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AI 확률론과 결정론

    On Probabilism and Determinism in AI

    인공지능(AI)이 발전해온 과정을 네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미래에 우리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에 대해 이야기하는 글.

    • 시작 지점: 결정적 → 결정적 → 결정적(예: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 Microsoft, Oracle과 같은 회사)
    • 우리가 있었던 곳: 결정론적 → 확률론적 → 결정론적(예: 타겟 광고, Google, Meta와 같은 회사)
    • 현재 위치: 확률적 → 확률적 → 확률적(예: 생성 AI, OpenAI, Anthropic과 같은 회사)
    • 우리가 도달하고자 하는 곳: 확률론적 → 확률론적 → 결정론적(미래의 이상적 상태)
  • 마리오 드라기, 스스로 부과한 관세

    Forget the US — Europe has successfully put tariffs on itself
    FT

    마리오 드라기의 글. 복잡하고 일관성 없고 파편화 된 규제는 사실상 EU가 스스로에게 부과하는 관세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 길은 근본적인 사고방식의 변화를 요구한다. 지금까지 유럽은 집합적인 비용을 고려하지 않고 단일 또는 국가적 목표에만 초점을 맞춰왔다. 공공 자금을 보존하는 것은 부채 지속 가능성의 목표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규제의 확산은 새로운 기술 위험으로부터 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내부 장벽은 국가가 자연스러운 행위의 틀로 작용하던 시대의 유산이다.

    하지만 이제 이러한 방식이 유럽인들에게 복지를, 건강한 공공 재정을, 심지어 해외 압력으로 위협받는 국가 자율성조차 제공하지 못했다는 것이 분명하다. 그렇기 때문에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 AI 챗봇, 뉴스를 정확하게 요약하지 못해

    AI chatbots unable to accurately summarise news, BBC finds
    BBC

    다 알고도 감안할만하니 사용하는거 아닐까?

    이 연구 에서 BBC는 ChatGPT, Copilot, Gemini, Perplexity에게 100개의 뉴스 기사를 요약하도록 요청하고 각 답변을 평가했습니다. 해당 기사의 주제에 대한 관련 전문가인 언론인들이 AI 조수의 답변의 질을 평가하도록 했습니다. 뉴스 관련 질문에 대한 AI의 모든 답변 중 51%가 어떤 형태로든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또한 BBC 콘텐츠를 인용한 AI 답변의 19%는 잘못된 사실 진술, 숫자, 날짜 등 사실 오류를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 광고 기술 업체, CSAM 사이트 광고 노출

    Senators Accuse Google, Amazon, and Others of Monetizing Site That Hosts Child Abuse Content
    Adweek

    주요 광고기술 업체들이 아동 성학대 자료(CSAM)를 호스팅하는 웹사이트에 광고를 게재하여 의도치 않게 범죄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 강력한 우려를 표하며 조사에 나섰다.

    Google과 같은 디지털 광고주 네트워크가 그러한 활동을 호스팅하는 것으로 알려진 웹사이트에 광고를 게재하는 경우, 그들은 실제로 범죄 활동을 영속시키고 우리 아이들에게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히는 자금 흐름을 만들어냈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이끈 보고서는 여기(Adalytics)

  • 영국 공공서비스방송 CH4의 유튜브 활용

    OVERCOMING FEAR OF FINDING OUT WITH CHANNEL 4: CH4 Doubles Down on Youtube – The Media Odyssey Ep.6

    • 초기에는 짧은 클립과 하이라이트를 통해 기존 TV 콘텐츠의 마케팅 역할로 YouTube를 사용했으나, 이후 장편 콘텐츠(15분 이상 전편 업로드)로 전환했습니다.OVERCOMING FEAR OF FINDING OUT WITH CHANNEL 4: CH4 Doubles Down on Youtube – The Media Odyssey Ep.6
    • 약 1년간의 데이터 기반 실험과 테스트를 통해 장편 콘텐츠 비중을 81% 늘린 결과, 전체 시청 시간이 105% 증가했습니다.
    • 이 전략은 특히 젊은 층과 연결 TV 사용자에게 큰 반응을 얻었으며, 기존 TV 시청과는 별개의 새로운 시청자층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 내부적으로는 다양한 YouTube 채널(총 30개 채널 운영)을 주제별로 세분화하여 콘텐츠를 배포하고, 각 채널에 맞는 전략을 최적화했습니다.
    • 또한, YouTube의 상세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시청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광고 판매 팀이 TV, 스트리밍, YouTube를 통합한 광고 전략을 수립해 수익을 극대화했습니다.
  • 유럽 대안 앱스토어와 포르노 앱

    EU’s AltStore Gets First Native iOS Pornography App
    MacRumors

    유럽 디지털 규제안의 결과로 포르노 앱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애플은 이런 종류의 앱을 허용하지 않았다. 미국은 사이드 로딩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앱을 받을 수 없지만, 유럽 이용자는 가능해졌다.

    유럽 ​​연합에서 디지털 시장법은 개발자가 대체 앱 스토어를 통해 iOS 앱을 배포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 Apple이 이러한 앱을 맬웨어 및 기타 악성 콘텐츠가 있는지 검사하는 동안 Apple의 앱 스토어와 달리 주제에 대한 제한은 거의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EU 사용자는 이제 iPhone 용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전용 네이티브 포르노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 넷플릭스의 캐주얼 시청

    Casual Viewing
    n+1

    넷플릭스가 시청여부를 신경쓰지 않고 흘려보내는 시청을 내보낸다는 주장. 그런데 원래 TV의 역사를 보면 그러지 않았던가?

    “여러 각본가들의 말에 따르면, 넷플릭스 임원들이 자주 주는 피드백 중 하나가 ‘시청자들이 프로그램을 배경으로 틀어놓고 볼 때도 흐름을 따라갈 수 있도록, 등장인물이 자기 동작을 입으로 설명하게 하라’는 것이다.”

  • EU 경쟁력 강화 방안

    A Competitiveness Compass for the EU

    내용이 길어 요약부분 인용. 성장과 혁신의 장벽을 제거하기 위해 규제를 단순화하고 단일시장 내 장벽을 제거하는 새로운 전략을 추진하고자 함

    아래는 2025년 1월 29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발표한 “A Competitiveness Compass for the EU” 커뮤니케이션 문서의 주요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1. 문서 목적 및 배경
      • 유럽연합(EU)의 장기적 번영과 경쟁력 유지를 위해, 혁신 주도형 성장과 구조적 개혁을 강조하는 종합 전략을 제시합니다.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글로벌 기술 경쟁 심화 등 지정학적·경제적 변화를 배경으로, EU가 에너지·무역·기술 측면에서 직면한 구조적 약점을 해결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 기존에 드라기(Draghi) 보고서, 렛타(Letta) 보고서, 앤트워프 선언 등에서 제시된 권고안을 토대로, 혁신 부족·생산성 정체·지나친 대외 의존 등 문제를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2. 핵심 목표: ‘경쟁력 나침반(Competitiveness Compass)’
      • EU의 경제·산업 정책 전반을 재정비하여, ▷혁신 촉진, ▷친환경 전환과 경쟁력의 동시 달성, ▷공급망 안정 및 안보 강화, ▷규제 간소화와 단일 시장 심화를 실현하려 합니다.
      • 이를 위한 3대 ‘전환 과제(Transformational imperatives)’와 5가지 ‘수평적 실행 기반(Horizontal enablers)’을 제시합니다.
    3. 3대 전환 과제(Transformational imperatives)
      1. 혁신 격차 해소
        • 혁신 주도형 경제로 재도약하기 위해, 스타트업·스케일업(Scale-up) 지원, 대규모 R&D 투자 촉진, 대학·기업 간 협업, 모험자본·주식시장 활성화를 강조합니다.
        • 인공지능(AI), 양자기술, 바이오테크, 우주 산업 등 첨단 분야에서 유럽이 선도권을 확보하도록 지원 방안을 마련합니다.
      2. 탈탄소화와 경쟁력의 동시 추진
        • 에너지·제조업 등 핵심 분야에서 높은 에너지 가격, 투자 비용 부담을 완화하며, 탄소중립(2050년) 목표와 산업 경쟁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Clean Industrial Deal’을 제안합니다.
        • 철강·화학·자동차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에 대한 맞춤형 조치 및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범위 확대 검토 등으로 탈탄소화 과정에서의 산업 이탈을 방지합니다.
      3. 대외 의존도 완화 및 경제·안보 강화
        • 핵심 원자재, 첨단 기술·부품 등 특정 국가·지역 의존이 심한 부분을 분산·다변화하려는 전략입니다.
        • 국제 무역·투자 협정(예: EU-메르코수르) 및 ‘Clean Trade and Investment Partnership’을 통해 시장 개방성을 유지하되, 비공정 무역, 외국 보조금 등에 대응하는 보호 수단도 강화합니다.
        • 방위산업, 의료, 에너지 등 전략적 분야에서의 공급망 확보와 유럽 내 생산 역량 확충을 추진합니다.
    4. 5대 수평적 실행 기반(Horizontal enablers)
      1. 규제 간소화 및 적시성 제고
        • 기업들이 과도한 행정·보고 의무로 인한 부담을 덜도록, EU 전체 규제체계를 대폭 단순화(Omnibus 패키지)하고 디지털화를 확대합니다.
        • 스타트업과 중견기업을 위한 별도 지원(28번째 ‘단일’ 법체계 등), 중복·불필요 규제 축소, EU 역내 행정 절차 간소화 등을 추진합니다.
      2. 단일 시장 완성
        • 30년 동안 유럽 통합의 핵심이었던 단일 시장을 재가속해, 여전히 남아 있는 상품·서비스·자본·인력 이동상의 장벽을 제거합니다.
        • SMET(단일 시장 시행 태스크포스) 강화, 표준화 작업 신속화, 각 회원국의 이행 방식 간소화 등을 제시합니다.
      3. 투자 및 금융 체계 혁신
        • 민간 자금을 대규모로 유치하고, 저축을 생산적 투자로 전환하기 위해 ‘Savings and Investments Union’ 전략을 도입합니다.
        • 차기 EU 예산(MFF)에서 ‘유럽 경쟁력 펀드(European Competitiveness Fund)’를 마련해, 디지털·그린 등 핵심 분야에 집중 투자할 계획입니다.
      4. 인재 양성 및 질 좋은 일자리 창출
        • ‘Union of Skills’ 구상을 통해, 성인학습·직업교육 강화, STEM 교육 강화, EU 역내 인력 이동성 제고, 타국 전문 인력 유입 촉진 등 인력 정책을 통합적으로 추진합니다.
        • 여성·청년·장애인 등 취업 취약계층의 노동시장 참여를 높이고, 건강·보육·주거 등 사회적 지원을 통해 전체 경제 역량을 높입니다.
      5. 효율적 거버넌스 및 공동 투자
        • EU·회원국 간 산업·연구·투자 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Competitiveness Coordination Tool’을 제안합니다.
        • 국가별 거시경제 정책 및 재정정책을 EU가 우선순위에 맞춰 조율하고, 대형 프로젝트와 공동 연구개발 등에 집단투자를 유도합니다.
    5. 정치·경제적 기대 효과
      • 시장 통합을 통한 규모의 경제, 혁신 생태계 활성화, 친환경 산업에서의 유럽 주도, 공급망 안정화 등이 핵심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 동시에 EU의 사회·복지 모델이 지속 가능하도록 재정·규제·교육 정책을 조정하고, 국제무대에서 EU가 ‘경제 안보’와 ‘글로벌 리더십’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목표가 담겨 있습니다.

    정리하면, 이 문서는 유럽이 혁신·지속가능성·안보라는 세 축을 모두 강화하며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확대하기 위한 종합 청사진입니다. 혁신 주도형 산업 전환, 규제 간소화, 단일 시장의 재심화, 대외의존도 완화, 사회·인력 정책의 강화 등을 통해 EU 전체가 ‘고도화된 제조·서비스 중심의 첨단 경제’로 재도약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팩트체킹이 효과가 있나요

    Does fact-checking even work?
    The Torment Nexus

    이번에 하는 연구에서도 생각해볼만한 이야기다

    앞서 쓴 글에서 언급했듯이, 소셜 미디어가 사람들에게 세상이 평평하다거나 새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혹은 사람들이 Wayfair 가구 속에 아기를 팔고 배송한다는 식의 믿음을 심어준다는 것이 일반적인 통념이 되었습니다 (제가 꾸며낸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래서 소셜 미디어 플랫폼들이 네트워크 내 잘못된 정보를 사실 확인하는 작업을 ‘포기’했다는 점에 대해 얼마나 끔찍하다는 기사를 보게 되는 것이죠. 그러나 소셜 미디어가 사람들에게 진실이 아닌 것을 믿게 만들거나 정치적, 사회적 이슈에 대한 양극화를 증가시킨다는 증거가 있을까요? 이 두 질문 모두에 대한 간단한 대답은 ‘아니오’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소셜 미디어는 원인보다는 증상에 가깝습니다.

  • AI 에이전트 시대의 마케팅

    Marketing in the Age of AI Agents: Who Are We Advertising To? or
    Ken Mandel

    재미있는 글

    에이전트 최적화 → 브랜드는 AI 에이전트가 자연스러운 의사 결정을 통해 자사 제품을 선호하도록 ‘훈련’시켜야 합니다.
    ✅ API 기반 마케팅 → 브랜드는 광고 대신 데이터, API, 파트너십을 통해 AI 생태계에 통합해야 합니다.
    ✅ 평판 및 신뢰 신호 → AI 에이전트는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를 우선적으로 고려합니다. 평판, 검증된 리뷰, 지속 가능성 지표가 광고 타겟팅을 대체할 수 있습니다.

    대신 보여지는 광고의 모습은

    대화형 AI 배치 → “더운 날에 좋은 음료는 무엇인가요?”라고 ChatGPT에 질문하면 코카콜라를 추천한다고 상상해 보세요(광고 때문이 아니라 전략적 AI 통합으로 인해).

    초개인화된 커머스 → 광고는 AI 기반 쇼핑 어시스턴트 내에서 실시간 상품 배치가 됩니다. AI가 사용자가 점심시간에 항상 콜라를 사 먹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 사용자가 묻기도 전에 자동으로 콜라를 주문합니다.

    경험적 브랜딩 → AI 기반 메타버스 경험, AR/VR 광고, 심지어 브랜드를 대신하여 상호작용하는 디지털 에이전트가 정적인 배너를 대체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