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인공지능 학습과 데이터

    A Photographer Tried to Get His Photos Removed from an AI Dataset. He Got an Invoice Instead.
    Motherboard, by Chloe Xiang

    독일의 한 스톡 사진작가가 AI 학습용 LAION 데이터 세트에서 자신의 사진을 삭제하려고 시도했는데 오히려 변호사는 부당한 저작권 청구로 979달러를 지불해야 한다는 답변을 받았다는 기사.

    인공지능 학습과 저작권에 대한 논쟁이 점차 심해질 것이고, Zarya of the Dawn 같은 코믹스 저작권 관련 판결이 논쟁이 되기도 한 바 있다. 과연 어떤 방식의 접근이 좋은지 명확하게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Benedict Evans가 과거에 쓴 데이터에 관한 글 일부를 생각해볼만하다.

    기술은 내러티브로 가득 차 있지만 가장 시끄러운 것 중 하나는 ‘데이터’라는 것입니다. AI는 미래입니다. 데이터에 관한 모든 것입니다. 데이터는 미래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소유하고 아마도 지불해야 하며 국가는 데이터 전략과 데이터 주권이 필요합니다. 데이터는 새로운 석유입니다! 이것은 대부분 넌센스입니다. ‘데이터’와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으며, 가치가 없으며 어쨌든 실제로 귀하의 소유가 아닙니다.

    2017년 이코노미스트 컬럼은 데이터를 석유에 비유하며 자원으로 이야기했으나 데이터는 석유 같은 자원이 아니라는 이야기. 특정한 맥락에서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있을 때에만 가치를 가지기 때문에 석유와 같은 자원으로 비유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나도 과거에 데이터를 모을 때 같이 협업하던 분이 데이터가 아니라 거대한 쓰레기라는 말을 한 게 생각난다).

    물론 일부 유형의 데이터에서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들도 있으나, 우리가 이런 논의를 위해서는 어떤 종류의 데이터에 어떤 크레딧을 줄 수 있는지 분리해서 생각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지.

  • OTT서비스 이탈률

    Price Point 031: TV Questions Asked of TV Companies
    Roy Price

    OTT시장 경쟁상황 전반에 대한 요약이 잘 되어 있는 글. 2022년 6월 기준으로 미국 스트리밍 서비스 시청은 34.8%로 케이블 이용(34.4%)을 넘어섰으나 이러한 시장을 8~9개 사업자가 나누어가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스트리밍 서비스 중 1위는 유튜브, 구독 기반 서비스 중에서는 넷플릭스가 선두.

    문제는 서비스 해지율(churn rate)에 대한 것으로, 이탈률이 높아질수록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서 개별 업체가 투자해야하는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를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 언급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a) 축구 시즌이나 텐트폴 타이틀과 같이 고객에게 항상 기대할 만한 요소를 제공하여 해지율 자체를 낮추는 것, (b) 계절성이 덜한 다른 구독 서비스(예: Prime 또는 Netflix와 Spotify를 하나로 묶으면 어떨까요?)와 서비스를 번들링하는 것, (c) 다른 가치 있는 구독 서비스와 번들링하는 것, (d) 다른 구독 서비스와 번들링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c) 소셜 네트워크나 채팅과 같은 가치 있는 서비스와 구독 서비스를 번들로 제공(BiliBili), (d) 아이덴티티를 통해 브랜드 충성도를 창출(뉴요커 토트백, A24 범퍼 스티커), (e) 구독을 연간으로 설정, (f) 좋은 소문(“입소문”)을 들었거나 홍보를 본 고객(“획득된 미디어”)을 “무료로” 유치하여 신규 고객당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신규 고객당 비용을 80달러에서 50달러로 낮출 수 있다면 이는 큰 도움이 됩니다.[expand title=eng]
    Levers you might pull to make this a little better include (a) reducing the churn rate itself by always giving customers something to look forward to such as football season or a tent pole title, (b) bundling your service with other less seasonal subscriptions (like Prime, or — what if Netflix and Spotify were one?), (c) bundle your subscription service with a valued service such as a social network and chat (BiliBili), (d) create brand loyalty through identity (New Yorker totes, A24 bumper stickers), (e) making the subscription annual, and (f) reducing the cost per new customer by attracting customers “for free” because they’ve been hearing good things (“word of mouth”) or saw some publicity (“earned media”). If you can cut your cost per new customer down from $80 to $50, it’s a lifesaver. [/expand]

    이를 바탕으로 각 서비스 업체에 대하나 간략한 현황과 방향에 대한 정리가 되어 있고, 다음과 같이 시장 상황을 유형화했다.

    • Leader: Netflix
    • Tier 2: Prime, Hulu, Disney+
    • Tier3: Max, Peacock, Paramount 
    • Tier4: Apple
  • 모질라의 Fakespot 인수

    Mozilla buys Fakespot, a startup that identifies fake reviews, to bring shopping tools to Firefox

    모질라는 가짜 리뷰를 식별하는데 도움을 주는 브라우저 플러그인 Fakespot을 인수.

    2016년에 설립된 뉴욕에 기반을 둔 Fakespot은 AI 및 머신 러닝 시스템을 사용하여 리뷰 간의 패턴과 유사성을 감지하여 기만적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리뷰를 표시합니다. Fakespot은 소비자가 구매 시 더 많은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제품 리뷰에 등급이나 등급을 부여합니다. 이 회사의 웹사이트와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의 목표는 검색 엔진에서 기만적인 리뷰가 인위적으로 제품 순위를 부풀릴 수 있는 위치를 사용자가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아마존에 ChatGPT를 활용하여 가짜 리뷰를 작성하는 일이 증가함에 따라(As an AI language model…) 이런 수요가 높아지겠지만 정말 식별이 가능한지도 사실 잘 모르겠다.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테크닉

    Prompt engineering techniques

    언어모델에서 좋은 결과물을 얻기 위해 프롬프트를 잘 쓰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가 많은데, 보다보면 이게 새로운 개발언어지 자연어인가 싶은 느낌이 들 때가 있다.

    문단을 읽고 사실적 주장을 추출한 다음 검색 엔진 결과를 사용하여 사실을 확인합니다.

    문단
    John Smith는 Lucy Smith와 결혼했습니다. 그들은 다섯 자녀를 두고 있으며 그는 Microsoft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습니다. 팩트체크를 하려면 어떤 검색어를 써야 할까요?

    사실적 주장
    – John Smith는 Lucy Smith와 결혼했습니다.
    – John과 Lucy에게는 다섯 자녀가 있습니다.
    – John은 Microsoft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위의 주장을 조사하기 위해 발행된 다양한 검색 쿼리입니다.
    검색 쿼리
    – John Smith는 결혼했습니다. Lucy Smith에게
    – John Smith 자녀 수
    – John Smith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Microsoft

    다음은 검색 결과의 일부입니다.
    스니펫:
    [1] … John Smith의 결혼식은 2012년 9월 25일이었습니다 …
    [2] … John Smith는 그의 아내 Lucy와 함께 파티에 참석했습니다.
    [3]John은 다음과 같은 축구 경기에 동행했습니다. 그의 두 딸과 세 아들
    [4] … Microsoft에서 10년을 보낸 후 Smith는 자신의 스타트업인 Tailspin Toys를 설립했습니다.
    [5] John M은 마을 대장장이이며 Fiona와 결혼했습니다. 그들에게는 Lucy라는 딸이 있습니다
    . —
    스니펫이 주어지면 위의 각 사실 주장을 사실 확인하십시오.

    개발 언어 배우기보다 어려운게 사람과 커뮤니케이션하는 부분이라고 한 말이 생각난다.

  • 언어모델간 비교 테스트

    The Ultimate Battle of Language Models: Lit-LLaMA vs GPT3.5 vs Bloom vs …

    표가 길어서 보기 어려운 부분이 있기에 간략한 요약 결과만…

    • 오픈 소스 모델, 특히 Flan-t5는 간단한 질문에 대한 답변에는 꽤 능숙하지만 상황이 더 복잡해지거나 유머를 원할 때는 약간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모델을 미세 조정하면 성능의 수준을 완전히 높일 수 있습니다! 플란-T5가 일반 T5에 비해 얼마나 더 나은지 확인해 보세요.
    • 오픈레일 라이선스를 사용하는 모델은 짧은 답변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지만 확인해 볼 가치가 있습니다. 하지만 라이선스의 사용 제한 사항을 파악하는 것이 그렇게 간단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 LLaMA 7B는 설명은 괜찮았지만, 맥락을 설명하기 위해 기사를 많이 인용하는 데 의존했고 독창적인 농담을 만드는 데는 서툴렀습니다. 게다가 왠지 라텍스 형식을 사용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 같았습니다!
    • 알파카는 몇 가지 농담을 준비했지만 기사에 대한 질문에 답할 때는 약간 어려움을 겪는 것 같았습니다.
    • GPT3와 GPT4와 같은 개인용 모델은 매우 상세한 요약과 농담까지 해줄 정도로 훌륭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민감한 정보로 작업하는 경우 최선의 선택은 아닙니다.
    • 이러한 모델의 성능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질문을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답변의 품질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하세요.
    • 결론: 이러한 언어 모델은 매우 훌륭하며, 계속 개선됨에 따라 모든 종류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필수적인 도구가 될 것입니다.

    확실히 보면 GPT모델이 점잖은 느낌이라 해야할까..

  • 애플과 인공지능 언어모델

    Report describes Apple’s “organizational dysfunction” and “lack of ambition” in AI
    arstechnica, by Samuel Axon

    언어모델이 주목받음에 따라 애플이 가지고 있는 조직의 보수성이 변화할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기사. 애플의 경우 응답 시간의 단축, 개인정보의 보호를 위해 로컬 장치에서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기능을 실행시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더 인포메이션의 소식통에 따르면, 애플의 고위 경영진은 Siri와 같은 제품이 ChatGPT와 같은 당혹스러운 사실 오류나 불안정한 행동을 보이는 것을 두려워하여 회사 내 AI 그룹 내에서 공격적인 노력에 제동을 걸거나 최소한 자제하는 수많은 사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Apple은 AI 연구 및 제품 개발 분야에서 일하는 많은 사람들이 “환각”이라고 부르는 것을 용납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Siri의 응답은 생성형이 아니라 사람이 작성하고 사람이 선별한 것입니다. Apple 경영진은 Siri 개발자가 최신 LLM 기반 챗봇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음성 어시스턴트가 상세한 대화를 주고받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주저해 왔습니다. 이러한 대화는 유용성보다는 관심을 끌기 위한 것으로 여겨지며, Apple은 잘못된 답변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될까 봐 걱정하고 있습니다.

    보수적인 조직문화에 반발해서 일부 개발자가 떠나는 일들이 발생했다고 말한다.

  • Edtech의 목표, 맞춤학습

    Personalised learning: Edtech’s long-standing aspiration

    각 학생이 마치 고도로 숙련된 튜터와 일대일 관계에 접근할 수 있는 것처럼 개별화된 교육을 받는 세상을 상상해 보십시오. 학습 속도, 순서 및 접근 방식이 모든 학생에게 고유한 세상입니다.
    이전에는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1:1에 가까운 “교사 대 학생 비율”과 뛰어난 교육자가 필요했습니다. 실제 교육 예산 축소 , 교사 유지 어려움 , 영국 및 기타 모든 고소득 국가의 학급 규모 증가 라는 맥락에서 불가능한 열망입니다.

    맞춤형 학습이라는 오랜 열망이 대규모 언어모델과 생성 인공지능을 통해 가능해질 것이라고 보는 글이다. 사교육 시장의 유명 인이 전통적 형태의 교육이 끝났다는 이야기를 하는데 과연 동의할 수 있는 이야기인가.

    교육 방식에서 변화는 발생하겠지만 많은 학부모에게 내 아이를 누구에게 맡길지 물어본다면 답을 얻을 수 있지 않을지. 이것이 단순한 기술에 대한 거부감인지 실질적 효과의 이야기인지는 별개의 문제일 수는 있겠지만 말이다.

  • 생성 인공지능과 아티스트 커뮤니티

    Grimes invites fans to make songs with an AI-generated version of her voice

    드레이크와 더위켄드 음원 관련으로 이슈가 있고 난 이후 아티스트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 그 중에서 그라임스의 발언이 주목해볼만 하다.

    뮤지션 그라임스는 크리에이터들에게 AI가 생성한 자신의 목소리로 새로운 음악을 만들도록 초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원시 오디오 파일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녀는 일요일 트위터에 “내 목소리를 잘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지만, 스템과 샘플을 업로드하여 PPL이 직접 훈련할 수도 있습니다.”라고 썼습니다.

    생성 인공지능은 음악 산업에서 아마 과거 냅스터와 비슷한 정도의 파급력을 가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지 않을까. 당시도 아티스트들의 대응은 달랐다. 어떤 선택을 하는지에 따라 많은 차이가 발생할 것 같다.

  • 드롭박스의 감원

    Dropbox lays off 500 employees, 16% of staff, CEO says due to slowing growth and ‘the era of AI’

    드롭박스의 CEO는 성장 둔화로 인해 직원 16%에 해당하는 500명을 감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성장 둔화와 관련해 인공지능을 주요한 원인이라고 언급했다는 점이 주목할만한다. 단순히 시기 적절한 변명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우리가 컴퓨터로 문서를 생성하고 협업을 위해 공유하는 업무 프로세스 자체의 변화가 이미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결과일수도 있을 것 같다.

    “둘째, 더 중요한 것은 마침내 AI 컴퓨팅 시대가 도래했다는 점입니다.”라고 그는 이어서 말했습니다. “우리는 수년 동안 AI가 우리에게 새로운 초능력을 부여하고 지식 업무를 완전히 변화시킬 것이라고 믿어 왔습니다. 그리고 올해 제품 파이프라인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는 오랫동안 이러한 미래를 향해 구축해 왔습니다.”

    “클라우드 데이터-네이티브 앱” 모델은 “클라우드 데이터-클라우드 앱” 모델에 패배하게 될 것이라는 과거 기사도 참고해볼만 하다.

  • 아티팩트의 뉴스요약

    News app Artifact can now summarize stories using AI, including in fun styles

    아티팩트(Artifact)는 인스타그램 만든 사람들이 개발한 뉴스 서비스라는 이야기만 듣고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는데, 관련 기사를 읽다가 좀 신기하다 싶은 점이 있어서 남겨놓는다.

    인공지능을 서비스에 활용하는게 일반화되고 있는데, 특정한 톤으로 뉴스를 요약해주는 서비스를 도입했다고 말하고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Z세대 말하기 스타일인 ‘5살처럼 설명하기’와 같이 특정 스타일로 뉴스를 요약하거나 이모티콘만 사용하는 등 재미를 더할 수도 있습니다.”

    내가 나이가 든 건지 서비스의 주요 포인트가 어디에 있는지 이해하기가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