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Media

  • 2016 저널리즘, 미디어, 테크놀로지 예측

    JOURNALISM, MEDIA AND TECHNOLOGY PREDICTIONS 2016

    Reuters Institute for the study of Journalism에서 나온 보고서. 전체를 다 읽어보지는 않고 요약만 읽었다. 백화점 식으로 여러가지를 설명하고 있는데 주요한 주제로 동영상, 메시지 앱, 온라인 광고 문제점에 대한 언급을 하고 있다. 2015년 큰 M&A가 있었던 것처럼 올해도 M&A가 기대된다고 살짝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자세한 근거를 찾아볼 수가 없다.

    • 악셀 슈프링어가 미디어 기업을 더 인수한다.
    • 뉴스 코프가 테크 기업을 더 인수할 것이다.
    • BT가 ITV를 인수할 것이다.
    • 애플이 박스(혹은 드롭박스)를 인수할 것이다.
    • 트위터가 너즐을 인수할 것이다.
    • 트위터가 라이벌 플랫폼이 매각될 것이다.
    • 야후가 매각되거나 쪼개질 것이다.
    • 브랜드가 퍼블리셔를 인수할 것이다.

    [expand title=English]
    – Axel Springer buys more media companies
    – News Corp buys more tech companies
    – BT (or foreign company) buys ITV
    – Apple buys Box (or Dropbox)
    – Twitter buys Nuzzel
    – Twitter sold to rival platform
    – Yahoo is downsized/sold/broken up
    – A brand buys a publisher[/expand]

    몇 가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별로 그럴법하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 위키피디아의 검색엔진

    Knowledge Engine: Wikimedia Foundation takes aim at Google with $3.5m search project

    위키피디아를 가지고 있는 위키미디어 파운데이션(Wikimedia Foundation)이 검색엔진과 관련해서 Knight Foundation으로부터 $250,000를 받았었다는 사실을 공표했다.

    “상업적인 검색엔진이 인터넷의 검색엔진을 지배하고 있고, 그들은 인터넷의 지식과 정보에 접속하는 채널을 통합하는 적절한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comScore에 따르면 구글의 시장 점유율은 약 67%이며 마이크로소프트의 빙이 20%정도로 두 번째를 차지한다. 야후가 10%로 세번째를 차지하고 있다.
    [expand title=English]
    Wikimedia’s grant application says that “commercial search engines dominate search-engine use of the internet, and they’re employing proprietary technologies to consolidate channels of access to the internet’s knowledge and information.”

    Reports from digital analytics company comScore put Google’s market share at about 67 per cent, with Microsoft’s Bing in second place at about 20 per cent and Yahoo third with about 10 per cent.[/expand]

    위키피디아의 Knowledge Engine은 품질을 위한 큐레이션 메커니즘, 투명성, 메타데이터에 대한 개방된 데이터 접근, 이용자 프라이버시 보호, 광고와 분리, 내면화의 여섯 가지 영역을 강조했다.

    1. Publication curation mechanisms for quality
    2. Transparency, telling users exactly how the information originated
    3. Open data access to metadata, giving users the exact data source of the information
    4. Protected user privacy, with their searching protected by strict privacy controls
    5. No advertising, which assures the free flow of information and a complete separation from commercial interests
    6. Internalisation, which emphasises community building and the sharing of information
  • 워싱턴포스트 온라인 트래픽에서 뉴욕타임즈 앞서다

    Jordan Valinsky, Washington Post tops New York Times online for first time ever

    comScore에 따르면 지난달 워싱턴 포스트는 6,690만 명의 멀티 플랫폼 UV를 기록하며 6,580만 UV를 기록한 뉴욕 타임즈를 근소하게 앞섰다. 2014년 10월 이후 워싱턴 포스트의 최대 트래픽으로 1년도 안 된 사이에 59% 증가했다.

    [expand title=English]
    Last month, the Washington Post raked in 66.9 million multi-platform unique visitors narrowly edging out the New York Times, which recorded 65.8 million uniques, according to comScore. It’s the Post’s highest trafficked month since at least Oct. 2014, representing a 59 percent increase in less than a year.[/expand]

    워싱턴 포스트가 잘하고 있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었고 내년에 뉴욕타임즈 트래픽을 앞설 것인지에 대한 이야기가 있었는데 훨씬 빨리 일어났다. 워싱턴 포스트가 높은 트래픽을 기록한 이유로 바이럴에 중심을 맞춘 블로그, 웹 사이트의 빨라진 로딩 속도를 이야기한다.

  • 광고 차단 논쟁

    Vox, Matthew Yglesias The ad blocking controversy, explained

    한참 전에 올라온 기사지만 기록을 위해 남겨놓는다. 최근까지도 광고 차단과 관련해서 여러가지 논의들이 지속되고 있지만 초반에 여러가지 이슈들을 잘 정리해놓은 기사. 크게 세 가지 변화를 설명한다.

    • 프로그램에 의한 디스플레이에서 네이티브 광고로 변화
    • 중간 규모의 출판물에서 복잡한 판매 전략을 지원해 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거나 낮은 수익을 감당할 수 있는 소규모 출판물 선호로 변화
    • 통제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웹에서 모바일로 변화

    [expand title=English]
    – A shift away from programmatic display ads in favor of “native” ads.
    – A shift away from mid-sized publications, in favor of publications that are either big enough to support a sophisticated sales operation or small enough to have low revenue needs.
    – A shift away from the web into mobile app platforms that can provide a more controlled experience.[/expand]

    한창 이슈가 되었던 광고 차단 관련 윤리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최근 PC에 설치한 Adblock Plus 경우도 콘텐트 이용 경험을 저해하지 않는 광고를 볼 것인지에 대한 옵션이 따로 생긴 것을 보면 여전히 이런 문제들에 대해서 논란이 진행중인 것 같다.

  • 라라 크로프트와 성적 대상화

    Paul Tassi, With ‘Rise of the Tomb Raider,’ The De-Objectification Of Lara Croft Is Complete

    만약 스토리와 관련이 있다면 라라 크로프트가 매혹적으로 행동하거나 도발적으로 입는 것이 허용되면 안 된다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만약 스토리가 시베리아의 무덤에 침입하고 악한 용병들로부터 고대의 보물을 지키는 것이라면 성적 매력은 그러한 것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런 의미에서 라이즈 오브 툼레이더는 라라 크로프트의 캐릭터에서 꽤나 중대한 성취를 이루었다. 명백히 게임에서 여성의 재현성에 대해서는 갈 길이 멀지만, 이러한 게임에서처럼 점점 나아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expand title=English] I’m not saying there should never be a situation where Croft is allowed to act seductively or dress provocatively if it’s relevant to the story (charming an antiques dealer at a black tie party, maybe? Just spit-balling). But if her story is about raiding tombs in Siberia and defending an ancient treasure from evil mercenaries, sex and sex appeal really does not factor into that.

    In this sense, Rise of the Tomb Raider is a pretty significant achievement for Lara Croft as a character, and gaming at large. Obviously representation of women in games still has a long way to go, but with games like this, it does feel like it’s getting better.[/expand]

    대표적인 멀티플랫폼 게임인 툼레이더가 11월 10일 Xbox 기간 독점으로 출시되었다. PC는 2016년 전반기, PS로는 2016년 후반기에 출시될 예정이다. MS Korea가 성우 더빙까지 해서 출시했기에 Xbox를 구입해야하나 잠시 고민하게 만든 콘텐트.

    라라 크로프트는 대표적으로 캐릭터를 성적 대상화 하는 예로 많이 언급되었던 사례인데, 제작사에서 앞으로 라라 크로프트가 섹시한 캐릭터가 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언급한 상황이다. 오늘 만난 분도 아쉬움을 표현했지만 예전부터 라라 크로프트를 만났던 이용자들은 라라 크로프트 하면 빈소매에 핫팬츠가 당연한 것 아닌가 하는 이야기를 했다. 하지만 신규 이용자들의 스토리 몰입을 위해서는 이러한 결정이 오히려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개발사가 게임에서 여성을 대상화 하는 것을 탈피했다기 보다는 15년 넘게 팔아먹었으니 이제는 진지한 캐릭터를 만들어보려는 시도로 보이기도 한다.

  • 미국 여섯 개 미디어들의 뉴스 요약 전략

    Nieman Lab, What you need to know: How six publishers digest the news for readers

    미국의 여러 미디어들이 뉴스를 요약해서 제공해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Nieman Lab에서 Buzzfeed, Economist, NYT, Quartz, Vox, Yahoo News 가 어떻게 뉴스를 요약해서 제공하려고 노력하는지에 대한 소개글을 실었다.

    몇몇 미디어들은 앱과 뉴스레터를 효율적으로 조직한다. 뉴욕타임즈의 인기인는 아침 저녁 브리핑들은 NYT Now 앱에서 비롯했지만, 이메일 뉴스레터와 같은 다른 포맷으로도 이용이 가능했다. 버즈피드의 뉴스 앱은 뉴스레터에서 기사를 가져오지만 뉴스레터와 앱 모두 트위터 해시태그 #teamnewsapp 뿐만 아니라 버즈피드 블로그를 통해 공개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다른 미디어들은 뉴스레터 전략을 창조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Vox Sentences는 혼잡한 아침 시간을 피해 저녁 8시에 메일함에 도착한다. Quartz의 Daily Brief는 몇 가지 단순한 카테고리를 가지고 깔끔하고 텍스트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요약을 보여준다.
    어떤 미디어들은 완결성 있는 경험에 초점을 맞춘다. Yahoo News Digest는 하루에 두 번 요약된 뉴스를 제공하기 위해 알고리즘과 인간 큐레이터를 사용하는 복잡하게 디자인 된 앱이다. Economist의 Espresso 앱은 몇 분 내로 읽을 수 있는 짧은 읽기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치밀하게 짜여진 콘텐트 묶음을 제공한다.
    [expand title=English]
    Some publishers are juggling apps and newsletters. The New York Times’s popular morning and evening briefings originated on the NYT Now app, but have since been made available in other formats like the email newsletter. BuzzFeed’s news app, which launched this past June, imports features from its newsletter, and both the newsletter and app are evolving publicly on Twitter through the hashtag #teamnewsapp as well as on BuzzFeed’s blog.

    Other publishers have gotten creative with newsletter strategy. Vox’s Sentences avoids the morning flood and arrives in inboxes at 8 p.m. ET. Quartz’s Daily Brief is a clean, text-driven summary of news with a few simple categories.
    Some publishers focus on a “finishable” experience. Yahoo News Digest is an intricately designed app that uses an algorithm and human curation to create two digests a day, one in the morning and one in the evening. The Economist’s Espresso app, the first daily product in the publication’s 172-year history, provides a “very tightly curated bundle of content” built around an even shorter reading experience of just a few minutes.[/expand]

    Circa가 실패한 이유를 보더라도 사람들은 짧은 뉴스도 원하지만 실제로 관심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도 알기 어렵다. 단문의 뉴스와 장문의 뉴스가 유기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 미국 3분기 유료TV 가입자 현황

    Mathew Ingram, Pay TV Industry: Yes, Cord-Cutting Is Accelerating, But It Could Be Worse!

    bn-le256_cordoh_g_20151109175900

    유료TV 공급자들은 지난 3달 사이 약 350,000명의 구독자를 잃었다. 이는 작년 동기 가입자 감소에 비해 두 배 높은 수치이다. 많은 이탈자는 코드커팅 승리주의자들을 위한 것이었다. 다른 말로 하자면, 넷플릭스, 훌루,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는 여전히 이기고 있고 전통적인 케이블 서비스는 여전히 잃고 있다.
    [expand title=English]
    Pay-TV providers lost a little more than 350,000 subscribers in the last three months. That’s more than twice what they lost in the same quarter of last year. So, plenty of ammunition for the cord-cutting triumphalists. In other words, streaming services like Netflix and Hulu and Amazon Prime Video are still winning viewers, and traditional cable services are still losing.[/expand]

  • ebook 판매량이 감소하고 있는가

    Mathew Ingram, No, e-book sales are not falling, despite what publishers say

    뉴욕타임즈에 올라왔던 ebook 매출 감소에 대한 기사.

    아마존 매출 데이터에 기반한 Author Earnings의 차트에 따르면,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일은 출판업자들의 시장 점유율이 감소하고 있는 반면, 독립적인 ebook 출판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산업 표준인 ISBN을 가지지 않은 책의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expand title=English]
    According to the figures from Author Earnings — which are based in part on regular samples of Amazon sales data — what’s really been happening is that the market share of established publishers has been declining, while sales of independently published e-books have been growing. In particular, sales of books that don’t even have industry standard ISBN numbers have increased.[/expand]

    aap-unit-sales

    관련하여 Ben Thompson이 쓴 Disconfirming Ebooks도 함께 읽어보기 좋은 글.

  • 가상현실과 현실

    Mahew Ingram, We Need to Keep the ‘Reality’ in Virtual Reality

    VR은 리포터, 사진작가, 영상작가들이 특별한 사건의 가상화 된 버전을 만들도록 허락하기 때문에, 발생한 사건을 쉽게 왜곡할 수 있고 잘못된 인상을 주기 쉽다. 차례로 그 인상은 몰입감 있는 기술의 본질 때문에 더 강력하게 될 수 있다. …… 어떤 종류의 VR은 이용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점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종류의 VR은 이용자에게 특정한 버전의 사건만 보여줌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강화시킬 수 있다.

    [expand title=English] In other words, because VR lets reporters, photographers, and videographers create a simulated version of a specific event, it could easy let them distort what happened and give a false impression of that event. That impression, in turn, would become more powerful due of the nature of the immersive technology. …… Some kinds of VR can lessen this problem, by providing multiple viewpoints from which a user can choose to view an event — something that Fusion’s version of the story tried to do. But other kinds of VR can reinforce the problem by giving a viewer only a specific version of the events.[/expand]

    뉴스 아티클이 뉴스 보도보다 깊이가 있다는 것은 다양한 관점을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일 것이다. 뉴스는 단순히 텍스트가 아닌 콘텍스트이기 때문이다. VR은 강력해보이지만 우리가 다양한 관점을 동시에 바라보기는 쉽지 않다. 이는 문제에 대해 지적하는 글이다. AP의 Tom Kent는 VR 저널리즘을 위한 윤리적 가이드를 제시했다. VR 저널리즘은 새로운 시도이지만 저널리스트라면 생각해 볼 만한 이슈인 것 같다.

  • 언론사 사이트 모바일 광고의 대가

    NYT, The Cost of Mobile Ads on 50 News Websites

    NYT에서 50개 언론사 사이트의 모바일 페이지 로딩 속도를 광고와 콘텐트 부분으로 나누어서 측정한 재미있는 기사.

    국내 언론사에서 콘텐트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만 이용자 경험에 대한 배려는 전무한 것을 생각해보면 이러한 내용도 참고할만한 자료라고 생각한다. 4G LTE를 기반으로 로딩 시간, 데이터 사용량, 페이지 당 비용을 계산.

    뉴스 기사가 광고 인벤토리 없이 적절한 수익모델을 구현하는게 어렵다. 하지만 페이지 로딩 시간이 5초가 넘어가는 사이트들은 왠만큼 콘텐트가 차별화되어 있지 않다면 사람들이 클릭하게 만드는 것에서 가망성이 없다고 본다. 페이스북에서 유통되는 기사 댓글에 기사 본문 내용이 요약되어 달리는 것도 이러한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