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IT

  • 애플 시리 API 오픈 예정

    Apple Opening Siri, Developing Echo Rival

    애플이 시리 API를 서드파티 개발자들에게 공개하려고 SDK를 출시할 준비를 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이번 WWDC에서 발표할 예정이라고 한다.

    다른 곳은 API가 모두 공개되어 있고 음성을 이용해서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가능한데 애플에서 관련 앱을 개발할 경우에는 외부 솔루션을 써야 하나 하는 생각을 했었다. 그런데 시리 API도 공개될 예정이라고 한다. 동영상에서 보듯이 아마존 에코 같은 경우는 테슬라와 연결해서 차고에서 차를 빼라는 명령도 음성으로 가능하다.

    [iframe id=”https://www.youtube.com/embed/CAP3DbyOtGE”]

  • 페이스북 실험

    Neil Cybart, A Facebook Experiment

    원래 애플에 관한 분석을 전문으로 하는 저자가 페이스북을 6개월 동안 사용하지 않으면서 든 생각들을 정리한 글을 올렸다. 페이스북과 애플은 경쟁자가 되어가고 있는지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에서 느낀 페이스북에 대한 생각들을 정리했다. 나도 최근에 한창 바빠서 몇 주 동안 페이스북에 접속하지 못했는데 글을 보며 공감가는 부분들이 많았다. 다섯 가지를 이야기했는데 그 중에서 일부분만 인용했다.

    페이스북은 중독이 아니라 습관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습관적인 페이스북 이용을 해결하는 간단한 방법은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다른 앱을 찾는 것이었다. 애플 뉴스나 트위터 (그리고 슬랙)이 그러한 앱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앱은 내 관심을 끌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콘텐트를 제공했다. [expand title=English] As time went on, the solution to handling my Facebook habit was simply to find other apps that would fill my time. Those apps turned out to be Apple News and Twitter (and eventually Slack). Each one of those apps would offer different forms of content capable of grabbing my attention.[/expand]

    페이스북은 더 이상 소셜 네트워크가 아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페이스북 담벼락은 뉴스피드가 될 것이고, 그러한 변화에 따라 페이스북은 내 친구들이나 내가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에서 내 친구들이 웹에서 흥미로워하는 것에 대한 것으로 변화했다. [expand title=English] As the years went by, my Facebook wall became a News Feed and with the change, Facebook changed from being about what my friends and I were doing to what my friends thought was interesting around the web.[/expand]

    나는 주변 세계에 대해 덜 알게되었다.

    내가 페이스북을 스스로 지워버림으로 인해 내 주변의 무작위적인 뉴스나 사건에 대해서 덜 인지하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나는 트위터나 애플뉴스로 인해 여전히 글로벌 뉴스에 대해 예민하게 파악하고 있다. 사실 페이스북을 지워버린 이후로 그런 종류의 뉴스 스토리를 따라잡기 위해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그러나 나는 내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 뉴스에 대한 접촉을 잃었다. [expand title=English] There is no denying that I am less aware of what is going on around me in terms of random daily news and events by removing myself from Facebook. I am still keenly aware of global news thanks to Twitter and apps like Apple News. In fact, I’ve had more time to follow those kinds of news stories since deleting Facebook. However, I have lost touch with much of the local news likely to impact my daily routine.[/expand]

    페이스북의 성공은 내 시간에 의존한다.

    프로필을 만들고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을 것을 요구하던 사이트로부터 내가 많은 것을 하지 않아도 웹으로부터 콘텐트를 공급해주는 엡으로 전환은 페이스북이 많은 사람들에게 본질적인 것이 된 이유이다. [expand title=English] Facebook’s transformation from a site that required me to spend time and energy to create a profile and engage with others to an app that fed me content from around the web without me needing to do much is why Facebook has become so quintessential to so many people.[/expand]

    저자에 따르면 페이스북이란 웹의 큐레이션 된 버전이다. 이는 사람들에게 소비할 수 있는 끊임없는 정보와 콘텐트를 제공해준다. 물론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다양한 웹 사이트를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는 에너지를 소비해야하고 고통스러운 일이다. 페이스북이 소비자들을 단순한 습관을 넘어 중독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서는 웹의 더 많은 비율을 내부로 가져와야 한다. 인스턴트 아티클을 통한 뉴스, 동영상 등이 그러한 예이다. 페이스북의 최근 행보들이 이를 잘 설명해준다. 주커버그가 말한 VR의 비전 역시 그러한 맥락에 있고, 인스타그램 뉴스피드도 시간 순서에서 알고리즘 기반으로 바꾼다는 이야기도 연장선상에 있다.

    그래서 페이스북과 애플에 대한 저자의 첫 질문에 대한 답변은 어떻게 되는가. 둘은 경쟁자가 아니라 파트너이다. 하지만 두 기업 모두 비슷한 목표를 추구하고 있기에 향후에도 어떻게 될 지는 모른다. 페이스북이 오큘러스를 인수하면서 하드웨어 시장에 참여하려고 하고 있기에 둘 사이의 경쟁은 현재보다는 직접적이 될 수도 있다. 페이스북이 웹의 큐레이션 된 버전이지만 구글의 검색을 대체하는 위치에 있지는 않다. 그렇기에 페이스북과 구글은 서로 공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예측한다.

  • 애플 오리지널 TV 시리즈

    Kwame Opam, Apple is working on a TV series about app developers

    애플이 오리지널 TV시리즈를 만들 계획을 가지고 있다는 기사. Will.i.am, Ben Silverman, Howard T. Owens와 함께 앱 개발자에 대한 새로운 시리즈를 준비중이라고 한다.

    애플은 이미 오리지널 텔레비전 시리즈를 시도했지만 이것은 음악 외 첫 시도에 해당한다. 지난달, 할리우드 리포터는 애플이 닥터드레 주연의 “다크 시리즈”를 준비중이라고 보도했다. “바이탈 사인”이라고 불리는 시리즈는 애플 뮤직 홍보를 도울 것이다. 게다가 바이스 미디어와 함께 6부작 미니시리즈 “더 스코어”를 만들고 있다.
    [expand title=English]
    Apple has already dipped its toe into original television to date, but this represents its first effort outside music. Last month, The Hollywood Reporter reported that the company was working on developing a dark series starring Dr. Dre. Called Vital Signs, the series would help promote Apple Music. In addition, the iPhone maker is already working with Vice Media to develop a six-part music miniseries called The Score.[/expand]

    플랫폼 사업자들에게 오리지널 시리즈란 불가피한 선택이다.

  • 페이스북 이용자와 정체성

    Ben Thompson, FACEBOOK, PHONES, AND PHONEBOOKS

    요즘 여러가지 일로 바쁘기도 하지만 개인적으로 페이스북 자체에 별로 관심이 가지 않는다. 얼마 전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발표했던 내용 중 가장 주목을 받았던 것이 메신저 플랫폼과 봇(Bot) 엔진에 관한 내용이다. 벤 톰슨 블로그에 이와 관련해서 생각해볼 수 있는 내용이 올라와 옮겨놓는다.

    페이스북은 개인의 정체성은 하나라는 주장을 계속해서 유지해왔다. 그렇기에 실명이 아닌 경우 계정에 대한 제제를 했던 사례들도 있다. 하나의 정체성을 유지한다는 것은 광고와 결합되었을 때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페이스북의 뉴스피드는 모바일에서 광고를 유치할 수 있는 최선의 장소였고, 지난 몇 년간 디스플레이 배너 광고가 하락하고 페이스북 뉴스피드 광고는 지속적으로 성장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것은 다른 측면을 희상하게 만든다. 페이스북에 올리는 글들은 공적인 것이고 실제 친구들을 위한 것이 아니다.

    블룸버그의 기사는 이러한 상황을 잘 설명해준다.

    페이스북 직원들은 “context collapse”라는 친밀감 감소에 대한 용어를 가지고 있다. 개인적 공유는 스냅챗, 인스타그램, 다른 메신저 서비스와 같은 적은 이용자 집단으로 이동했다. [expand title=English] According to one of the people familiar with the situation, Facebook employees working on the problem have a term for this decline in intimacy: “context collapse.” Personal sharing has shifted to smaller audiences on Snapchat, Facebook’s Instagram and other messaging services.[/expand]

    사람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하기보다는 뉴스와 같은 공적인 정보를 공유하고, 개인적 정보에 대한 공유 비율은 2015년 중반에 비해 21퍼센트 감소했다. 벤 톰슨은 이를 전화번호부와 전화의 차이로 이야기한다.

    두 가지 종류의 소셜 앱이 있는 것은 분명하다. 하나는 전화번호부이고 다른 하나는 전화이다. 전화번호부는 매우 가치가 있다. 그것은 친구, 지인, 혹은 비즈니스 관계를 가리지 않고 개인을 누군가와 연결한다. 소셜 전화번호부는 더 나아간다. 그것은 이벤트나 네트워크에 대한 임시 집단을 만들고 지속적으로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당신이 지루함을 느낄 때마다 전문적으로 생산된 즐거운 콘텐트를 끊임없이 제공한다.

    반면에 전화는 개인적이다. 그것은 당신과 당신이 의도적으로 연락하려는 누군가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것이다. 물론 텔레미케팅 전화가 발생할 수 있지만, 그러나 그것은 성가신 것이고 종종 무시된다. 전화는 현재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 관한 것이고 전화를 끊는 순간 사라진다.

    미국에서 전화번호부는 페이스북이고 전화는 스냅챗이다. 타이완에서 전화번호부는 페이스북이고 전화는 라인이다. 일본과 타이완은 동일하다. 중국에서는 위챗이 모든 것을 하는 반면 한국에서 카카오는 전화이다. 나머지 대부분의 세계에서 전화는 왓츠앱이고 중국을 제외한 곳에서 전화번호부는 페이스북이다. [expand title=English] It is increasingly clear that there are two types of social apps: one is the phone book, and one is the phone. The phone book is incredibly valuable: it connects you to anyone, whether they be a personal friend, an acquaintance, or a business. The social phone book, though, goes much further: it allows the creation of ad hoc groups for an event or network, it is continually updated with the status of anyone you may know or wish to know, and it even provides an unlimited supply of entertaining professionally produced content whenever you feel the slightest bit bored.

    The phone, on the other hand, is personal: it is about communication between you and someone you purposely reach out to. True, telemarketing calls can happen, but they are annoying and often dismissed. The phone is simply about the conversation that is happening right now, one that will be gone the moment you hang up.

    In the U.S. the phone book is Facebook and the phone is Snapchat; in Taiwan, where I live, the phone book is Facebook and the phone is LINE. Japan and Thailand are the same, with a dash of Twitter in the former. In China WeChat handles it all, while Kakao is the phone in South Korea. For much of the rest of the world the phone is WhatsApp, but for everywhere but China the phone book is Facebook.[/expand]

    위챗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메신저를 개인과 기업 사이의 거래 미디어로 활용하는 것은 훌륭한 전략이다. 하지만 페이스북이 가려고 하는 방향은 솔직히 잘 모르겠다. 두 가지를 동시에 할 수 있는 것인지 알 수 없다.

  • 기술 피로감

    Romain Dillet, Tech fatigue

    당신이 테크 분야에서 오랫동안 종사해왔다면, 당신은 이 느낌을 알고 있을 것이다 – 기술 피로감(tech fatigue). 어느 순간 새로운 모든 것들이 낡은 것처럼 느껴지고, 모든 색다른 것들이 바보같게 느껴진다. 만약 당신이 끊임없는 냉소주의의 굴레에 젖어 있다면, 스스로에게 중요한 질문을 할 필요가 있다. [expand title=English] But if you have worked in tech for long enough, you know this feeling — tech fatigue. At some point, everything new feels old, everything different feels dumb. If you get stuck in this circle of endless cynicism, you need to ask yourself the important questions.[/expand]

    내가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것도 아니고 단지 기술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는 것뿐이지만 요즘 가끔 이런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새로운 것들은 너무 빨리 나오고 모든 것을 따라가는 것은 쉽지 않은데 막상 살펴보면 그다지 새롭지도 않거나 과장된 이야기들이 많다. 그렇다고 예전 이야기들을 보면 너무 오랜 과거의 것들이라 이야기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하는 생가도 든다. 과거에 이것이 미래라고 말했던 것들이 얼마나 많이 있었는가? 그것들은 다 어디에 갔는가? 언제까지 계속 관심을 가지고 따라갈 수 있을까?

    이런 경우 스스로에게 왜 기술에 관심을 가지는지 스스로에게 질문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나는 질문에 어떤 답을 해야할지 잘 모르겠다.

  • 프레드 윌슨 2016년 전망

    Fred Wilson, What Is Going To Happen In 2016

    벤처캐피탈리스트인 프레드 윌슨이 쓴 2016년 전망

    1. 오큘러스 리프트 출시.
    2. 새로운 형태의 웨어러블 등장.
    3. 빅 4 중 하나가 불안정해짐 (애플).
    4. FAA 상업용 드론 규제.
    5. 소셜 네트워크에서 적절한 현금화를 하지 못하는 퍼블리셔의 희생.
    6. 타임워너 HBO 분사.
    7. 비트코인이 오픈 바자(open bazaar)로 인해 킬러앱을 가짐.
    8. 슬랙(Slack) 기업 플랫폼.
    9. 트럼프 공격으로 인해 테크 섹터들은 힐러리에게 줄을 서게 됨.
    10. 가치평가 하락으로 인한 스타트업 섹터 위기.
  • 포르노는 이미 가상현실의 미래를 결정하고 있다

    VentureBeat, by Jeff Grubb Porn is already deciding VR’s future

    SimilarWeb에 따르면 가상현실 성인 영화와 소프트웨어를 퍼트리는 포르노 사이트들은 이미 HMD에 대한 많은 관심을 만들어내고 있다. 오큘러스, HTC, 소니가 VR 헤드셋을 출시하기 위해 준비하는 사이, 포르노 사이트들은 이미 이들 상품에 대한 지원을 홍보하고 있다. 오큘러스 리프트와 오큘러스 웹사이트는 2015년 1월부터 11월 사이 VR 포르노 사이트로부터 2.7퍼센트의 리퍼럴 트래픽을 받았다.

    [expand title=English]
    Porn sites peddling virtual reality adult movies and software are already generating a lot of interest in head-mounted displays, according to data-company SimilarWeb. While Oculus, HTC, and Sony are all preparing to finally release their VR headsets — which are widely considered the three primary entries into the high-end VR market — porn sites are already hyping their support for one of these products. The Oculus Rift and Oculus’s website received 2.7 percent of its referral traffic from VR porn sites between January and November 2015.[/expand]

    기술의 채택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포르노라는 것은 예전부터 많이 이야기되어 왔다. 아마도 확실히 2016년은 VR이 퍼지기 시작하는 해가 될 것이다. 나도 VR 포르노를 보려고 시도했었는데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쓰고 영상을 보고 있으면 자신이 괴로운 감정이 들까봐 시도하지 않았다. 글 마지막 부분에 포르노를 이용하고 싶으면 플레이스테이션4에서 사용하는 폐쇠적인 플랫폼의 소니보다 오픈 플랫폼의 오큘러스를 구입하라는 조언도 있다.

  • 비트코인은 망했다

    블로터, 비트코인은 망했다

    Mike Hearn이 미디엄에 쓴 “The resolution of the Bitcoin experiment”라는 글을 번역한 기사.

  • "FANG"의 전략

    Ben Thomson, The FANG Playbook

    FANG은 시장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테크 기업 Facebook, Amazon, Netflix, Google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든 조어다. CNBC에서 Mad Money를 진행하는 짐 크래머가 만든 단어라고 한다. 벤 톰슨은 시장에서 실적이 우수한 것 뿐만이 아니라 네 기업이 정확히 같은 전략을 보여주고 있다고 언급한다. 각 기업들의 현재와 시작이 어떠했는지에 대해 언급하고 다음과 같이 말한다.

    각 FANG 기업들은 자기 나름의 방식에서 기술적으로 혁신적이었다. 그러나 이미 존재하는 상품과 기반시설에 놀라울정도로 의존하기도 했다. 현재 혹은 미래 경쟁 우위의 핵심은 고객과의 거리, 월등한 이용자 경험, 인터넷 이전에는 가능하지 않았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다.

    이 기업들 중 아무도 크리스텐슨의 의미로 “파괴자”가 아니라는 것에 주목해야한다. 그들은 기존 소비자들이 매력을 느낄만한 낮은 마진의 훌륭한 상품을 제공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초반에는 최고의 고객들과 함께 시작하며 기존 기업들과 경쟁하지 않은 “애그리게이터(aggregator)”였다. 사실 초반에는 기존 기업들은 애그리게이터의 존재로 인해 보편적으로 이익을 얻는다 (퍼블리셔들은 페이스북으로부터, 상인들은 아마존으로부터, 콘텐츠 제작자는 넷플릭스로부터, 모든 유형의 웹 비즈니스는 구글로부터). 애그리게이터의 소비자 기반이 지배적이게 되면 기존 기업들을 (이윤 폭에서) 압박하는 것이 시작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돌이킬 수 없다.

    [expand title=English] Each of the FANG companies was technically innovative in their own way (especially Google, the exception that proves the rule), but each of them — like Uber, which that paragraph referenced — also depended to an incredible degree on products and infrastructure that already existed. The key to their now or future dominance was their proximity to customers, superior user experience, and new business models that simply weren’t possible before the Internet.

    Note that none of these companies are “disruptors” in the Christensen sense. They are not offering low-margin good-enough products that appeal to customers who are over-served by incumbent companies. Rather, they are “aggregators” who start with the best customers and don’t really compete with incumbent companies, at least in the beginning. In fact, incumbents nearly universally benefit from the presence of aggregators, at least at first (publishers benefited from Facebook, merchants from Amazon, content makers from Netflix, web businesses of all types from Google). It is only when the aggregators’ consumer base becomes dominant that the inevitable squeeze on incumbents — specifically, on their profit margins — begins, and it is in the long-run irreversible.[/expand]

  • 왜 애플은 중국에서 조립하는가

    John Gruber, Why Apple Assembles in China

    도날드 트럼프가 애플이 미국에서 제품을 생산하게 만들겠다는 발언을 했는데 그와 관련되서 존 그루버가 쓴 글이다. 임금에서 경쟁력이 없다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이고 제조 역량에서도 따라갈 수가 없다는 것이다.

    미국은 중국과 임금에서도 경쟁할 수 없다. 노동력의 규모에서도 경쟁할 수 없다. 중국은 이러한 노동자들을 교육하는 시스템을 수십년간 독려해왔다. 미국은 그렇지 않다. 미국은 그러한 시설 혹은 아시아 부품 제조업체들과 근접성도 가지고 있지 않다.

    [expand title=English]
    The U.S. can’t compete with China on wages. It can’t compete on the size of the labor force. China has had a decades-long push in its education system to train these workers; the U.S. has not. And the U.S. doesn’t have the facilities or the proximity to the Asian component manufacturers.[/expand]

    현대의 생산 시스템은 여러 모듈화 된 체제들이 모여서 만들어지는 시스템인데 한 순간에 그런 것을 만들어내기 쉽지 않다는 점을 지적한다. 애플이 2014년 4분기 판매한 아이폰만도 7,500만대인데 미국에서 이 정도 수량을 제작해내는 것이 불가능하다. 만약 모든 과정이 자동화 된다면 미국에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겠지만 그런 경우에는 고용창출 효과도 없을 것이라는 이야기.