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유튜브, AI 생성 콘텐츠 라벨링

    Hey YouTube creators, it’s time to start labeling AI-generated content in your videos

    올해 가을 쯤 전체 업데이트 될 예정

    사용자가 사이트에 동영상을 업로드하면 콘텐츠에서 실제 인물이 하지 않은 말이나 행동을 하거나, 실제 장소나 사건의 영상을 변경하거나,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장면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지를 묻는 체크리스트가 표시됩니다.

    이번 공개는 실제와 구별하기 어려운 매력적인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및 오디오를 빠르고 쉽게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소비자 대상 생성 AI 도구가 확산되는 가운데 사용자가 합성 콘텐츠로 인해 혼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온라인 안전 전문가들은 특히 2024년 미국 및 기타 지역의 선거를 앞두고 AI로 생성된 콘텐츠의 확산이 인터넷에서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하고 오도할 수 있다는 경고를 제기했습니다.

    YouTube 제작자는 동영상에 사실적으로 보이도록 AI가 생성하거나 조작된 콘텐츠가 포함된 경우 이를 식별하여 시청자에게 표시해야 하며, 반복적으로 표시를 추가하지 않을 경우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Starting Monday, creators will see a new checklist in the YouTube Creator Studio asking them to identify if their videos contain realistic, AI-generated content.
  • 웹 사용 시간 및 추천 트래픽

    Where Web Users Spend Time vs. Where Traffic Referrals Originate

    결국 핵심은 아래의 인용문이 아닌가 싶다

    “우리 사이트 트래픽의 대부분은 Google에서 발생하므로 디지털 마케팅 노력과 지출의 대부분도 Google에서 이루어져야 합니다.”

    – 마케팅에 투자하는 절대적으로 끔찍한 방법

    많은 트래픽이 Google에서 발생하지만, 모든 마케팅 노력을 Google에 집중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습니다. 사용자가 콘텐츠를 소비하고,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배우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문하는 다양한 플랫폼이 있기 때문이다.

  • 벽에 부딪친 데이팅앱

    Dating Apps Have Hit a Wall. Can They Turn Things Around?
    NYT

    미국에서는 새로운 관계의 절반이 데이팅 앱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말하는데, 이러한 데이팅 앱에 미래가 있을까? 사람들이 만남에 돈을 지불하기를 꺼려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이야기.

    미국 최대 세대인 밀레니얼 세대는 Tinder가 처음 출시되었을 때 주된 데이트 연령층이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결혼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앱을 그만두게 되었습니다. 이제 주요 사용자는 더 적은 가처분 소득을 가진 젊은 세대인 Z세대로 전환되었습니다. 이러한 세대 변화는 데이트 앱 산업에 도전 과제를 제기합니다.

    뉴욕 대학교의 18세 학생 Mandy Wang은 사람들을 직접 만나거나 Instagram이나 Snapchat 같은 플랫폼을 통해 직접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선호한다고 말했습니다. 데이트 앱은 “게임”처럼 캐주얼하게 사용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사람들은 데이트 앱을 사용하지만, 지불하는 사람은 모릅니다,”라고 Wang은 말했습니다. 실제로 그녀는 누군가가 구독을 위해 돈을 지불하는 것을 알게 되면 “이상하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현재 컨설턴트이자 데이트 코치인 Tinder의 전 사회학자 Jess Carbino는 젊은 사람들이 “여전히 온라인 데이트 앱을 사용할 욕구는 있지만, 파트너를 찾는 긴급성을 느끼지는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 미스터 비스트 시대의 종말

    The end of the MrBeast era
    Polygon

    미스터비스트는 자선가로 여겨지며 유튜브의 대표 인물로 생각되었지만, 조회수와 수익에 집중해 유튜브를 피상적이고 상업적으로 만들었다고 비판받기도 한다. 미스터비스트는 자신이 벌어들인 돈을 동영상 제작에 재투자하고 검소하게 산다고 주장하지만, 그의 자금은 스폰서십 브랜드에서 나오며 논란이 될 만한 내용을 피하는 전략을 사용한다고 말한다. 유튜브는 과거의 개인 크리에이터가 소규모로 진행하는 진정성 있는 콘텐츠에서 화려하고 상업적인 콘텐츠로 변모했으며, 미스터비스트는 이러한 변화를 상징한다.

    몇 달 후, 이러한 신랄한 교환은 유튜브의 핵심을 관통하는 지속적인 긴장을 상징하게 되었습니다. 이 긴장은 미스터비스트의 콘텐츠가 플랫폼을 장악하기 시작하면서 더욱 뚜렷해졌으며, 이는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합니다. 유튜브 전략가 잭커리 스미겔이 최근 동영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리는 플랫폼에서 뚜렷한 시대의 시작과 끝을 목격했습니다. 처음에 유튜브는 진정성을 중요시했고, 전형적인 크리에이터는 침실에서 아이폰으로 녹화하곤 했습니다. 실제 수익이 발생하자, 플랫폼을 구축한 크리에이터들은 인기로 생계를 유지하는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오늘날의 스모시는 인스타그램과 같은 플랫폼에서 큐레이션된 소셜 미디어의 등장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2005년에 채널을 시작한 아마추어 듀오와는 매우 다릅니다.

    미스터비스트는 이 과시적인 유튜브 시대를 완벽하게 구현하고 있어, 스미겔과 같은 일부 사람들은 플랫폼의 현재 단계를 도널드슨과 동의어로 간주하기도 합니다. 사람들은 그의 영향을 모든 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만드는 활발한 콘텐츠 유형, 유튜브의 모든 인기 콘텐츠를 채우는 빠른 편집 스타일, 심지어 유튜버가 동영상 썸네일을 스타일링하는 방식까지도 말입니다. 최근까지도 미스터비스트는 플랫폼에서 가장 큰 동영상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미스터비스트의 시그니처이자 끝없이 밈화되는 리액션 표정을 힌트로 얻지 않은 동영상은 드뭅니다. 맥로플린과 같은 비평가들에게 미스터비스트 모방범은 유튜브의 골칫거리입니다. 완전히 독창적인 콘텐츠를 제작하더라도, 플랫폼에서 가장 눈에 띄는 크리에이터는 촬영에 수백만 달러를 기꺼이 지출하는 사람의 극단적인 모습을 모방한 동영상을 제작합니다.

    이런 흐름이 과연 또 한번 변할까? 영상이 점점 틱톡처럼 될 것이라는 이야기는 공감이 가지만 사람들이 진정성을 더 추구하게 될 것이라는 이야기는 딱히 근거 있는 이야기처럼 들리진 않는다.

  • EU AI 법안


    Artificial Intelligence Act: MEPs adopt landmark law
    European Parliament. 24. 3. 13.

    빠르게 변하는 불분명한 분야의 규제. 나타나는 효과가 아닌 AI 자체를 규제하려는 시도가 맞을까

    이 규정은 고위험 AI로부터 기본권, 민주주의, 법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보호하는 동시에 혁신을 촉진하고 유럽을 이 분야의 리더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규정은 잠재적 위험과 영향 수준에 따라 AI에 대한 의무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금지된 애플리케이션

    새로운 규정은 민감한 특성에 기반한 생체 인식 분류 시스템, 얼굴 인식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기 위해 인터넷이나 CCTV 영상에서 얼굴 이미지를 비표적 스크래핑하는 등 시민의 권리를 위협하는 특정 AI 애플리케이션을 금지합니다. 직장과 학교에서의 감정 인식, 사회적 채점, 예측적 치안(개인의 프로파일링 또는 특성 평가만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 인간의 행동을 조작하거나 사람의 취약점을 악용하는 AI도 금지됩니다.

    법 집행 기관 면제

    법 집행 기관에서 생체 인식 시스템(RBI)을 사용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예외적으로 엄격하게 정의된 경우에만 허용됩니다. “실시간” RBI는 시간과 지리적 범위가 제한되고 특정 사전 사법 또는 행정 허가를 받아야 하는 등 엄격한 안전장치를 충족하는 경우에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실종자 수색이나 테러 공격 방지 등이 이러한 용도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을 사후에 사용하는 경우(“사후 원격 RBI”)는 고위험 사용 사례로 간주되며, 형사 범죄와 관련된 사법적 허가가 필요합니다.

    고위험 시스템에 대한 의무 사항

    건강, 안전, 기본권, 환경, 민주주의 및 법치에 대한 중대한 잠재적 피해로 인해 다른 고위험 AI 시스템에 대해서도 명확한 의무가 부과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위험 AI 사용의 예로는 중요 인프라, 교육 및 직업 훈련, 고용, 필수 민간 및 공공 서비스(예: 의료, 은행 업무), 법 집행, 이주 및 국경 관리, 사법 및 민주적 절차(예: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의 특정 시스템이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위험을 평가 및 줄이고, 사용 로그를 유지하며, 투명하고 정확해야 하고, 사람의 감독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시민은 AI 시스템에 대한 불만을 제기하고 자신의 권리에 영향을 미치는 고위험 AI 시스템에 기반한 결정에 대한 설명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투명성 요구 사항

    범용 AI(GPAI) 시스템과 그 기반이 되는 GPAI 모델은 EU 저작권법 준수, 교육에 사용된 콘텐츠의 상세 요약 게시 등 특정 투명성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시스템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더 강력한 GPAI 모델일수록 모델 평가 수행, 시스템적 위험 평가 및 완화, 사고 보고 등의 추가 요건에 직면하게 됩니다.

    또한 인위적이거나 조작된 이미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츠(‘딥페이크’)에는 이러한 사실을 명확하게 표시해야 합니다.

  • 뉴스보다 자신을 믿는 사람들

    People trust themselves more than they trust the news. They shouldn’t.
    CJR

    저널리즘을 믿지 않는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하며, (기존에도 스크랩해놨던) 네이처 연구를 소개하고 있다. 현상 자체에 대해서 생각해볼만한 듯.

    실제로 지난 10년간 뉴스 불신에 관한 연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일관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들은 저널리즘이 정치적으로 편향되어 있거나 ,경제적으로 타협하거나, 단순히 이해관계가 맞지않는 엘리트들이 생산한다고 믿기 때문에 저널리즘을 무시하고 싶은 충동을 점점 더 많이 느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언론인들이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고의로 뉴스를 선정적으로 보도하거나 진보적 또는 보수적 관점에 맞게 뉴스를 왜곡한다고 생각합니다.

    저자는 오픈 엑세스 저널에 투고된 자신들 논문을 하나 소개하고 있는데 (Doctors Fact-Check, Journalists Get Fact-Checked: Comparing Public Trust in Journalism and Healthcare) 재미있는 이야기를 한다

    최근 저희 두 사람이 공동 저자로 참여한 또 다른 연구에서 사람들은 저널리즘과 의료 서비스를 불신하지만 자신의 의사는 신뢰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그 결과, 저널리즘에서 관찰된 ‘직접 조사하기’ 트렌드가 의학에서는 반대로 나타났습니다: 사람들은 인터넷을 통해 의사의 말을 확인하는 대신, 온라인에서 읽은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의사를 찾아갔습니다. 다시 말해 ,의사는 팩트체크를 하지만 저널리스트는 팩트체크를 받는다는 뜻입니다.

  • 업무에서 인공지능 활용에 관한 인식

    Western countries are more pessimistic about AI

    서양권이 인공지능을 업무 활용하는데 더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기시

  • 퓰리처 최종 후보작 중 인공지능

    Five of this year’s Pulitzer finalists are AI-powered
    Niemanlab

    다른 저널리즘 시상식에서도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고려중이라는 기사

    퓰리처상 관리자인 마조리 밀러에 따르면 올해 퓰리처상 저널리즘 부문 최종 후보 45명 중 5명이 취재, 보도 또는 취재 과정에서 AI를 활용했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약 1,200개의 작품이 출품된 이 상에서 출품작에 AI 사용 현황을 공개하도록 요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퓰리처 위원회는 저널리즘 부문에만 이 요건을 추가했습니다.

  • 로컬 음악의 인기

    BIG EUROPEAN COUNTRIES ARE THE WINNERS IN THE LATEST MUSIC ‘GLOCALISATION’ TRENDS

    적어도 음반 시장에서 승자독식이 오히려 약해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사례. 이전에도 유사한 글을 스크랩해놓은 적이 있다.

    글로컬라이제이션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공급과 수요라는 오래된 관점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공급 측면에서는 디지털화로 인해 생산 및 유통 비용이 감소하고, 더 많은 데이터를 통해 레이블이 소비자가 실제로 원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으며, 해외 기업의 글로벌 우선 순위가 낮아졌습니다. 수요 측면에서는 쉽게 설명하자면, 예전에는 소비자들이 지역 라디오에서 주어진 것을 들었지만 이제는 글로벌 스트리밍에서 원하는 것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소비자들이 점점 더 원하는 것은 로컬 콘텐츠입니다.

  • 온라인 옵트인 여론조사

    Online opt-in polls can produce misleading results, especially for young people and Hispanic adults

    온라인 여론 조사를 모두 신뢰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데이터 품질에 관한 퓨리서치 이야기

    이번 선거에서 여론조사가 다시 주목받으면서 여론조사의 장단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퓨 리서치 센터에서는 이러한 방법의 장점과 한계를 면밀히 검토해 왔습니다. 또한 온라인 ‘옵트인’ 샘플링 (무작위 추출이 아닌 배너 광고나 소셜 미디어 등 다양한 온라인 소스에서 사람들을 모집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여론조사의 데이터 품질 문제에 대한 설문조사 전문가들의 이해에 기여해왔습니다. … 특히 최근 여러 연구에서 온라인 옵트인 설문조사에서 소위 “가짜 응답자” 의 존재로 인해 큰 오류가 발생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러한 응답자는 질문에 성실하게 답변하지 않고, 돈이나 기타 보상을 받기 위해 가능한 한 적은 노력으로 설문조사를 완료하려고 시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