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Media

  • 왜 NBCUniversal은 Vox에 투자하는가

    Comcast의 NBCUniversal이 Vox media에 2억 달러 (약 2,400억)를 투자했다. Vox media는 The Verge, Vox, SB Nation같은 사이트들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다. NBCUniversal의 투자에 대해 뉴미디어와 올드 미디어가 서로 필요하기 때문이라는 기사. Vox 같은 경우 트래픽이 월 7500만 정도 나오지만 허핑톤포스트의 월 1억 2500만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수준이고, 네이티브 애드의 경우 아직 충분한 수익이 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기에 성장을 위해서는 투자가 필요하고 현금이 필요하다는 건 이해할 수 있는 상황이다. 그렇다면 전통 미디어가 투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래서 Comcast/NBCUniversal이 이러한 거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미래에 대한 대비책(hedge)을 의미한다. Vox와 Buzzfeed같은 섹시한 신흥 뉴미디어들과 의기투합하는 것은 쿨한 요소가 있고, 케이블 공급자가 뉴미디어의 콘텐츠를 다양한 방송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뉴 미디어 선두주자들을 가지는 것이 올드 미디어 기업들에게 (밀레니얼들에게 선호되는) 미래의 콘텐츠를 향한 길을 열어주었다는 점이 더 큰 이유이다.

    [expand title=English]
    So what does Comcast/NBCUniversal get out of these kinds of deals? For the most part, it means they get a hedge against the future. Rubbing shoulders with sexy new-media upstarts like Vox and BuzzFeed has a certain cool factor to it, and there’s the possibility of the cable provider using new media content for its various broadcast properties. The larger rationale is that having a chunk of a couple of new-media pioneers gives old media companies a window into the future of content, especially that favored by millennials.[/expand]

    전통미디어들은 더 적극적으로 새로운 미디어에 투자할 필요하 있다고 생각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Mathew Ingram의 The attention economy and the implosion of traditional media을 읽어보는 것도 좋다.

  • 누가 알고리즘을 두려워하는가

    Columbia Journalism Review에 올라온 Who’s afraid of a big bad algorithm?라는 글이다. 개인적으로 재미있는 내용이고 요새 살펴보고 있는 주제와 관련있어 전문 번역을 해볼까 했으나 내용이 좀 길다. The Washington Post에 최근 올라온 Caitlin Dewey의 글로 시작하고 있다.

    Dewey의 주요 주장은 대부분의 밀레니얼들이 현재 페이스북을 통해 뉴스를 얻고 있고, 페이스북은 우리의 편견의 일부에 기반하여 무엇을 볼지 영향을 미치는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밀레니얼들은 뉴스 전체에 대한 그림을 얻지 못한다. 더 나쁜 점은 이러한 알고리즘은 돈을 벌려는 거대한 기업에 의해 통제되고 대중들의 관심을 완전하게 설명할 수 없는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현재의 알고리즘의 위험에 대한 많은 논의는 그것들이 어떻게 작동되는지에 대해 단순화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첫째, 알고리즘은 사람에 의해 만들어지고,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복잡하다는 것을 뜻한다. 알고리즘에 내장된 사람의 영향력은 우리가 종종 무시하는 다층적인 품질 관리를 제공한다. 둘째, 좋은 알고리즘은 우리가 읽고 싶어하는 것을 보여줄것이지만, 사람들의 즉각적인 관심사 외부에 놓여있는 새로운 콘텐트를 제공하면서 지속적으로 제안을 정교화할 것이다.

    [expand title=English]
    Dewey’s central claim is that since most millennials now get their news from Facebook, and Facebook has an algorithm that dictates what we see based in part on our biases, millennials in particular will not get a full picture of the news. Even worse, these algorithms are controlled by giant corporations out to make money, and seem completely unaccountable to the public interest. But many current arguments about the dangers of algorithms tend to simplify how they work. First, algorithms are made by people, meaning they are often more sophisticated than we might think; this built-in human influence also offers a layer of quality control that is often ignored. Second, a good algorithm will show you what you want to read, but it will also continually refine its suggestions, introducing new content that lies outside your immediate interests. [/expand]

    Science에 나왔던 페이스북 뉴스피드 관련 실험결과를 생각해봐도 다양하게 노출되는 뉴스들 중에서도 어떤 것을 볼 것인지는 개인의 선택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Mark Zuckerberg는 알고리즘과 관련해서 너무 걱정하지는 않는다며 “앞마당에서 죽어가는 다람쥐가 아프리카에서 죽어가는 사람보다 지금 현재 당신의 흥미와 관련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우리가 걱정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 알고리즘이 테크노 디스토피아 선전과 비교해서 무엇이 새롭고 어떤 것이 다른지 구분할 필요가 있다.

    [expand title=English]
    But to be most aware of what should concern us, we need to separate what is new and different about an algorithm from the techno-dystopian hype.[/expand]

    개인적으로 알고리즘에 대한 논의가 알고리즘에 대한 공개나 투명성으로 가는 것이 적절한지 계속 생각해보게 된다. 저널리즘이 어떤 주의(ism)를 표방한다면 알고리즘이 공개된다고 저널리즘의 원칙에 어떤 변화가 있을 수 있을까.

  • Circa News 서비스 중단

    뉴스를 요약해서 짧은 단신으로 제공해주는 서카(Circa)가 서비스를 중단했다. Circa CEO Matt Galligan은 미디엄에 Farewell to Circa News라는 글을 남겼다.

    Circa News가 무기한 중단하게 되었음을 알려드리게 되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고품질의 뉴스를 만들어내는 것은 많은 비용이 드는 시도이고 자본이 없이는 향후 제작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자본이 없이 계속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우리의 목표는 사실에 기반하고 편견없고 간결한 정보를 볼 수 있는 뉴스 기업을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그러한 목표를 위한 수익을 창출하기에 시간이 걸린다는 사실을 인지했고 서비스 지속을 위해 벤처 캐피탈에 의지하는 것을 선택했습니다. 우리는 현재 더 이상 이대로 뉴스 생산할 수 없다는 사실에 도달했습니다.

    [expand title=English]
    It’s with great disappointment that we let you know that Circa News has been put on indefinite hiatus. Producing high-quality news can be a costly endeavor and without the capital necessary to support further production we are unable to continue. Our mission was always to create a news company where factual, unbiased, and succinct information could be found. In doing so we recognized that building a revenue stream for such a mission would take some time and chose to rely on venture capital to sustain. We have now reached a point where we’re no longer able to continue news production as-is.[/expand]

    인수 대상자를 찾는데 실패한 이후 사실상 서비스를 중단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내 핸드폰 첫 화면에 나와 있는 애플리케이션이고 특정 주제에 관해 팔로우 하기 좋은 서비스라고 생각했다. FCC의 망중립성 관련 기사들을 서카를 통해 팔로우했다. 서카의 단점은 너무 짧은 내용만을 보여준다는 점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가끔 좀 더 자세한 내용을 보고 싶은 경우에는 결국 다른 뉴스를 직접 검색해서 찾아보게 되었다. 사실 서비스 실패의 핵심적인 요인은 이런 것들은 아닐거라고 생각한다. 뉴스 산업들이 적절한 수익모델을 찾기 어려운 점에 있다고 본다. 하지만 서카가 많은 뉴스 기업들에게 영향을 준 것은 분명하다고 생각한다.

  • eBook 시장의 성장

    출판시장의 성장과 관련되 Quartz의 기사. 세계 시장의 매출은 증가하고 있는데 전통적인 출판 시장의 매출은 떨어지지만 eBook으로 전환이 빠른 업체들은 오히려 성장하고 있는 추세라고 한다.

    eBook으로의 전환은 도서의 전체 판매 가격은 줄어들지만 몇몇 출판업자들은 종이책, 창고, 배포에 따른 비용을 제거하면서 수익성은 증가시켰음을 의미한다.

    [expand title=English] The migration to eBooks has meant the total dollar value of books sold has declined but the profitability of some publishers has actually increased as they’ve removed a lot of their printing, warehousing and distribution costs. [/expand]

    image-20150619-32088-1vseoq0

    출판 시장은 음반 시장같지 않다.

  • 뉴스의 미래: 페이스북과 애플의 뉴스 서비스

    최근 뉴스에 대한 페이스북과 애플의 관심과 관련해 Financial Times에서 The future of news: Stop the presses!라는 제목의 기사가 올라왔다. 최근 흐름에 대해 전반적으로 정리한 글인데 뉴스페퍼민트에 번역 기사가 올라왔다.

    페이스북과 애플의 목표는 같습니다. 유져가 그들의 서비스, 특히 스마트폰에서 보내는 시간을 최대화하는 것이죠. 스마트폰은 갈수록 뉴스를 소비하는 주채널이 되고 있습니다. 2012년 뉴스서비스의 25% 만이 스마트폰에서 소비된 데 비해 올해는 50%가 스마트폰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페이스북과 애플이 뉴스에 관심을 보이는 이유는 “스마트폰이 뉴스를 접하는 기본 채널로 등장” 했기 때문이라고 뉴스오노믹스의 아날리스트 켄 닥터는 풀이합니다. 페이스북과 애플이 “모바일에서 뉴스가 중요하다는 걸 깨달은 것이죠.”

    페이스북이나 애플은 사람들이 자신의 서비스를 좀 더 오래 이용하게 만들기 위해 뉴스를 선택했고, 언론사들은 이 채널들을 통해 좀 더 젊은 독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게 될 것이다. 모두가 투자를 포기한 언론사에 새로운 살 길을 마련해 줄 수도 있지만 과연 언론사들에게 얼마나 도움이 될 지는 미지수이다.

    “언론은 언제나 제작과 유통 과정에서 독립적이었어요.” “그러나 역사상 처음으로 거기서 벗어나고 있지요.” “그들이 보고하는 기업의 권력 구조에 영향을 받게 되는 겁니다.” 다른 대안이 딱히 없는 산업의 “파우스트의 거래” (악마에게 영혼을 파는 거래) 라고 콜럼비아 언론대학의 에밀리 벨은 풀이합니다. “이들 플랫폼이 어떻게 변해갈 지 투명하지 않아요. 그러나 더 많은 독자에게 다가서고 사람들이 쓸 만한 서비스로 남아있기 위해서는 별다른 방법이 없습니다.”

  • 이와타 사토루 닌텐도 CEO 별세

    닌텐도 CEO 이와타 사토루가 사망했다고 13일 닌텐도가 발표했다. (Verge).

    2002년 닌텐도 사장으로 취임 후 Wii와 DS의 성공을 이끌었으나 전세대 플랫폼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패한 Wii U 시절부터는 적극적으로 대중앞에 나서기도 했다. 개발자들과 인터뷰하는 Iwata Asks로도 잘 알려져 있다.

  • 뉴스 소비 플랫폼 페이스북

    7월 14일 새롭게 발표된 Pew Research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2013년과 비교해 점점 더 많은 미국인들이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통해 뉴스를 접하고 있다고 한다. 2013년과 비교하여 페이스북은 47%에서 63%로, 트위터는 52%에서 63%로 증가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년 조사결과1에 따르면 국내에서 SNS를 통한 뉴스 이용은 페이스북이 66.6%, 트위터가 51.3%였다.

    아무래도 편리하다는 장점때문에 소셜 미디어를 통한 뉴스소비는 계속해서 증가할 수 밖에 없지 않나 싶다. 개인적으로는 주요 결과 중 정치 관련 토픽 이야기가 눈에 띈다.

    페이스북 이용자의 1/3 정도 (32%)가 정부와 정치에 관해서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28%는 이러한 유형의 글에 댓글을 남긴다. 트위터 이용자의 1/4 정도가 이러한 주제에 대해 트윗을 남기고, 13%는 다른 사람이 올린 이러한 주제에 대해 멘션을 남기는 것과 비교된다.

    [expand title=English] About one-third of Facebook users (32%) say they post about government and politics on Facebook, and 28% comment on these types of posts. That compares to a quarter of Twitter users (25%) who tweet about this news topic and 13% who reply to tweets on this topic posted by others. [/expand]


    1. 소셜 뉴스 유통 플랫폼, www.kpf.or.kr 

  • 파이낸셜 타임즈 닛케이에 약 1조 5천 억 원에 매각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즈(Financial Times)가 일본의 니혼케이자이 신문에 8억 4400만 파운드 (약 1조 5천 억 원)에 매각됐다. 1957년 이후 피어슨 그룹이 소유해왔지만 교육 출판 사업에 주력하기 위해 FT를 매각했다고 언급했다 (Guardian)

    이번 닛케이의 인수와 관련해서 우려의 목소리가 있는 것 같다. 예전 파이낸셜 타임즈에서 올림푸스 분식회계 사건을 보도했었는데 닛케이 소유의 파이낸셜 타임즈에서 이런 기사가 가능한지에 대한 우려이다 (출처). 닛케이는 다른 언론사들에 올림푸스 스캔들이 보도된 이후에도 애써 이를 무시했었다 한다 (출처). 또한 최근 도시바 분식회계 사건에서도 부적절 회계라는 애매한 표현을 사용했다고 한다.

  • 광고는 미디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아니다.

    미디어와 광고에 대한 Mathew Ingram의 글, Advertising isn’t the solution to the media’s problems – it is the problem.

    전통미디어의 과거 황금시절 미디어, 광고사, 퍼블리셔는 최고의 친구였다. 신문과 잡지 퍼블리셔들은 정보 유통에서 독점을 누렸고, 독자들의 관심을 통제했다. 광고사들은 독점에 편승하여 모든 콘텐츠에 대한 비용 지불을 도왔다. 불행하게도 인터넷은 모든 것을 바꾸었고, 이제 광고 비즈니스는 전통 미디어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expand title=English] Back in the good old days of traditional media, advertisers and publishers were the best of friends. Publishers of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other things enjoyed a monopoly on information distribution, and therefore commanded a large share of the attention of readers, and advertisers piggy-backed on that monopoly, which in turn helped to pay the freight for all of that content. Unfortunately, the Internet has changed all of that, and now the advertising business is as much a threat to traditional media entities as it is a friend.[/expand]

    전통 미디어가 기존의 독점적 지위를 상실한 것도 있지만 광고 자체도 소프트웨어와 알고리즘을 통해 형태를 완전히 바꿨다.

    퍼블리셔의 관점에서 이는 수많은 문제를 만들었다. 엄격하게 통제되는 신문과 잡지 지면과 반대로 거의 제한이 없는 웹 페이지 공급 증가와 비싼 인간 대신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로 인해, 디지털 광고는 기존에 비해 수익이 적었다.

    이것은 또한 독자들과 웹 이용자에게도 재앙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을 내려는 퍼블리셔들의 절망과 프로그래밍 및 기타 도구들의 증가는 대재앙을 만들어냈다. 결과는 쓸모없고 짜증나는 배너광고, 팝업, 팝언더, 페이지 테이크오버, 끌 수 없는 자동재생 영상, 트래킹 도구, 쿠키 등을 포함한 다른 기괴한 것들로 채워진 웹이었다.

    [expand title=English] From a publisher’s point of view, this creates a number of problems. One is that because of the massive explosion of supply—an almost unlimited number of webpages, as opposed to a strictly controlled number of newspaper and magazine pages—and the use of software instead of expensive human beings, digital advertising generates orders of magnitude less revenue than it used to (there’s also a huge problem with ad fraud).

    This has also proven to be a disaster for readers and web users. The combination of publishers’ desperation to generate more revenue and the rise of programmatic and other tools has created a kind of perfect storm. The result is a web filled with useless and annoying banner ads, popups, pop-unders, page takeovers, un-killable auto-play videos and other monstrosities—including the use of literally hundreds of tracking agents, cookies, super-cookies and other invasive tools.[/expand]

    결국은 웹 환경은 엉망이 되었고 독자들의 읽기 경험은 거의 최악에 가까이 떨어졌다. 우리나라 언론사 페이지들을 보면 알 수 있다. 향후 애드 블록이 모바일에서도 가능해지고 페이스북 인스턴트 아티클이 나오기 시작하면 이런 환경에 변화가 생길 것이지만 페이스북이 가져올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은 고려해 볼 여지가 있을 것이다.

  • 언론사는 통신사 서비스 형태가 될 것인가

    Ezra Klien의 Is the media becoming a wire service? 예전에 읽었지만 지금에서야 글을 남겨놓는다. 3년 이내로 대부분의 뉴스 기업들이 통신사 형태로 운영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최근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를 비롯하여 다양한 서비스들이 뉴스를 공급하려 한다는 사실을 보면 상당히 그럴법한 이야기이다.

    그러나 나의 추측은 3년 이내에 적당한 규모의 뉴스 조직들이 자신의 웹사이트, 모바일 앱, 페이스북 인스턴트 아티클, 애플 뉴스, 스냅챗, RSS, 페이스북 비디오, 트위터 비디오, 유투브, 플립보드, 아직 등장하지 않은 하나 혹은 두 개의 주요 사업자 중 몇 개의 조합에 뉴스를 올리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 될 것이다. 가장 큰 퍼블리셔는 이러한 모든 곳에 동시에 기사를 보낼 것이다.

    이것은 생각하는 것보다 낯선 것이다: 다른 플랫폼에 기사를 보내는 것은 자동화될 것이다. 기자들은 그들의 기사를 쓰고 CMS는 자연스럽게 페이스북, 스냅챗, 애플뉴스로 기사를 건낸다. 여기에 새로운 것은 없다. 이것은 이미 RSS 피드가 작동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RSS 피드 이상의 더 큰 일이 될 것이다. RSS의 구독자는 적다. 플랫폼에서 떨어져 나온 구독자들의 수는 거대해질 것이다. 미래의 퍼블리셔들은 자신이 콘트롤하고 디자인 하지 않은 수많은 플랫폼에 콘텐츠를 전송하는 오늘날의 통신사 서비스처럼 될 것이다.

    [expand title=English] But my guess is that within three years, it will be normal for news organizations of even modest scale to be publishing to some combination of their own websites, a separate mobile app, Facebook Instant Articles, Apple News, Snapchat, RSS, Facebook Video, Twitter Video, YouTube, Flipboard, and at least one or two major players yet to be named. The biggest publishers will be publishing to all of these simultaneously.

    This sounds stranger than it will feel: Publishing to these other platforms will be automated. Reporters will write their articles, and their content management system will smoothly hand them to Facebook, Snapchat, or Apple News. There’s nothing new here, really — this is already how RSS feeds work.

    But there will be more of them, and they will matter much more. The RSS audience is small. The off-platform audience will be huge. The publishers of tomorrow will become like the wire services of today, pushing their content across a large number of platforms they don’t control and didn’t design.[/expand]

    이를 통해 얻게 되는 것은 더 많은 고객이지만 잃게 되는 것은 디지털 언론으로서 가지는 잠재적 가능성들을 잃게 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최근 Ben Thompson의 글이나 Mathew Ingram 등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웹 페이지가 가지는 문제점, 광고 제거 프로그램의 사용, 미디어와 광고 수익, 새로 등장하는 플랫폼들이 이러한 것을 전망하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