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Media

  • 캘리포티아 아동소셜미디어법안 일부 집행금지

    Judge blocks parts of California bid to protect kids from social media
    Courthouse News Service

    연방판사는 아동을 소셜미디어 중독으로부터 보호하는 법안(SB 976)의 핵심 조항을 시행하지 못하도록 캘리포니아주에 금지 명령을 내렸다. 이는 해당 법안이 기술 기업들의 수정헌법 제1조(표현의 자유) 권리를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아무리 목적이 선해보여도 규제와 관련해서 명확한 범위를 정하는 것이 쉬운일은 아니다.

    판사는 아동 보호가 법적으로 중요한 명분이며 여러 과학적 연구에 의해 뒷받침되는 점은 인정했지만, 이 법안이 목적을 달성하기에 충분히 정밀하게 설계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NetChoice가 지적한 것처럼, ESPN과 같은 스포츠 웹사이트는 미성년자가 좋아하는 팀이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는 알림을 금지 시간대에 보낼 수 있지만, 페이스북은 동일한 알림을 보낼 수 없다.”
    – 판결문에서 다빌라 판사

    또한, 미성년자 계정 수 공개 요구 조항도 실효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이용하는 미성년자 수를 공개하는 것이 미성년자의 소셜미디어 사용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근거가 없다.”
    – 다빌라 판사

  • 인플루언서와 스타일 표절

    Bad influence
    The Verge

    아마존 인플루언서 알리사 실(Alyssa Sheil)과 시드니 니콜 기포드(Sydney Nicole Gifford) 사이의 법적 분쟁을 다룬 기사. 기포드가 실을 저작권 침해(copyright infringement), 초상권 도용(misappropriation of likeness), 사업 방해(tortious interference with business relations) 등으로 고소. 실은 기포드의 콘텐츠와 유사한 제품을 홍보하고, 유사한 스타일을 모방했다고 주장. 베이지 톤의 미니멀한 인테리어와 깔끔한 스타일링을 특징으로 하는 “Clean Girl” aesthetic이 유행하며, 두 인플루언서 모두 이 트렌드를 따랐기 때문일수도 있다고 함. 과연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인가

    인플루언서 산업이 압도적으로 널리 퍼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창작자를 보호하는 명확한 규범이나 법률이 거의 없다. 존재하는 규정조차도 제대로 집행되지 않는다. 인플루언서들이 받는 수익은 천차만별이며, 특히 팔로워 수가 적은 창작자들은 거대한 기업들과 직접 협상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집단적인 행동이나 노조 결성을 위한 노력은 대부분 실패로 끝났다. 협찬 콘텐츠 및 저작권 관련 법률이 존재하지만, 많은 크리에이터들은 이러한 규칙을 무시하거나 의도적으로 왜곡하기도 한다.

    인플루언서들은 본질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존재이지만, 그들의 노동에는 여전히 강한 사회적 편견이 존재한다. 사람들은 인플루언서를 ‘가벼운’ 존재로 여기고, 그들의 일이 쉽다고 생각한다. 결국, 대중은 인플루언서들의 노동 환경에 대해 별다른 동정심을 가지지 않으며, 이로 인해 이들은 착취당하면서도 보호받지 못하는 상태에 놓인다.

  • 코카콜라의 생성형AI 광고

    Coca-Cola’s Holiday Ads Trade the ‘Real Thing’ for Generative A.I.
    NYT

    https://www.youtube.com/watch?v=4RSTupbfGog&t=30s

    코카콜라의 오랜 캠페인. 올해는 인공지능으로 만들어진 광고. 부정적인 의견도 있나보지만 어쨌든 관심을 끄는데 성공했다. 왜 반발하는걸까?

    캠페인을 비판한 사람 중 한 명인 딜런 피어스는 TikTok에서 “코카콜라가 광고를 내서 크리스마스를 망쳤다” 며 “이런 엉터리 광고를 내놓으면 크리스마스 정신이 망가진다”고 말했다.

    “이건 진짜 가슴 아픈 일이에요.” 다른 사용자 De’Vion Hinton이 X에 게시했습니다. “코카콜라는 수십 년 동안 브랜딩과 광고의 황금 표준이었습니다.”

    애니메이터이자 디즈니 시리즈 “그래비티 폴스”의 제작자인 알렉스 허쉬는 다른 크리에이티브 전문가들이 온라인에서 공유한 감상을 표현하면서 , 브랜드의 상징인 빨간색이 “실직한 아티스트들의 피”를 나타낸다고 언급했습니다.

  • 온라인 네이션 2024 보고서

    Online Nation
    ofcom

    방대한 보고서. 전반적 개요만 요약

    1. 온라인 사용 시간
      • 영국 성인은 하루 평균 4시간 20분을 온라인에서 사용하며, 18~24세는 6시간 1분, 65세 이상은 3시간 10분을 소비함.
      • 여성의 온라인 사용 시간이 남성보다 길며, 특히 18~24세 여성은 하루 평균 6시간 36분으로 동 연령대 남성(5시간 28분)보다 1시간 이상 많음.
    2. Alphabet(Google)과 Meta(Facebook, Instagram, WhatsApp)의 지배력
      • 영국 성인의 온라인 사용 시간의 48%가 Alphabet 또는 Meta 서비스에서 소비됨.
      • Alphabet(Google, YouTube)의 도달률은 99%로 가장 높았으며, YouTube 이용자는 평균 47분 사용함.
      • Meta(Facebook, Instagram, WhatsApp)의 도달률은 96%
        • Facebook의 사용 시간이 감소하고 있으며, 18~24세 사용자는 하루 평균 15분만 Facebook을 이용.
    3. 소셜 미디어 트렌드
      • Reddit의 성장: 2024년 6월 기준 52%(24.6백만 명)가 Reddit을 방문하며, X(구 Twitter)와 LinkedIn을 제치고 5번째로 인기 있는 플랫폼이 됨.
      • Threads의 도달률: 출시 1년 후 11%(5.3백만 명)가 사용하며 12번째로 인기 있는 소셜 미디어가 됨.
      • TikTok과 Snapchat 사용량
        • TikTok 18~24세 사용자 중 74%가 이용하며, 하루 평균 64분 소비.
        • Snapchat 18~24세 사용자의 64%가 하루 평균 55분 이용.
    4. 메시징 및 통화 서비스
      • Snapchat 사용자의 43%가 ‘사라지는 이미지·비디오’ 기능을 사용.
      • WhatsApp은 여전히 가장 인기 있는 메시징 앱(87% 도달률)이며, 하루 이용률도 증가(58% → 64%).
    5. 생성형 AI (Generative AI) 사용 증가
      • ChatGPT가 가장 인기 있는 생성형 AI 도구로, 영국 성인(16+)의 33%가 지난 1년간 사용.
      • 그러나 AI 정보의 신뢰도는 낮으며, 사용자의 18%만 AI 정보를 신뢰한다고 응답.
    6. 검색 엔진 변화
      • Google 검색은 여전히 1위(도달률 83%)이나, 2023년(86%) 대비 소폭 감소.
      • Microsoft Bing 도달률도 감소(2023년 46% → 2024년 39%).
      • AI 검색 도구 성장
        • Microsoft Copilot 사용률 15% (2위 AI 도구)
        • Google Gemini는 출시 6개월 만에 10% (4위 AI 도구) 사용.
    7. 온라인 데이팅
      • 영국 성인의 10%가 2024년 5월 데이팅 앱을 사용.
      • Tinder 사용률(도달률 4%)이 감소(1.9백만 명, 전년 대비 60만 명 감소).
      • Hinge 사용률(3%)도 감소(1.4백만 명, 전년 대비 13만 명 감소).
    8. 포르노그래피 콘텐츠 소비
      • 영국 성인의 29%(13.8백만 명)가 2024년 5월 포르노 콘텐츠를 이용.
      • 월평균 사용 시간은 감소(2023년 1시간 41분 → 2024년 1시간 33분).
      • 남성이 여성보다 훨씬 더 많이 이용(72% vs. 28%).
    9. 온라인 쇼핑
      • Amazon이 여전히 영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온라인 리테일러(도달률 88%).
      • 영국 성인의 35%(16.4백만 명)가 매일 Amazon을 방문.
      • eBay(57%)와 Facebook Marketplace(40%)가 뒤를 이음.
    10. 온라인 안전 및 경험
      • 영국 성인의 67%가 온라인의 이점이 위험을 능가한다고 생각하지만, 2023년(71%) 대비 감소.
      • 잘못된 정보(가짜 뉴스)가 가장 흔한 온라인 위험(13세 이상 사용자의 39%가 경험).
      • Facebook이 성인들이 가장 많은 온라인 위험을 경험한 플랫폼(29%), 13~17세는 TikTok(22%)과 YouTube(13%)에서 가장 많이 위험을 경험.
  • 틱톡의 미국 금지 유지

    Appeals Court Upholds U.S. Ban of TikTok
    WSJ

    틱톡과 관련된 지속된 논쟁. 틱톡이 시도한 여러가지 조치에도 불구하고 압박은 이어지고 있다.

    워싱턴 D.C.의 3인 판사단은 미국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의회가 TikTok에 대한 조치를 취할 권한이 있다고 판결했다. 이 결정은 중국 정부가 TikTok의 베이징 기반 모회사인 ByteDance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국 사용자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플랫폼에서 보여지는 내용을 조작할 가능성이 있다는 미국 관리들의 경고에 크게 의존했다.

  • 챗봇의 위험성

    Chatbot apps pose dangers for teens
    Axios

    Character.AI 관련 소송 이야기.

    텍사스의 부모들이 Character.AI와 창립자들을 상대로 연방법원에 제품 책임 소송을 제기했다. 소송에는 한 캐릭터가 십대 사용자에게 “부모를 죽이라”고 조언한 메시지의 스크린샷이 포함되어 있다. 10월에는 플로리다의 한 어머니가 Character.AI를 고소하며, 이 앱이 14세 아들의 자살을 초래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신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알기 어렵다. 권력 불균형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그런 부분은 쇼핑이라든지 다른 영역에서도 마찬가지 아닌가

    아동 보호 운동가들은 수년 동안 음악, 비디오 게임, 소셜 미디어가 본질적으로 청소년에게 해롭다고 주장해 왔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장기적인 연구(longitudinal study)는 거의 없다. 핵심은 권력의 불균형을 살펴보는 것이라고 한센(Hansen)은 말한다. “이 경우, 엄청난 권력 불균형이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본질적으로, 매우 똑똑한 사람들이 모인 한 회사가 사용자의 참여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반면, 이에 대응하는 것은 오직 한 개인의 정신뿐입니다.”

  • 구글의 XR 플랫폼

    Android XR: The Gemini era comes to headsets and glasses
    Google

    구글은 시장을 떠난지 2년만에 VR과 AR 통합 플랫폼을 발표하며 다시 돌아왔다. 더 버지의 데모를 보면 매우 훌륭하다는 생각이 들지만 과연 어떨까? 정말 AI가 인터페이스를 포함해 기존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를 해결해줄까?

    현실 세계에 AI 기반 오버레이를 적용한다는 개념은 정말 멋질지 모르지만, 합리적인 크기와 가격으로 이를 실제로 구현할 수 있는 안경 하드웨어는 아직 없습니다. 한편, Apple과 Meta는 모두 집에서 착용하는 VR과 유사한 기기를 보유하고 있지만, 둘 다 필요한 디스플레이 품질/무게/가격에 도달하지 못했으며, 디스플레이가 없더라도 틈새 시장(산업 및 의료, 소규모 게임 및 피트니스) 이외의 사용 사례를 해결하기 위해 여전히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 Benedict Evans

  • 호주의 링크세

    Australia plans to tax digital platforms that don’t pay for news
    AP

    적절하지 않은 형태의 보조금이라고 생각하고 크게 관심가는 이야기는 아니지만 기록 용도로 남긴다.

    호주 정부는 목요일에 호주 뉴스 미디어 기관과 수익을 공유하는 데 동의하지 않는 한 대형 디지털 플랫폼과 검색 엔진에 세금을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세금은 1월 1일부터 호주에서 연간 2억 5천만 호주 달러(1억 6천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올리는 기술 기업에 적용된다고 스티븐 존스 재무부 차관보와 미셸 로랜드 통신부 장관이 밝혔습니다.

    여기에는 Meta , Google 소유주인 Alphabet , TikTok의 중국 소유주인 ByteDance가 포함됩니다.

  • 광고 산업, 창의성에서 기술로

    Sorry, Mad Men. The Ad Revolution Is Here.
    WSJ

    과거 광고 업계는 창의성과 감성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Mad Men(매드맨, 1960년대 전통 광고인들)’의 시대였지만, 현재는 AI, 알고리즘, 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Math Men & Women’ 시대로 변모하고 있다고 말한다.

    “우리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Mad Men’ 시대는 우리의 백미러 속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으며, 우리는 전속력으로 ‘Math Men과 Women’의 시대를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라고 디지털 미디어 베테랑이자 인터퍼블릭 이사회 멤버인 존 밀러(Jon Miller)는 말했다.

  • 소셜앱 Mozi

    Making “Social” Social Again
    Medium

    에반 윌리엄스가 출시했다는 새로운 소셜 서비스. 그는 블로거, 트위터, 미디엄의 창립자이다. 모지는 “아는 사람과 같은 장소(도시 또는 이벤트)에 있을 때 알려줍니다”라는게 모토이다.

    Mozi의 주요 가치 제안(오늘날)은 간단합니다. 아는 사람과 같은 장소(도시 또는 이벤트)에 있을 때 알려줍니다. 그리고 목표는 간단합니다. 더 자주—그리고 
    직접— 당신이 아끼는 사람들과 연결하는 것입니다.

    소셜 서비스가 성공할 수 있는건 단순 아이디어는 아닌 것 같다. 어려운 시장. BeReal의 사례도 그렇지만 과거 Dopplr라는 서비스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