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구글의 광고 타게팅과 이용자 차별

    구글 알고리즘이 여성보다 남성에게 높은 급여를 받는 직업을 광고로 보여준다는 기사(Google’s algorithms advertise higher paying jobs to more men than women). Carnegie Mellon 대학과 International Computer Science Institute (ICSI)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는 여기에서 확인 가능하다.

    웹 이용자들의 브라우징 활동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 AdFisher라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연구에서 방문자들이 직업 사이트를 방문할 때, 가상의 남성 이용자가 가상의 여성 사용자에 비해 높은 급여를 약속하는 광고를 더 자주 접하게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일한 연구는 구글에 광고 설정 도구를 통해 이러한 정보를 추적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약물 중독에 관한 사이트를 방문하는 이용자들에게 재활프로그램에 대한 광고를 보여준다고 밝혔다.

    [expand title=English] A study that used custom software named AdFisher to simulate the browsing activities of web users found that when visiting job sites, fake male users were more frequently shown ads promising large salaries than fake female users. The same study also found that users visiting websites about substance abuse were shown ads for rehab programs, even though Google did not disclose that it was tracking this information via its Ads Settings tool.[/expand]

    알고리즘이 가지는 차별과 불투명성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연구. 연구 방식이 흥미롭다.

  • 인용한 자료 출처를 밝히는 일

    들풀넷 블로그에서 수전 손택의 출처라는 글을 읽었다. 수전 손택이 감사의 글에서 본문에서 사용한 사진 출처를 밝힌 이야기를 하고 있다. 해당 사진에 대한 정보를 누구에게 들었는지까지 출처를 적었다는 사실이 인상적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손택은 세 가지 출처를 명시했다. 해당 사진의 직접적인 출처(3)는 맨 나중에 나온다. 그보다 앞에 세운 출처는 (1) 첫째로 그런 사진작가가 있다는 이야기를 어디서 읽었는가이고 (2) 둘째로 해당 사진과 관련한 이야기를 누구로부터 들었는가다. 책이나 논문에서 본 것뿐만 아니라 남에게 들은 이야기까지 출처로 밝혀둔 것이다. 원문에서는 (1)에 대해 “I am indebted to…”, (2)에 대해 “I owe the information that…”라고 해서, 모두 빚졌다는 표현을 썼다.

    강의에서 학생들에게 과제를 내주면서 분명하게 출처를 밝히고 인용방식에 따라 기입할 것을 요구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끼는 학생들이 너무 많다. 같은 블로그의 “그 출처를 과제에 모조리 밝혀라”라는 글에서도 비슷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인상적이어서 블로그에 옮겨놓는다.

    우리나라에서는 글을 쓰고 인용문을 다는 방식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배울 기회가 부족하다. 그럼에도 보고서를 쓰는걸 기말 과제로 내주었기 때문에 적절한 피드백을 해주지 못한 것이 잘못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어떤 과제를 주고 어떻게 점수를 주어야할지 생객해볼만한 일이다.

  • 뉴스의 미래: 페이스북과 애플의 뉴스 서비스

    최근 뉴스에 대한 페이스북과 애플의 관심과 관련해 Financial Times에서 The future of news: Stop the presses!라는 제목의 기사가 올라왔다. 최근 흐름에 대해 전반적으로 정리한 글인데 뉴스페퍼민트에 번역 기사가 올라왔다.

    페이스북과 애플의 목표는 같습니다. 유져가 그들의 서비스, 특히 스마트폰에서 보내는 시간을 최대화하는 것이죠. 스마트폰은 갈수록 뉴스를 소비하는 주채널이 되고 있습니다. 2012년 뉴스서비스의 25% 만이 스마트폰에서 소비된 데 비해 올해는 50%가 스마트폰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페이스북과 애플이 뉴스에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스마트폰이 뉴스를 접하는 기본 채널로 등장” 했기 때문이라고 뉴스오노믹스의 아날리스트 켄 닥터는 풀이합니다. 페이스북과 애플이 “모바일에서 뉴스가 중요하다는 걸 깨달은 것이죠.”

    페이스북이나 애플은 사람들이 자신의 서비스를 좀 더 오래 이용하게 만들기 위해 뉴스를 선택했고, 언론사들은 이 채널들을 통해 좀 더 젊은 독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게 될 것이다. 모두가 투자를 포기한 언론사에 새로운 살 길을 마련해 줄 수도 있지만 과연 언론사들에게 얼마나 도움이 될 지는 미지수이다.

    “언론은 언제나 제작과 유통 과정에서 독립적이었어요.” “그러나 역사상 처음으로 거기서 벗어나고 있지요.” “그들이 보고하는 기업의 권력 구조에 영향을 받게 되는 겁니다.” 다른 대안이 딱히 없는 산업의 “파우스트의 거래” (악마에게 영혼을 파는 거래) 라고 콜럼비아 언론대학의 에밀리 벨은 풀이합니다. “이들 플랫폼이 어떻게 변해갈 지 투명하지 않아요. 그러나 더 많은 독자에게 다가서고 사람들이 쓸 만한 서비스로 남아있기 위해서는 별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이 음반사들과 협의 중

    페이스북이 대형 음반사들과 접촉하고 있다는 기사가 Verge에 올라왔다.

    페이스북이 음악분야에 진출하는 것과 관련해서 메이저 레이블들과 협의중이라고 다양한 정보원들이 Verge에 말했다. 페이스북은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유니버셜 뮤직 그룹, 워너 뮤직 그룹등과 음악에 대한 그들의 흥미에 대해 이야기해왔지만, 어느정도까지 소셜 네트워크가 관여하기를 원하는지는 여전히 미정인 상태다. 일반적인 가정은 스트리밍 서비스일 수 있는 반면, 정보원들은 페이스북이 아직가지 정확하게 무엇을 원하는지 결정하지 못했다고 말한다.

    [expand title=English]
    Facebook has held talks with the major labels about “getting into music,” multiple sources tell The Verge. Facebook has spoken with Sony Music Entertainment, Universal Music Group, and Warner Music Group about its interest in music, but to what extent the social network wants to get involved is still up in the air — while the popular assumption may be a streaming service, sources say that Facebook hasn’t yet decided precisely what it wants to do.[/expand]

    구체적인 것은 아직 없지만 뉴스에 이어 음원까지 페이스북에서 이용할 수 있다면 사람들의 체류 시간이 지금보다도 훨씬 더 늘어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혹은 페이스북의 비디오 서비스와 관련되었을 수도 있지만 아직까지 초기 단계라 어떤 식으로 진행될지는 미지수이다.

  • Sony의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소니에서 직원들의 새로운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한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을 출시했다 (기사)

    First Flight라고 블리는 이 플랫폼은 소니가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새로운 프로젝트의 크라우드펀딩 외에도 First Flight는 후원자들이 직접적으로 소니 개발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새로운 기기들을 구입하거나 사전주문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expand title=English]
    The platform, called First Flight, is part of an effort by the Japanese company to promote new business ideas as it tries to drive itself back to profitability. In addition to crowdfunding new projects, First Flight will also let backers directly buy and pre-order new devices developed by Sony workers.[/expand]

    경영상의 어려움으로 많이 위축되었지만 애플 이전에는 소니 제품들이 가장 혁신적인 모습들을 보여주지 않았나 싶다. 실패한 소니 제품들을 검색해보면 너무 다양한 시도를 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지금 보기에는 진도구(珍道具)처럼 보이는 물건들도 있지만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예전같은 소니의 제품들을 만나볼 수 있으면 좋겠다. 플랫폼은 현재 일본에서만 구매할 수 있다.

  • eBook 시장의 성장

    출판시장의 성장과 관련되 Quartz의 기사. 세계 시장의 매출은 증가하고 있는데 전통적인 출판 시장의 매출은 떨어지지만 eBook으로 전환이 빠른 업체들은 오히려 성장하고 있는 추세라고 한다.

    eBook으로의 전환은 도서의 전체 판매 가격은 줄어들지만 몇몇 출판업자들은 종이책, 창고, 배포에 따른 비용을 제거하면서 수익성은 증가시켰음을 의미한다.

    [expand title=English] The migration to eBooks has meant the total dollar value of books sold has declined but the profitability of some publishers has actually increased as they’ve removed a lot of their printing, warehousing and distribution costs. [/expand]

    image-20150619-32088-1vseoq0

    출판 시장은 음반 시장같지 않다.

  • 애플 워치 두 모델의 빛 반사와 시안성

    꽤 예전에 나왔던 기사이지만 오늘 macrumors에 애플 워치의 빛 반사율에 대한 내용이 올라왔다. DisplayMate에서 애플 워치에 사용된 두 가지 종류의 디스플래이 글래스에 대한 빛 반사 실험 결과를 밝혔다 (기사). 스포츠 모델에는 Ion-X가 워치 모델에는 사파이어 글래스가 들어간다.

    Ion-X 글래스를 사용한 애플워치 스포츠에서 반사율은 4.7%로 측정된 반면, 사파이어 글래스를 사용한 애플워치에서는 8.2%의 반사율을 보였다. 이는 글래스에 비해 74% 높은 것이었다. 두 값은 순수한 사파이어와 글래스를 사용했을 때에 비하면 0.6% 높은 것으로, 이는 애플이 공기층 없이 글래스와 사파이어를 OLED 디스플레이에 최적으로 접합시켰다는 것을 뜻한다.
    사파이어를 채택한 애플워치의 74% 반사율은 애플워치 스포츠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주변의 빛을 반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expand title=English]
    For the Apple Watch Sport with Ion-X Glass we measured the Screen Reflectance to be 4.7 percent, while for the Apple Watch with Sapphire we measured 8.2 percent Screen Reflectance, which is 74 percent higher than with Glass. Both values are about 0.6 percent higher than just pure sapphire and glass alone, indicating that Apple has done an excellent job in optically bonding both the glass and sapphire to the OLED display without an air gap.
    The 74 percent higher Reflectance of the Apple Watch with Sapphire means that its screen will reflect almost twice as much surrounding ambient light as the Apple Watch Sport with Glass. [/expand]

    해외에서 출시되었을 때부터 많이 지적되어 온 이야기이지만 스포츠와 일반 모델 가격차이를 생각하면 스포츠 모델을 구매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일반 시계가 아니라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음 모델에서 개선되기를 기다리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 미국에서 재택 근무가 증가하는 추세

    미국 노동통계국에서 발표한 American Time Use Survey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재택근무 형태가 증가하고 있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기사). 전체 노동자의 23%가 근무 전체 혹은 일부를 집에서 처리한다. 특히 사무직의 경우 이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진다. 탄력근무제, 스마트폰과 인터넷의 발달이 재택근무를 가능하게 했다고 보고 있다.

    텔레커뮤니케이션 관련 예전 초기 연구들이 이런 형태의 근무가 실질적으로 효율이 떨어진다는 점을 많이 지적하며 같은 공간 안에서 커뮤니케이션이 가지는 장점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수많은 협업 툴들이 존재하고 단순 사무직의 경우 온라인을 통한 직무처리가 훨씬 더 효율적일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럼에도 여전히 같은 공간 안에서 강제적으로 사람들을 섞어 놓았을 때 효율적인 직무 분야가 존재한다는 생각은 든다.

  • Circa News 서비스 중단

    뉴스를 요약해서 짧은 단신으로 제공해주는 서카(Circa)가 서비스를 중단했다. Circa CEO Matt Galligan은 미디엄에 Farewell to Circa News라는 글을 남겼다.

    Circa News가 무기한 중단하게 되었음을 알려드리게 되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고품질의 뉴스를 만들어내는 것은 많은 비용이 드는 시도이고 자본이 없이는 향후 제작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자본이 없이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우리의 목표는 사실에 기반하고 편견없고 간결한 정보를 볼 수 있는 뉴스 기업을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그러한 목표를 위한 수익을 창출하기에 시간이 걸린다는 사실을 인지했고 서비스 지속을 위해 벤처 캐피탈에 의지하는 것을 선택했습니다. 우리는 현재 더 이상 이대로 뉴스 생산할 수 없다는 사실에 도달했습니다.

    [expand title=English]
    It’s with great disappointment that we let you know that Circa News has been put on indefinite hiatus. Producing high-quality news can be a costly endeavor and without the capital necessary to support further production we are unable to continue. Our mission was always to create a news company where factual, unbiased, and succinct information could be found. In doing so we recognized that building a revenue stream for such a mission would take some time and chose to rely on venture capital to sustain. We have now reached a point where we’re no longer able to continue news production as-is.[/expand]

    인수 대상자를 찾는데 실패한 이후 사실상 서비스를 중단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내 핸드폰 첫 화면에 나와 있는 애플리케이션이고 특정 주제에 관해 팔로우 하기 좋은 서비스라고 생각했다. FCC의 망중립성 관련 기사들을 서카를 통해 팔로우했다. 서카의 단점은 너무 짧은 내용만을 보여준다는 점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가끔 좀 더 자세한 내용을 보고 싶은 경우에는 결국 다른 뉴스를 직접 검색해서 찾아보게 되었다. 사실 서비스 실패의 핵심적인 요인은 이런 것들은 아닐거라고 생각한다. 뉴스 산업들이 적절한 수익모델을 찾기 어려운 점에 있다고 본다. 하지만 서카가 많은 뉴스 기업들에게 영향을 준 것은 분명하다고 생각한다.

  • 애플 뮤직과 테일러 스위프트

    애플 뮤직과 관련하여 테일러 스위프트가 3개월 무료 이용기간동안 수익배분에 관한 글을 텀블러에 올렸다. 글이 올라온 후 17시간만에 Eddy Cue 부사장은 트위터를 통해 애플이 무료 이용기간동안 아티스트들에게 수익을 배분할 것이라는 점을 밝혔다.

    이후 많은 사람들이 애플의 빠른 의사결정에 감탄하거나 테일러 스위프트가 애플을 이겼다는 기사를 내보냈다. 하지만 Verge의 Taylor Swift vs Apple: nobody wins기사는 아무것도 변한 것은 없다는 이야기을 한다. 보는 사람에 따라서는 애플과 테일러 스위프트의 이야기를 다윗과 골리앗처럼 바라볼 수 있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Mathew Ingram도 Here’s the real reason Apple caved in on fees for its new music service에서 애플이 비용을 지불하는 쪽으로 전략을 바꾼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고 3개월 간 비용을 지불하는 것도 큰 그림을 그리고 있는 애플에게 있어서 사소한 비용일 뿐이라고 말한다.

    테일러 스위프트 글을 보고 돈을 더 벌겠다는 느낌의 글이 아니고 이해하기 쉽게 썼다는 사람도 있지만 결국 요지는 돈을 받기를 원한다는 점이다. 아티스트들이 포기할 정도의 이용자를 보유한 서비스에 대해서는 전혀 이런 부당함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 테일러 스위프트는 스포티파이에 대해 “거대한 실험”이라는 언급을 하며 “나는 작곡가, 프로듀서, 아티스트, 크리에이터에게 공정하게 보상하는 것 같지 않은 실험에 내 삶의 작업들을 기여할 생각이 없다”(“And I’m not willing to contribute my life’s work to an experiment that I don’t feel fairly compensates the writers, producers, artists, and creators of this music.”)고 말했다. 그러나 스포티파이와 유투브는 똑같은 모델을 가지고 운영된다.

    이번 사건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은 스포티파이와 애플 뮤직 모두 같은 형태로 운영된다는 사실이다.

    스포티파이가 아티스트들에게 제공하는 기본적인 제안: 광고에 의해 지원되는 매우 낮은 스트리밍당 로열티의 무료 이용 서비스는 높은 로열티를 지불하는 유료 이용자로 전환을 약속

    애플 뮤직이 아티스트들에게 제공하는 기본적인 제안: 애플의 막대한 현금에 의해 지원되는 매우 낮은 스트리밍 당 로열티의 3개월 무료이용 기간은 높은 로열티를 지불하는 유료 이용자로 전환을 약속

    [expand title=English align=”right”]
    Here’s the basic deal Spotify offers artists: a free service that pays very low per-stream royalties supported by ads but promises to convert users into paying customers of the paid service, which pays much higher royalties.

    Here’s the basic deal Apple is now offering artists: a three-month free trial that pays very low per-stream royalties supported by Apple’s enormous bank account but promises to convert users into paying customers of the paid service, which pays much higher royalties.
    [/expand]

    테일러 스위프트가 스포티파이를 거대한 실험이라 언급했지만 애플뮤직을 비롯한 다양한 스트리밍 서비스는 아직까지 실험기간이라고도 볼 수 있다. 또한 애플이 아이튠즈 서비스와 애플 뮤직을 어떤 식으로 운영할지, 각 서비스들이 향후 어떤 식으로 운영될지, 음반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지 아무것도 정해진 것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