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Media

  • 넷플릭스 오리지널 비중 50%까지 늘린다

    Netflix planning to fill half its catalog with originals in the next few years By Rich McCormick, www.theverge.com

    의미하는 것은 넷플릭스가 오리지널 콘텐트를 제작하거나 구매함으로써 50/50에 도달할 것이라는 점이지만, 쇼와 영화를 더 조금 라이센스함으로써 비율을 맞출 수도 있다. 넷플릭스 CEO Ted Sarandos는 연초 2016년 600시간의 오리지널 콘텐트를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다른 네트워크와 스튜디오에서 콘텐트를 얻는 것의 비율을 줄이지 않는한 50%의 카탈로그를 채우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라이센스 쇼와 다르게 넷플릭스 오리지널들은 경쟁자와 차별화하고 사람들이 가입하도록 만들기 위해 독점으로 유지될 것이다. [expand title=Eng] The implication is that Netflix would reach its 50/50 split by producing and buying up more originals, but the company may also even the odds by licensing fewer shows and movies. Ted Sarandos, Netflix’s CEO, said at the start of the year that Netflix would release 600 hours of originals in 2016 — up from the 450 hours it put out last year, but not yet enough to fill up 50 percent of its catalog unless it scaled back on content picked up from other networks and studios. Unlike licensed shows, Netflix’s originals can be kept exclusive to the service, differentiating it from its competitors and driving people to sign up for subscriptions. Already, Wells says between a third and half of lapsed subscribers to the service return eventually.[/expand]

    독점작이 플랫폼에게 중요하지만 전체 콘텐트에서 비중을 50%까지 가져간다는게 어떤 의미일까.

  • 디즈니 트위터 인수에 참여하기로

    Disney Is Working With an Adviser on Potential Twitter Bid

    디즈니도 트위터 인수를 고려하고 있다. 디즈니하면 미키마우스와 디즈니랜드를 떠올리지만 ESPN과 ABC를 소유하고 있는 미디어 복합기업으로, 얼마전에는 스트리밍 미디어 기업 BAM Tech 지분을 33.3% 인수하기도 했다.

    디즈니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비즈니스인 케이블TV가 시청자들을 잃어가고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들과 경쟁에 직면함에 따라, Iger (CEO)는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훌루(Hulu), 디지털 미디어 기업 바이스(Vice), MLB의 BAMTech와 같은 기술 관련 미디어 테크놀로지 기업에 투자해왔다. 트위터는 또한 BAMTech와 라이브 스트리밍에 대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expand title=Eng]
    With Disney’s largest business — cable TV — losing viewers and facing more competition from online video services, Iger has invested in technology-related media businesses, including the Hulu video streaming service, digital media company Vice and Major League Baseball’s BAMTech, which provides the platform for online video services such as HBO Now. Twitter has also partnered with with BAMTech for its live streaming.[/expand]

    트위터 내부적으로는 디즈니가 가장 적격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고 한다.

  • 젊은 사람들은 뉴스 시청보다 읽는 것을 선호

    Pew: Younger adults more likely than their elders to prefer reading news

    퓨 리서치에서 나온 연구결과. 비디오에 투자해야 한다는 이야기들을 많이 하는데 젊은 사람들은 오히려 읽는 것을 좋아한다고.

    ft_16_09_30_newsbyage

    개인적으로는 이해가 되는 것이 비디오는 보기 위해서 너무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는 느낌이 있다. 바쁜데 빠르게 원하는 내용을 찾아보기에는 텍스트가 훨씬 편하다. 그래서 뉴스를 보는 것은 모든 세대에서 온라인보다 TV를 더 선호한다.

  • 온라인 뉴스 팩트 체킹

    지난 이야기들이지만 읽고도 정리해놓지 않아서 최근 팩트 체킹과 관련해서 나온 몇 가지 내용들을 정리해놓는다.

    구글은 지난 주 구글 뉴스에 팩트체크 태그를 추가했다. techcrunch 기사에 따르면

    Schema.org의 ClaimReview가 팩트 기반을 제공하는 기사를 편집하고 정리하는데 사용된다. 스키마 커뮤니티는 인터넷의 구조화 된 데이터를 위한 마크업들을 만든다. 커뮤니티는 구글의 지원을 받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야후, 얀덱스1의 지원 역시 받고 있다. [expand title=Eng] ClaimReview from Schema.org will be used to compile and organize stories offering factual background. The Schema community builds markups for structured data on the internet. The group is sponsored by Google but also has support from Microsoft, Yahoo and Yandex. [/expand]

    구글은 팩트 체크 부정 사용에 대해서도 제재할 것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ClaimReview 마크업을 따르지 않는 사이트들을 발견한다면, 재량에 따라 사이트의 마크업을 무시하거나 구글 뉴스에서 삭제할 수 있음을 밝힙니다” [expand title=Eng] “Please note, that if we find sites not following those criteria for the ClaimReview markup, we may, at our discretion, either ignore that site’s markup or remove the site from Google News.”[/expand]

    구글과 달리 페이스북은 트렌딩 토픽의 가짜 뉴스들과 관련해서 계속 언급되고 있다. fortune

    페이스북이 사람 편집자를 대부분 알고리즘 기반 큐레이션으로 변경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사이트는 폭스 뉴스의 Megyn Kelly 해고와 관련된 가짜 뉴스로 불명예를 얻었다. 그걸로는 충분하지 않았다는 것처럼, 페이스북은 9/11 WTC 붕괴가 테러리스트의 공격이라기보다는 “통제된 폭발”로 인한 결과라고 언급하는 가짜 웹 사이트를 트렌딩 토픽에 올렸다. [expand title=Eng] Not long after Facebook switched from using human editors to mostly algorithm-driven curation, the site suffered a black eye when a fake story about Fox News firing host Megyn Kelly started trending. As if that wasn’t bad enough, the social network then highlighted a story from a 9/11 hoax website in the trending-topics section, which stated the collapse of the World Trade Center buildings was a result of “controlled explosions” rather than a terrorist attack.[/expand]

    구글이 하니 페이스북 차례라는 기사도 있었다.(Google added fact checking: Facebook, it’s your move now)

    페이스북 트렌딩과 관련해서는 워싱턴 포스트 기사


    1. 얀덱스는 러시아에서 6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는 러시아 최대의 검색 엔진을 운영하는 인터넷 기업이다. 또, 수많은 인터넷 기반 서비스와 제품들을 개발한다. 

  • AT&T 타임워너 합병

    AT&T Is Buying Time Warner Because the Future is Google
    By Klint Finley, www.wired.com

    며칠전 AT&T의 타임워너 인수와 관련된 이야기.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넷플릭스와 같은 인터넷 기업들은 새로운 미디어 기업들이다. 전통적인 텔레비전과 영화 기업들에게 직접적인 위협적인 모습을 보이며 막대한 양의 비디오를 온라인으로 전송한다. 그러나 그들은 또한 AT&T와 버라이즌 같은 기업들을 위협하며 텔레콤 기업이 되어가고 있다.
    [expand title=Eng]
    Internet firms like Google and Facebook and Amazon and Netflix are the new media companies. They deliver enormous amounts of video online, posing a direct threat to old-school television and movie companies. But they also are becoming telecoms, threatening the likes of AT&T and Verizon.[/expand]

    페이스북이나 구글은 직접적인 망에 대한 투자에도 참여하고 있다. 알파벳 자회사로 있는 파이버 같은 걸 떠올려봐도 알 수 있다.

    AT&T와 타임워너의 인수합병거래는 두 실세를 결합한다. AT&T는 가장 큰 유료 TV 공급자이고, 두 번째로 큰 무선 인터넷 공급자이며, 세 번째로 큰 가정용 인터넷 공급자이다. 타임워너는 여러가지 복잡한 미디어 자산들을 소유한다. HBO, CNN, 워너브라더스, DC코믹스, TBS, TNT, 카툰 네트워크, 그리고 많은 라이브 스포츠 이벤트 방송권을 가진다. 그러나 타임 워너 케이블은 소유하지 않는다. (Charter Communication에 인수) [expand title=Eng]
    The proposed AT&T/Time Warner deal combines two powerhouses. AT&T is the nation’s largest pay TV provider, the second-largest wireless provider, and the third-largest home Internet provider.Time Warner owns a dizzying array of media properties, including HBO, CNN, Warner Brothers, DC Comics, TBS, TNT, the Cartoon Network and broadcast rights to many live sporting events. But it does not own Time Warner Cable, a separate entity that the cable company Charter Communications bought earlier this year.[/expand]

    이러한 인수에 대해서 부정적인 이야기도 많은데 무엇을 얻을 수 있을 것이냐는 이야기. Comcast와 NBC Universal 합병때처럼 서로 간 다른 회사에는 제공하지 않는 특별한 계약을 하지 않는다고 언급한 이후 정부 승인이 떨어졌던 것처럼 비슷한 상황이 되지 않을까 하는 시각이 있다.

  • 뉴스 콘텐트와 플랫폼

    Digiday, by Jessica Davies, Reuters finds readers want quality news, but aren’t willing to pay for it

    로이터 독자 1,23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많은 사람들이 품질 높은 뉴스를 원하지만 지불의사가 없다는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로이터 commercial director인 Jeff Perkins와 인터뷰 중에서 다른 몇 가지 이야기가 눈에 띄어 적어놓는다.

    로이터는 홈페이지의 영향력에 대해 여전히 확신을 가지고 있다. 대다수의 응답자(85%)는 웹 사이트와 특정 언론사의 앱을 통해 뉴스를 얻는다고 답한 반면 32%는 뉴스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살펴본다고 답했다.
    [expand title=Eng]
    Reuters still has confidence in the power of the homepage. The majority of respondents (85 percent) said they source their news via the websites and apps of specific publishers, while 32 percent said they look to social media as a source for news.[/expand]

    기사를 보면 로이터도 이미 페이스북 인스턴트 아티클이나 구글 뉴스와 같은 다른 플랫폼에 직접 콘텐트를 공급하고 있지만 Perkins도 플랫폼이 언론사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회의적이라고 답했다. 그리고 언론사들도 콘텐트를 공급함으로써 어떻게 수익을 얻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각 언론사의 재정적인 여유, 조직 구조, 생산하는 콘텐트 품질에 따라 전략이 달라질 수 있겠지만 역시 이상적인 것은 자신의 콘텐트를 자신의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알고리즘을 통해 노출되는 콘텐트만으로는 사건의 맥락을 파악하기 어렵고 균형잡힌 시각으로 사건을 바라보기 어렵다는 것은 이미 많은 사람들이 느끼고 있는 듯 하다. 하지만 국내 언론사들 중에서 자신의 플랫폼을 운영할 정도로 여유가 있고 기술 인력들이 충분히 갖추어져 있으며 품질 높은 뉴스를 생산할 수 있는 곳이 얼마나 있을까.

  • 블리자드 게임 페이스북 라이브

    Venturebeat by DEAN TAKAHASHI,Blizzard integrates Facebook login and live video into Overwatch

    블리자드와 페이스북이 손을 잡고 모든 게임에 페이스북 로그인과 라이브 스트리밍 기능을 추가하기로 했다.

    페이스북은 자사의 로그인과 라이브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블리자드 배틀넷 온라인 게임과 오버워치에 통합시켰다. 페이스북은 아마존의 트위치나 구글의 유투브 라이브스트리밍 비디오와 경쟁에서 자사의 라이브 스트리밍 비디오가 더 인기를 얻을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expand title=Eng] Facebook integrated its Facebook Login and Live applications programming interface into Blizzard’s Battle.net online game service and its Overwatch game, which reached more than 7 million players in its first week. Facebook has made a big push to make its livestreaming video more popular in competition with Amazon’s Twitch and Google’s YouTube livestreamed videos.[/expand]

    페이스북 입장에서는 트리플A 업체와 손잡음으로써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블리자드에게, 플레이어의 실제 정체성을 좀 더 쉽게 확인할 수 있고, 게임 플레이를 다양한 소셜미디어에서 공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블리자드가 익명 계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혐오발언이나 괴롭힘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expand title=Eng] For Blizzard, it means it will be easier to verify a player’s real-world identity and share gameplay in a massively social way. … That could help Blizzard address the problem that comes with anonymous accounts, such as hate speech and bullying.[/expand]

    블리자드 입장에서는 게임 이용자 프로파일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생겼다.

  • 트위터 블룸버그와 라이브 스트리밍 계약

    Fortune by Mathew Ingram, Twitter Signs Another Live-Streaming Deal, This Time With Bloomberg

    포켓몬 GO에 DAU도 역전당했다는 트위터이지만 최근 몇 주 사이 라이브 스트리밍 관련 계약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트위터가 정치 시즌에 가장 주목받았던 미디어이기는 하지만 미 공화당과 민주당 전당대회를 라이브 스트리밍 하기로 발표한 것에 이어 다른 라이브 스트리밍 계약들도 체결중이다.

    트위터는 CBS와 계약에 이은 윔블던 테니스 토너먼트부터 다가올 전당대회에 이르기까지 실험을 공개하며 상당히 빠르게 스트리밍 라이브 비디오에 대한 집중을 늘리고 있다. 그리고 이제 트위터는 블룸버그 미디어와 또 다른 계약을 체결했다.
    [expand title=Eng]
    Twitter has been ramping up its commitment to streaming live video fairly rapidly over the past week or so, rolling out an experiment from the Wimbledon tennis tournament followed by a deal with CBS to stream the network’s coverage of the upcoming political conventions. And now the service has signed another deal with Bloomberg Media.[/expand]

    트위터는 다른 10여개 이상의 계약을 추진중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 음악 산업을 소유하기 위한 애플의 계획

    Above Avalon, Apple’s Plan to Own the Entire Music Industry

    스트리밍 음악 시장 진입과 관련된 애플의 전략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 글이다. 애플은 iTunes를 통해 음악시장 판도를 바꾸어놓았고 곡당 $0.99에 구매하는 모델은 사람들이 음악을 소비하는 주요한 방식이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모델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한 것은 스트리밍 서비스의 등장 이후부터이다. 2014년 초기 스포티파이는 5,500만이 넘는 가입자를 모았으며 판도라는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고 유투브는 무료로 음악을 듣는 사람들이 가장 흔하게 찾는 사이트가 되었다.

    비트 인수 이후 음악산업 전체를 가져오기 위한 애플의 전략을 네 가지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1. 유료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로 이동
    2. 막대한 자금을 통한 음원 목록 관리
    3. 음원 수익 쉐어를 통해 음원 스트리밍 산업의 숨통을 조이기
    4. 인디 아티스트들이 지속가능한 환경 만들기

    플랫폼 전략과 관련해 2번째 내용이 개인적으로 흥미로웠다. 윗 글에서 세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 Tidal처럼 Drake, Future, Chance the Rapper와 같은 아티스트와 독점 계약을 맺었다. 둘째, 테일러 스위프트 콘서트 다큐멘터리나 닥터 드레의 바이탈 사인과 같은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했다. 이러한 사실은 음악 산업에서 성공이 이제는 더 이상 음원에 대한 것만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음악과 비디오는 한데 얽혀있다. 셋째, 마치 대형 레코드 레이블처럼 아티스트에 대한 후원을 하고 있다.

    긴 글이지만 음악산업과 플랫폼 경쟁 관련해서 읽어볼만한 글이다.

  • 디즈니 스트리밍 기업 지분 인수

    recode.net by Edmund Lee, Disney is investing $1 billion in streaming tech and will launch a streaming sports network — but it won’t include ESPN

    디즈니에서 스트리밍 비디오 기업 BAM Tech의 지분 1/3을 약 1조 원에 인수했다. 스포츠 관련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려고 하는데 ESPN은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이다.

    디즈니는 이미 ESPN을 포함한 채널의 일부를 Dish의 Sling과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에 판매했다. 그러나 새로운 투자로 디즈니는 자사 채널을 자력으로 스트리밍 할 수 있고 가까운 미래에 ESPN 유형의 채널묶음을 새로운 비디오 구독 서비스로 판매할 수 있을 것이다.

    결정적으로 ESPN은 포함되지 않을 것인데 이는 그 채널들이 디즈니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채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채널들을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것은 디즈니에 이미 돈을 지불하고 있는 케이블과 위성 사업자들의 수익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expand title=Eng] Disney already sells some of its channels, including ESPN, to online streaming services like Dish’s Sling. But with its new investment Disney can stream stuff on its own and plans to sell a bunch of ESPN-type channels in a new subscription video service at some point in the future.

    Crucially, it won’t include regular ESPN since that’s the channel that makes the most money for Disney, and selling it directly to consumers would hurt its standing with the cable and satellite distributors that already pay Disney a lot of money to carry the network.[/expand]

    얼마 전 Time Warner가 Hulu 지분 10%를 인수하며 라이브 스트리밍 TV 서비스에 합류한다는 기사도 있었다. 텔레비전 앞에서 모두 모여 방송을 보는게 이상한 시대가 될 것 같다. 각자 모바일로 보는게 지금도 그리 어색한 일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