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OpenAI 소프트웨어 코드 자동화 소프트웨어 Codex

    OpenAI

    GPT-3 모델을 만든 OpenAI에서 공개한 또 다른 ML 프로젝트인 Codex. 자연어 입력을 통해 소프트웨어 코드를 작성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사이트에는 간단한 탄막 피하기류 게임 만드는 영상부터 데이터 분석에 이르기까지 몇 가지 사례가 나와있다.

    유튜브 영상을 보면 데모를 볼 수 있는데 생각하고 판단하는 인공지능은 아니지만 많은 부분을 자동화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그래머가 무엇을 빌드해야 하는지 알게 되면 코드를 작성하는 행위는 (1) 문제를 더 단순한 문제로 분해하고 (2) 이러한 단순한 문제를 이미 존재하는 기존 코드(라이브러리, API 또는 함수)에 매핑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후자의 활동은 아마도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재미없는 부분(그리고 진입 장벽이 가장 높음)이며 OpenAI Codex가 가장 뛰어난 부분입니다.[expand title=eng]

    Once a programmer knows what to build, the act of writing code can be thought of as (1) breaking a problem down into simpler problems, and (2) mapping those simple problems to existing code (libraries, APIs, or functions) that already exist. The latter activity is probably the least fun part of programming (and the highest barrier to entry), and it’s where OpenAI Codex excels most.[/expand]

    머신러닝으로 “이미지 인식이 되네. 자연어 처리가 되네!”라고 했던게 2014년 언저리부터 지속되어 온 일이라면, 이러한 것으로 무엇을 어떻게 더 할 수 있을지에 대한 내용을 보는 것이 새로운 흐름이 되지 않았나 싶다.

  • 데미안 허스트 NFT 프로젝트

    데미안 허스트의 새로운 프로젝트에 관한 토론 영상을 보고 흥미로워 보여서 프로젝트에 대한 내용을 조금 찾아보았다. 다음은 Fast Company에 나왔던 짧은 소개 기사다.

    영국 예술가 Damien Hirst의 최신 프로젝트 The Currency는 두 가지 형태의 작품입니다. 작품의 물리적 형태는 손으로 그린 다채로운 점들로 덮여 있는 10,000장의 ​​A4 용지입니다. 지폐와 같은 방식으로 각 시트에는 허스트의 홀로그램 이미지, 서명, 마이크로닷이 포함되어 있으며 일련 번호 대신 작은 개별 메시지가 있습니다.

    작품의 두 번째 부분은 이 손으로 그린 ​​각 시트에 해당 NFT(대체 불가능 토큰)가 있다는 것입니다. NFT는 블록체인으로 알려진 보안 온라인 원장에 존재하는 디지털 소유권 인증서입니다.

    The Currency가 작동하는 방식은 수집가가 실제 작품을 즉시 구매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대신 NFT에 대해 2,000달러를 지불하고 1년 동안 디지털 버전을 원하는지 아니면 실제 버전을 원하는지 결정해야 합니다. 수집가가 하나를 선택하면 다른 하나는 파괴됩니다.[expand title=eng]

    English artist Damien Hirst’s latest project, The Currency, is an artwork in two forms. Its physical form is 10,000 unique hand-painted A4 sheets covered in colorful dots. In the same way as paper money, each sheet includes a holographic image of Hirst, a signature, a microdot, and—in place of a serial number—a small individual message.

    The second part of the artwork is that each of these hand-painted sheets has a corresponding NFT (nonfungible token). NFTs are digital certificates of ownership that exist on the secure online ledgers that are known as blockchains.

    The way The Currency works is that collectors will not be buying the physical artwork immediately. Instead, they will pay $2,000 for the NFT and then have a year to decide whether they want the digital or the physical version. Once the collector selects one, the other will be destroyed.[/expand]

    화폐란 무엇인지 본질적인 속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프로젝트라고 말한다. 가치란 가치를 부여하는 커뮤니티의 맥락과 떨어져서 존재하기는 어려운데, 데미안 허스트의 프로젝트에는 두 가지 커뮤니티가 있다. 실제 예술 작품을 소유하고 그것에 가치를 부여하는 커뮤니티와 디지털 버전을 소유하고 그것이 진짜 소유라고 생각하는 커뮤니티이다. 구매한 사람들이 어떤 것을 선택할지는 1년이 지나 알게 될 것이다.

  • 뉴스과잉과 뉴스다이어트

    What’s the healthiest news diet? Probably traditional media, but don’t gorge yourself: Too much can leave you less informed

    By JOSHUA BENTON, Nieman Lab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 / Politics가 유럽 17개 국가의 뉴스 이용을 조사하여 기존 미디어 이용이 정치적 IQ에 적합하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뉴스 이용자를 뉴스 미니멀리스트 , 소셜 미디어 뉴스 사용자 , 전통 주의자 , 온라인 뉴스 탐색자 및 하이퍼 뉴스 소비자로 구분하고 정치적 지식과 관계를 살펴보았다.

    … 주요 발견은 두 개의 이용자 프로필 (전통 주의자 및 온라인 뉴스 탐색자)만이 나머지 이용자 프로필과 비교하여 정치적 지식과 긍정적이고 일관되게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결과는 더 선택적이고 풍부한 온라인 뉴스 다이어트를 한 사람(온라인 뉴스 탐색자)이 전통 및 공적 미디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제외하고 모든 뉴스 사용자 그룹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감시 지식을 보유 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나머지 모든 사람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잘 알고 있습니다.

    놀랍게도 뉴스 프로필의 하이퍼 소비자는 정치적 지식과의 중요하지 않은 연관성을 보여 주거나 (전통적이고 온라인 뉴스를 찾는 사람들과 비교할 때) 심지어 음의 상관 관계를 보입니다. 우리는 논문의 마지막 섹션에서 더 광범위하게 논의 하듯이 가장 그럴듯한 설명은 정보 과부하에서 비롯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expand title=eng]

    …a key finding is that only two user profiles (traditionalists and online news seekers) are positively and consistently correlated with political knowledge compared to the rest of the user profiles…

    More specifically, the results show that those having a more selective and richer online news diet (online news seekers) are more likely to hold higher levels of surveillance knowledge compared to all groups of news users with the exception of those using traditional and public media, who are comparatively better informed than all the rest.

    Strikingly enough, the hyper consumer of news profile shows either non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political knowledge or (when compared with traditional and online news seekers) even negative correlations. We anticipate the most plausible explanation thereof stems from information overloads, as we more extensively discuss in the final section of the paper.[/expand]

    연구 결과는 하이퍼 뉴스 소비자와 정치적 지식의 상관관계가 부정적 결과로 나온 것을 정보과잉으로 설명하고 전통 미디어가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이야기하는데 국내에서 같은 방식의 조사를 해도 비슷한 결과를 보일지 궁금하다. 극단적인 이용자를 제외하면 역시나 같은 결과가 나올까.

  • 구글 프로젝트 스타라인

    구글I/O에서 안드로이드12, 웨어러블 지원, 구글포토나 닥스의 새로운 기능들이 소개되었는데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프로젝트 스타라인. 하이엔드 카메라, 심도 센서, 새로운 종류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마치 사람이 바로 앞에 앉아있는 것처럼 보여주는 기술이다. 교도소 면회온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인터넷 대역폭을 비롯해 다른 부가적인 것들이 얼마나 필요할지 모르겠지만 재미있어 보인다.

  • 팟캐스트, 구독(subscribe) 용어 변경

    ‘Follow our podcast’: Apple Podcasts to stop using ‘subscribe’
    By James Cridland
    구독 모델이 일반적인 수익모델로 사로잡으면서 구독(subscribe)이라는 말 자체가 돈 내야한다는 의미처럼 들릴 수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애플은 팟캐스트에서 구독이라는 단어를 팔로우(follow)로 바꾸었다는 내용.

    Edison Research의 Tom Webster는 현재 팟 캐스트를 듣지 않는 청취자의 47 %가 팟 캐스트를 ‘구독’하면 비용이들 것이라고 생각하며 팟 캐스트의 성장을 걸림돌이 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합니다.[expand title=eng]
    Tom Webster from Edison Research says 47% of people who don’t currently listen to podcasts think that ‘subscribing’ to a podcast will cost money, describing it as a stone in the shoe of podcasting’s growth run.[/expand]

    우리나라에서는 용어가 정리 되지 않아서인지 사람들이 가지는 선입견이 크지 않은 것 같다. 유튜브에서는 구독과 가입(유료 후원)으로 되어 있다.

  • 데이터보다 고객의 소리를 듣기

    Data Is Great — But It’s Not a Replacement for Talking to Customers
    by Graham Kenny, HBR
    기업이 인사이트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데이터에 과도하게 집중하는 것을 이야기하는 글이다. 은행들이 데이터로 고객을 분석하고 유통업도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며 빅데이터 푸시(big data push)를 선언했다는 사례를 언급한다. 하지만 데이터로 인사이트를 찾으려는 행동에 대한 우려를 표하며 진짜 성공은 도요타나 어도비처럼 고객의 소리를 듣는 것에서 왔다고 말한다.

    데이터가 “정밀하게 부정확”하지 않은 경우 최신 컴퓨터 성능을 사용하여 고객의 구매 행동 패턴을 조사한다. 하지만 빅 데이터의 한계를 이해해라. 데이터는 역사적이며 정적이다. 과거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역사적이다. 당신의 고객은 데이터가 획득한 것에서 이동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다른 컴퓨터 모델링과 마찬가지로 여러분이 묻고 싶지 않은 질문에 답할 수 없기 때문에 정적이다.[expand title=eng]
    So, provided your data isn’t “precisely inaccurate” employ modern computer power to examine patterns in your customers’ buying behavior. But understand big data’s limitations. The data is historic and static. It’s historic because it’s about the past. Your customers have most likely moved on from what the data captures. And it’s static because, as with any computer modeling, it can never answer a question that you didn’t think to ask.[/expand]

    직접 목소리를 듣는 인터뷰에서 오는 편향도 있을 수 있지만 사실 데이터를 들여다보기전에 이미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은 대부분 정답을 알고 있다.

  •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웹

    Our Web Champions
    팀 버너스리와 로즈마리 리스는 32번째 웹 탄생일에 올린 공개서한에서 COVID-19의 어려움에도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세계의 젊은 사람들을 연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Hera Hussain: 성폭력 생존자를위한 자원 봉사자 커뮤니티 Chayn의 창립자
    • Avi Schiffmann: COVID-19 통계를 추적하기 위해 널리 사용하는 웹 리소스를 만든 고등학생
    • Arda Awais / Savena Surana: 디지털 정체성을 탐구하는 예술 프로젝트 인 Identity 2.0의 제작자
    • Peter Okwoko : 웹을 협업 및 정보 공유 도구로 사용하여 플라스틱 폐기물을 자원으로 전환하고 거리에 연결된 청소년을위한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회적 기업
  • NFT, 팬덤, 그리고 소유욕

    NFTs and a Thousand True Fans
    by Chris Dixon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은 고유한 어떤 것을 나타내는 특별한 유형의 암호화 토큰이다. 최근 NFT와 관련된 기사를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몇 가지 내용을 정리해놓으려 한다.
    제러미 리프킨은 소유의 종말이 올 것이라고 이야기했으나 기술의 발달에 따라 소유욕이 다른 형태로 변하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사람이 가지고 있는 소유욕이라는 것은 쉽게 사라지기 어렵다. 며칠 전에 보도된 기사를 보면 Beeple로 알려진 디지털 아티스트 마이크 윈켈만(Mike Winkelmann)의 NFT 디지털 작품이 크리스티 경매에서 6,900만 달러(약 780억 원)에 판매되었다.
    이해하기 힘들어보이는 일이 발생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테크크런치 기사 인터뷰에서 이러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TC: 데이비드, 간단하게 말해주세요. 왜 세계는 지금 NFT에 열광하는건가요?
    DP : 암호 화폐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매우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난해한 용어를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정말로 간단하게 하겠습니다. 약 40%의 사람들은 야구 카드, 신발, 예술품, 와인 등을 수집합니다. 여러 가지 심리적 이유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세트를 완성해야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투자 이유로 그렇게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물려줄만한 가보를 원합니다. 하지만 디지털 수집품은 복사하기가 너무 쉽기 때문에 현실 세계에서만 수집 할 수 있었습니다.
    블록 체인이 등장했고 실제로 복사 할 수 없는 것을 누가 소유했는지 기록함으로써 디지털 수집품을 불변으로 만들 수 있었습니다. 스크린 샷을 찍을 수는 있지만 실제로 디지털 수집품을 소유하고 있지 않으며 해당 스크린 샷으로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판매하거나 거래할 수 없습니다. 증거는 블록 체인에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암호화 기반 수집품이 정말 성장할 수 있고 실제로 암호 화폐의 주류를 차지하고 일반인이 암호 화폐에 참여하도록 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지금 일어나고있는 일입니다.[expand title=eng]
    TC: David, dumb things down for us. Why is the world so gung-ho about NFTs right now?
    DP: One of the biggest problems with crypto — the reason it scares so many people — is it uses all these really esoteric terms to explain very basic concepts, so let’s just keep it really simple. About 40% of humans collect things — baseball cards, shoes, artwork, wine. And there’s a whole bunch of psychological reasons why. Some people have a need to complete a set. Some people do it for investment reasons. Some people want an heirloom to pass down. But we could only collect things in the real world because digital collectibles were too easy to copy.
    Then the blockchain came around and [it allowed us to] make digital collectibles immutable, with a record of who owns what that you can’t really copy. You can screenshot it, but you don’t really own the digital collectible, and you won’t be able to do anything with that screenshot. You won’t be able to sell it or trade it. The proof is in the blockchain. So I was a believer that crypto-based collectibles could be really big and actually could be the thing that takes crypto mainstream and gets the normals into participating in crypto — and that’s exactly what’s happening now.[/expand]

    인간의 소유욕이란 재미있다. 인터뷰에서 알 수 있듯이 많은 사람들이 무언가를 수집하고 있다. Whatnot과 같은 수집품을 거래하는 사이트는 4백만 달러 펀딩을 받았고 라이브 스트리밍 쇼핑 플랫폼으로 확장하는 계획을 가지고 2천만 달러를 추가로 모았다.
    암호화폐와 결합된 NFT는 팬덤과 결합하여 온라인에서 새로운 경제활동을 만들어내게 될 것 같다. 팬덤과 온라인 후원에 관한 내용은 원래 작년에 논문을 썼어야 하는 부분이다. 유명한 케빈 캘리의 에세이 1,000명의 진정한 팬이라는 글은 사실 이러한 변화를 나타내는 글이었다. 인터넷은 소셜 플랫폼을 통해 창작자와 팬 사이를 연결했지만 NFT는 케빈 캘리가 보았던 비전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암호화폐, 특히 NFT (대체 불가능한 토큰)는 팬과 직접 수익을 창출하는 크리에이터의 추세를 가속화 할 수 있습니다. 소셜 플랫폼은 청중을 구축하는 데 계속 유용한 수단일 것이지만 (이것도 더 나은 탈 중앙화 대안으로 대체되어야 하지만) 제작자는 돈을 벌기 위해 NFT 및 암호화 지원 경제를 포함한 다른 방법에 점점 더 의존 할 수 있습니다.[expand]
    Crypto, and specifically NFTs (non-fungible tokens), can accelerate the trend of creators monetizing directly with their fans. Social platforms will continue to be useful for building audiences (although these too should probably be replaced with superior decentralized alternatives), but creators can increasingly rely on other methods including NFTs and crypto-enabled economies to make money.[/expand]

    이야기 자체는 이더리움이나 다른 암호화폐 나왔을 때와 다르지 않아보이지만 얼마전 뱅크시 원본을 불태우고 NFT 형태 디지털만 남긴 사례(저렴한 가격에 홍보일지 모르지만)를 보면 새로운 흐름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는것 아닌가 싶다.
     

  • 삶을 망치는 나쁜 소프트웨어

    Whistleblowers: Software Bug Keeping Hundreds Of Inmates In Arizona Prisons Beyond Release Dates
    By Jimmy Jenkins
    소프트웨어 버그로 인해 석방되었어야 하는 많은 사람들이 감옥에 갇혀있게 되었다는 기사.

    애리조나 교정국 내부 고발자에 따르면, 수감자 관리 소프트웨어가 현행 양형법을 해석 할 수 없기 때문에 석방될 자격이있는 수백 명의 수감자들이 감옥에 갇혀 있습니다.[expand title=eng]
    According to Arizona Department of Corrections whistleblowers, hundreds of incarcerated people who should be eligible for release are being held in prison because the inmate management software cannot interpret current sentencing laws.[/expand]

    최근 인공지능과 윤리나 편향에 관한 이야기가 주요 쟁점이지만 사람들에게 피해를 끼치기 위해 머신 러닝까지 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 베네딕트 에반스는 SQL 윤리로 이런 것을 해결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고 말한다. 결국은 관료제, 프로세스, 정치문화의 문제라고 이야기했다. 생각해볼만한 부분이 있다.

  • 로컬 뉴스 좀비 구독자

    Nearly Half of Digital Subscribers Are ‘Zombies,’ Medill Analysis Finds
    by Mark Jacob
    수익 모델이 다양해지면서 언론사 수익모델 일부도 광고 중심에서 구독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로컬 뉴스 구독자 절반 가까이가 구독만 하고 사이트를 찾아오지 않는 좀비라는 연구결과.

    슈피겔(Spiegel)은 구독자의 49%가 한 달에 한 번도 구독한 웹 사이트를 방문하지 않아 뉴스 업계 속어로 ‘좀비’라는 범주에 속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있는 이유는 좀비가 여전히 지역 뉴스 비용을 지불함에도 불구하고 미래를 구축 할 수있는 약한 기초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expand title=eng]
    Spiegel found that 49% of subscribers didn’t go to the websites they had paid for even once a month, putting them in a category known in news-industry slang as “zombies.” Concern is growing about this problem because even though the living dead may still pay for local news, they seem like a weak foundation to build a future on.[/expand]

    한달에 몇 번 사이트를 방문하는지 방문 횟수별 누적 이용자 그래프는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재미있는 사실 중 하나는 로컬 뉴스에 기부금이라고 생각하고 좀비 구독자로 있는 사람들이 다수 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언제까지 후원자로 남을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불안한 기반이라고 이야기하는 것 같다. 언론사 외에도 다른 서비스에 어느 정도의 좀비 구독자가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