것입니다. 스트리밍 및 소셜 비디오는 TV를 추월할 것이며, 스트리밍 전쟁은 번들 서비스, 오리지널 콘텐츠에 대한 투자 증가, 광고 지원 계층, 국제적인 성장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3. 게임과 e스포츠: 비디오 게임은 주류 활동이 되었으며, 습관적인 게이머가 메타버스의 얼리 어답터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대체 불가능한 토큰: 대체 불가능한 토큰에 대한 소비자 사용 사례는 투기에서 보다 실질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 전환될 것이며, 대체 불가능한 토큰의 수익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5. 메타버스: 기본 요소는 이미 비디오 게임에 존재하며, 기업은 “상호운용성 계층”에서 기회를 포착하기 위해 지금 개발 및 실제 애플리케이션에 투자해야 합니다.
    6. 오디오: 디지털 오디오는 음악과 팟캐스트 광고에 대한 시간과 지출을 증가시킬 것입니다. 틱톡은 음악 검색을 재편할 것이며, 대면 및 가상 라이브 이벤트는 계속 성장할 것입니다.
    7. 스포츠 및 스포츠 베팅: 새로운 소비자 세대가 등장하고, 라이브 스포츠가 스트리밍으로 전환되며, 스포츠 베팅이 점점 더 보편화되는 등 스포츠 산업은 전환기에 있습니다.
    8. 디지털 피트니스: 디지털 피트니스 기술의 채택이 크게 증가하여 2026년까지 시장 규모가 3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상 현실은 메타버스에서 디지털 피트니스 경험을 향상시킬 것입니다.
    9. 슈퍼 유저: 기업은 ‘메타버스 네이티브’로서 기술 및 미디어에 대한 시간과 비용 지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슈퍼 유저를 파악하고 이들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10. 기술 및 미디어 수익: 경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2026년까지 전 세계 지출은 4,000억 달러 이상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