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비트코인은 망했다

    블로터, 비트코인은 망했다

    Mike Hearn이 미디엄에 쓴 “The resolution of the Bitcoin experiment”라는 글을 번역한 기사.

  • 포르노는 이미 가상현실의 미래를 결정하고 있다

    VentureBeat, by Jeff Grubb Porn is already deciding VR’s future

    SimilarWeb에 따르면 가상현실 성인 영화와 소프트웨어를 퍼트리는 포르노 사이트들은 이미 HMD에 대한 많은 관심을 만들어내고 있다. 오큘러스, HTC, 소니가 VR 헤드셋을 출시하기 위해 준비하는 사이, 포르노 사이트들은 이미 이들 상품에 대한 지원을 홍보하고 있다. 오큘러스 리프트와 오큘러스 웹사이트는 2015년 1월부터 11월 사이 VR 포르노 사이트로부터 2.7퍼센트의 리퍼럴 트래픽을 받았다.

    [expand title=English]
    Porn sites peddling virtual reality adult movies and software are already generating a lot of interest in head-mounted displays, according to data-company SimilarWeb. While Oculus, HTC, and Sony are all preparing to finally release their VR headsets — which are widely considered the three primary entries into the high-end VR market — porn sites are already hyping their support for one of these products. The Oculus Rift and Oculus’s website received 2.7 percent of its referral traffic from VR porn sites between January and November 2015.[/expand]

    기술의 채택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포르노라는 것은 예전부터 많이 이야기되어 왔다. 아마도 확실히 2016년은 VR이 퍼지기 시작하는 해가 될 것이다. 나도 VR 포르노를 보려고 시도했었는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쓰고 영상을 보고 있으면 자신이 괴로운 감정이 들까봐 시도하지 않았다. 글 마지막 부분에 포르노를 이용하고 싶으면 플레이스테이션4에서 사용하는 폐쇠적인 플랫폼의 소니보다 오픈 플랫폼의 오큘러스를 구입하라는 조언도 있다.

  • R 이용자들은 필연적으로 베이지안이 될 것이다

    R Users Will Now Inevitably Become Bayesians

    베이지안 모델링을 위한 brms, rstanarm 패키지를 소개하는 글이다. 앞 부분에서 베이지안에 대해 짧게 언급하고 있다.

    회귀분석 모델링에서 모든 사람들이 베이지안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하나는 베이지안 모델링이 더 많은 생각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사전확률과 같은 성가신 일을 해야하고, 만약 절차가 오류 메시지 없이 실행된다면 답이 타당한지 가정할 수 없다. 두 번째 이유는 MCMC 샘플링이 유사한 형태 혹은 MLE 절차에 비해 느릴 수 있다. 세 번째 이유는 지금 베이즈 솔루션이 매우 고급화되어 있거나 BUGS, JAGS, Stan과 같은 일반적인 툴을 사용하는 지식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expand title=English]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everyone isn’t using Bayesian methods for regression modeling. One reason is that Bayesian modeling requires more thought: you need pesky things like priors, and you can’t assume that if a procedure runs without throwing an error that the answers are valid. A second reason is that MCMC sampling — the bedrock of practical Bayesian modeling — can be slow compared to closed-form or MLE procedures. A third reason is that existing Bayesian solutions have either been highly-specialized (and thus inflexible), or have required knowing how to use a generalized tool like BUGS, JAGS, or Stan.[/expand]

    언젠가부터 베이지안 모델링이 많이 이용되는 것 같다. 이를 이용한 논문들도 점점 많아져서 예전에 좀 찾아봤는데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베이즈 정리는 특정한 사건이나 증거를 설명하기 위해 주관적인 믿음이 바뀌는 것을 표현한다. 간단하게는 주관주의 확률론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베이지안 방법이 가지는 장점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설이 참과 거짓인 확률을 설명할 수 있다는 점과 여러 가설들 사이에서 참일 확률을 비교할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심리학쪽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p-value에 대한 문제나 가설검정에 대한 논의들로 인해 베이지안 모델링의 이러한 장점들이 주목을 받았다. 이번에는 마음 먹고 배워보려고 좀 알아봤으나 개론서라고 나와 있는 수준도 수학이 꽤나 많이 들어간다. 그래도 재미있기는 한데 사전확률의 분포와 샘플링에 대한 부분에서는 점점 복잡해져서 실제로 어떻게 적용해야할지 감이 잘 오지 않는다.

  • 페이지 뷰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

    Wired, By Julia Greenberg, Page Views Don’t Matter Anymore—But They Just Won’t Die

    페이지뷰가 얼마나 문제가 많은 지표인지에 대해서 오랫동안 이야기되어 왔지만 쉽게 바뀌지 않고 있는 모습에 대해서 지적한 기사다.

    페이지뷰는 한 때 웹 사이트가 그들의 독자를 이해하는 중요한 방식이었다. 그것은 뉴스 조직들이 누가 그들의 기사를 보는지를 알아내는 방식이었고, 이를 통해 광고주들은 사이트 광고의 가치를 산정해낼 수 있었다. [expand title=English] The page view, much like the click-through, was once the key way websites understood their audiences. It was the way news organizations figured out who was reading their stories—how many, how often, which, from where—and the way advertisers were able to calculate the value of serving up ads on those sites.[/expand]

    페이지뷰로 인해 클릭 바이트가 생겨나고 기사의 품질보다 조회수를 높이는게 중요해졌다는 사실들은 이미 익히 알고 있는 내용들이다. 페이지뷰보다는 실제 이용자의 참여를 판별해낼 수 있는 다양한 지표를 활용해서 측정하려고 시도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

    실제 페이지뷰를 지표로 이용함으로 인해서 생기는 문제들은 광고업계에도 피해를 준다.

    The $8.2 Billion Adtech Fraud Problem That Everyone Is Ignoring

    IAB에서 지난 해 말 발표한 자료이다.

    • 사람이 아닌 트래픽으로 인한 손실이 42억 달라
    • 멀버타이징(malvertising, malicious advertising)으로 인한 손실이 11억 달라
    • 위반된 콘텐츠로 인한 손실이 24억 달라

    “사람이 아닌 트래픽”은 적지 않은 사람들이 “impression”에 대한 정의를 잘못 이해하고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 용어는 한 사람이 한 번 광고를 본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실제로 광고 네트워크로부터 하나의 광고에 보내기 위한 요청을 만드는 하나의 웹 브라우저이다. [expand title=English] The “non-human traffic” part stems from the fact that few people do not understand the true definition of an “impression.” The term does not refer to one human being seeing an advertisement one time. In reality, it is one web browser making one request to be served with one advertisement from one ad network. That’s all.[/expand]

    페이지 뷰를 주요 지표로 사용하기에 두 번째 멀버타이징과 관련된 피해도 발생한다. 기사에 네 가지 대표적인 사례들을 제시했는데 상당히 재미있다.

    다른 분야들이 빠르게 바뀌고 있는데 광고산업이라는 분야가 어떤 의미에서는 변하지 않는 분야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어떤 의미에서는 안정적이기 때문이기도 하며 별다른 부침이 없기 때문은 아닌가 싶다 (Advertising’s Century of Flat-Line Growth).

  • 프레드 윌슨 2016년 전망

    Fred Wilson, What Is Going To Happen In 2016

    벤처캐피탈리스트인 프레드 윌슨이 쓴 2016년 전망

    1. 오큘러스 리프트 출시.
    2. 새로운 형태의 웨어러블 등장.
    3. 빅 4 중 하나가 불안정해짐 (애플).
    4. FAA 상업용 드론 규제.
    5. 소셜 네트워크에서 적절한 현금화를 하지 못하는 퍼블리셔의 희생.
    6. 타임워너 HBO 분사.
    7. 비트코인이 오픈 바자(open bazaar)로 인해 킬러앱을 가짐.
    8. 슬랙(Slack) 기업 플랫폼.
    9. 트럼프 공격으로 인해 테크 섹터들은 힐러리에게 줄을 서게 됨.
    10. 가치평가 하락으로 인한 스타트업 섹터 위기.
  • 스트리밍 TV는 새로운 장르다

    NYT, By James Poniewozik, Streaming TV Isn’t Just a New Way to Watch. It’s a New Genre.

    스트리밍 TV는 시청하는 새로운 방식이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장르라는 James Poniewozik의 기사.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와 같은 스트리밍 쇼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단순한 TV 시리즈를 넘어서 별개의 장르가 되어가고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관습이나 미학 측면에서 기존과 전혀 다르다는 이야기를 한다.

    스트리밍 시리즈를 보는 것은 차라리 책을 읽는 것과 비슷하다. 중간에 끊어짐 없이 전체를 볼 수 있고, 자신의 스케줄에 맞출 수 있다. 그것은 비디오 게임과도 유사하다. 폭식 시청(binge watching)은 몰입감있고 이용자의 통제를 받는다.
    [expand title=English]
    Watching a streaming series is even more like reading a book — you receive it as a seamless whole, you set your own schedule — but it’s also like video gaming. Binge-watching is immersive. It’s user-directed.[/expand]

    이런 특징들로 인해 스트리밍 쇼는 네트워크 TV 쇼와 다른 특징을 가진다. 오히려 할리우드 영화와 비슷하다. 스트리밍 쇼들은 데이터에 기반한 분석을 통해 기존 이용자들이 원하는 것만을 만든다. 하지만 스트리밍 쇼는 소설일 필요가 없고, 그렇다고 기존 TV 시리즈와 같은 방식에 스스로를 제한할 필요도 없다.

    TV에서 최근의 어떤 혁신 보다도, 스트리밍은 텔레비전, 영화, 소설뿐만 아니라 이 모두와 완전히 다른 것을 가진 완전히 새로운 내러티브 장르를 만들어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우리가 익숙해지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다.
    [expand title=English]
    More so than any recent innovation in TV, streaming has the potential, even the likelihood, to create an entirely new genre of narrative: one with elements of television, film and the novel, yet different from all of those. But it’s going to take time for all of us to master it.[/expand]

    넷플릭스가 국내 서비스를 시작한 날이다.

  • 저커버그 집에 자비스 같은 시스템 갖출 것

    The Verge, By Jacob Kastrenakes. Mark Zuckerberg: I’m building an AI for my home that’s ‘kind of like Jarvis in Iron Man’

    저커버그가 아이언맨에 나오는 자비스와 같은 인공지능 시스템을 집에 구축할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저커버그의 비전은 기본적인 것에서 시작하지만 많은 포부를 가진다. “어떤 기술이 이미 가능한지 탐색할 것이다”라고 그는 말했다. 음악, 빛, 온도 등을 조절하는 것과 같은 목적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친구들이 문 앞에 왔을 때 파악하고 안으로 들여다줄 수 있기를 원하고 주의가 필요할 때 새로 태어난 딸에게 경고를 전해줄 수 있기를 원한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것들을 말하는 사람을 인식할 때 수행하기를 원한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모든 것들이 백만장자가 아닌 사람들도 할 수 있을것이다. 저커버그는 이미 그가 원하는 제품을 발견했다. “음악의 경우에는, 아마존 에코가 훌륭하다. 양 손이 맥스를 돌보느라 여유가 없는사이 목소리를 가지고 음악을 조절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expand title=Englsih]
    Zuckerberg’s vision starts basic but gets a lot more ambitious. “I’m going to start by exploring what technology is already out there,” he writes. That should be able to handle his initial goals, like controlling “music, lights, temperature, and so on.” He also wants this system to recognize when friends are at the front door and let them in, alert him if his newborn daughter needs attention, and to do all of this only when it recognizes the person speaking. For the most part, that’s all doable even for the non-billionaire home builder. Zuckerberg has already found one product that he likes: “For just music, the Amazon Echo is pretty great. It’s been very useful for controlling music with my voice while both hands are occupied taking care of Max.”[/expand]

    기술적으로는 다 가능해보이기는 하는데 돈 많은 양덕이라 시도해볼 수 있는건가.
    어쨌든 최근 많이 이야기하는 가정용 IoT 시스템이 연결만 되어 있고 두뇌가 빠져있는 걸 생각한다면 데이터와 이를 분석해서 솔루션을 제시해주는 플랫폼이 필요하다고는 생각하지만 그게 페이스북이 될 거라고 생각하면 좀 끔찍하다.

  • 2015년이 인류에게 대단한 한 해인 11가지 이유

    Angus Hervey, 11 Reasons Why 2015 Was a Great Year For Humanity

    프랭클린 루즈벨트는 “우리의 진보를 검증하는 시험은 이미 많은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풍요에 더 많이 보태주느냐 아니냐 하는 것이 아니라, 지나치게 적게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충분히 주느냐 아니냐 하는 것입니다.” 라는 말을 남긴다 (The test of our progress is not whether we add more to the abundance of those who have much; it is whether we provide enough for those who have too little). 이러한 관점에서 2015년은 인류에게 대단한 한 해였다고 한다. 11가지 이유를 정리해놓았는데 관련된 자료들도 꼼꼼하게 붙어있다.

    • 우리는 포괄적, 보편적 교육에 가까워지고 있다
    • 극심한 가난이 10% 아래로 떨어졌고 역대 가장 낮은 비율이다
    • 점점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에 연결되고 있다
    • 수백만의 사람들이 최초로 금융 서비스에 접근하게 되었다
    • AIDS로 인한 죽음이 15년 연속 떨어지고 있다
    • 말라리아 사망율이 역대 최저치였다.
    • 소아마비가 곧 사라질 것이다
    • 어느 해보다도 적은 사람들이 굶주렸다
    • 더 많은 사람들이 깨끗한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 유아 사망률이 43년 연속 하락했다
    • 기후 변화에 맞서 싸울 수 있는 전환점에 도달했다
  • 가상현실을 통한 경험

    SingularityHUB, by Jason Ganz, The Internet Allowed Us to Learn Anything—VR Will Let Us Experience Everything

    독서를 한다는 것은 혜택받은 소수 엘리트들의 전유물이었고, 멀리 있는 사람과 서로 소통한다는 것은 제한적이거나 비싼 일이었다. 하지만 인터넷은 모든 사람이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만들었고 누구든지 인터넷으로붙터 무언가를 배우고 자신의 지식을 공유할 수 있게 만들었다. 하지만 앞으로 단순히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시대를 넘어서 VR을 통해 무엇이든지 경험할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이다.

    인터넷의 등장은 지난 세기의 가장 중대한 발전 중 하나였다.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은 “아프리카의 한 아이가 15년 전 미국 대통령에 비해 더 많은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곧 아이들은 경험할 기회 역시 더욱 가지게 될 것이다.

    곧 우리는 가상현실 교실에서 수업을 배우고 가상현실 상점에서 쇼핑을 하고 가상현실 사무실에서 일을 할 것이다.

    우리는 이것의 장기적 결과를 추측할 수밖에 없다. 가상현실 사무실이 일반적인 것이 되었을 때 도시는 어떤 영향을 받을 것인가?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가상현실 스포츠와 콘서트에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우리는 마침내 오래되고 거대한 교육 기관의 품질을 넘어서는 디지털 대학을 만들 수 있을 것인가?

    때론 이 모든 것들은 짐작하기 어려운 것처럼 보인다. 우리는 다가오는 몇 년 이내에 이러한 거대한 변화를 볼 수 있을것인가?

    [expand title=English]
    The rise of the Internet was one of the most profound developments of the past century. The Internet famously allowed the futurist Ray Kurzweil to conclude that “A kid in Africa has access to more information than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did 15 years ago.” Well, pretty soon, that kid is going to have more opportunity for experiences too.

    Pretty soon, we’ll be learning in virtual-reality classrooms, shopping at virtual-reality stores, and even working in virtual-reality offices.

    We can only begin to speculate on the long-term consequences of this. How are cities affected when the VR office becomes the standard? How will the entertainment industry respond to live-streamed VR sports and concerts? Can we finally create a digital university that surpasses the quality of our oldest and grandest learning institutions?

    Sometimes this all seems hard to fathom. Could we really see these massive changes coming in just a few short years?[/expand]

  • 루이비통의 새로운 모델

    Louis Vuitton’s new top model is a video-game star

    루이비통에서 새로운 캠페인 모델을 공개했는데 파이널 판타지의 캐릭터로 유명한 라이트닝(애클레르 패런). 전반적인 캠페인에서 캐릭터를 어떤 식으로 사용할지는 아직 모르지만 이번 시즌 유행이 사이버와 공상과학이라고 한다.

    게스키에르는 근래 디지털과 판타지를 염두에 두고 있어왔다. 그의 루이비통 봄 콜랙션부터 메이크업까지 공상과학 소설, 만화, 애니메이션, 비디오게임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세일러 문이나 신세기 에반게리온과 같은 인기 있는 작품이나 비디오 게임과 관련된 세트에 대한 암시가 포함되었으며, 심지어 게임 마인크레프트에 대한 참조도 있었다.

    [expand]
    Ghesquière has had all things digital and fantasy in mind lately. His spring collection for Louis Vuitton pulled heavily from sci-fi, manga, anime, and video games, even down to the makeup. It included allusions to popular works such as Sailor Moon and Neon Genesis Evangelion, and the set, which was lined with video screens, even threw in a reference to the game Minecraft. [/expand]

    Reality and fantasy become one : lightning a genuine heroine in the new @louisvuitton series 4 ad campaign

    (@nicolasghesquiere)님이 게시한 동영상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